< 차 례 > < 요 약 > 1 1. 해외경제 3 2. 실물경제 6 3. 국내금융 8 4. 산업별 동향 10 5. 고용 12 6. 수출입 13 < 부록 > 수출기업 해외 공급망 현황 및 영향 조사 16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2022.2월) ] 국내외 주요 경제지표 발표 일정 18 - 1 - < 요 약 > □ 해외경제 : 2021년중 일본 성장률 1.6%, 유로존 5.2% 성장률 기록 ○ 미국은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이 소비 증가 등에 힘입어 전기비 7.0%로 상향된 가운데 올 1월 실물지표와 체감지표 간의 혼조세가 나타나는 양상 ○ 일본은 지난해 4분기중 소비와 투자 등 내수 증가에 힘입어 전기비 1.1% 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연간 전체로 1.6% 성장하고, 유로존은 역내 성장률이 4분기중 0.3%에 그친 반면에, 연간 전체로는 5.2%의 성장률을 기록 ○ 중국은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0.9%에 그치면서 둔화세가 이어진 가운데 인민은행이 대출우대금리(LPR)를 2개월 연속 인하(12.20일, 1.20일) ○ 달러화는 2월말 러시아-우크라이나의 무력 충돌에 따른 안전통화 수요 심리 강화와 3월 FOMC에서 연준의 긴축 기조 예상 등의 영향으로 강세 ○ 유가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100달러를 돌파한 데 이어, 미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발표 이후에 120달러대로 상승하는 등 강세 □ 국내경기 : 1월 전산업생산 전월비 –0.3%, 소비 감소·투자 증가 ○ 지난 1월 전산업생산은 광공업생산이 전월비 소폭 증가에 그치고, 서비스업생산이 2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임에 따라 3개월 만에 감소(-0.3%) - 소매판매는 내구재와 준내구재 판매가 동반 감소하면서 전월비 1.9% 감소하고,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의 대폭 증가에 힘입어 2.5% 증가 □ 금 융 : 2월 기업대출 증가세 둔화·가계대출 소폭 감소, 3월 초순(3.2~3.10일) 금리 강보합 및 원/달러 상승 ○ 2월 국내 은행들의 기업대출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의 증가 규모가 동반 축소되면서 전체 규모 증가세가 둔화되고, 가계대출(모기지론 양도 포함 시)도 기타대출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전체 증가 규모가 소폭 감소 - 2 - ○ 국고채(3년) 금리는 지난 2월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가 심화되면서 하락세로 전환한 이후에 소폭 반등 ○ 원/달러 환율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북한의 미사일 발사 등으로 인한 지정학적 불안 우려 가중 등의 영향으로 1,200원 돌파 □ 산업별 동향 : 1월 제조업생산·서비스업생산 전년동월비 증가 유지○ 제조업생산은 자동차 등에서 감소한 반면에 반도체와 화학제품, 전자부품, 기계장비 등에서 증가세가 이어진 데 힘입어 전년동월비 4.4% 증가 - 제조업ICT 생산은 증가세가 확대, 중공업과 경공업 생산은 동반 둔화 ○ 서비스업생산은 도소매와 운수․창고, 숙박․음식점, 전문․과학․기술서비스,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임대서비스 등에서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4.8% 증가 - ICT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동월비 3.1% 증가, 전월비 기준 32.4% 감소 □ 고 용 : 1월 전산업 취업자 수 기준 전년동월비 4.4% 증가 ○ 지난 1월 전산업의 취업자 수는 제조업을 비롯해서 농림․어업과 SOC․기타서비스업에서 취업자 증가폭이 모두 전월보다 확대된 데 힘입어 전년동월비 증가율이 2개월 연속 상승세(2.9% → 4.4%, 2002.2월 이후 최고치) □ 수출입 : 2월 수출 +20.6%, 수입 +25.1%, 무역수지 +8억 달러 ○ 올 2월 수출은 전년동월비 20.6% 증가한 539억 달러, 수입이 25.1% 증가한 531억 달러로, 무역수지는 약 8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 ○ 수출은 반도체․디스플레이․컴퓨터․석유화학․철강 등 상당수의 주력 품목들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고, 중국․미국․아세안 등지로의 수출이 동반 두 자릿수 증가율을 유지면서 2월 기준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 - 3 - 1. 해외경제 □ 미국 : 1월 경제지표 혼조, 4분기 성장률 7.0%, 2021년중 5.7% 성장○ 올 1월 생산과 소비 등 실물지표들이 증가세로 전환한 반면에, 체감지표들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지표들간의 혼조세를 반영. 지난 4분기 소비 증가 등에 힘입어 전기비 7.0% 성장률을 기록하고, 연간 전체로 5.7% 성장 - 산업생산은 광업(전월비 1.0%)과 유틸리티(9.9%)를 비롯해서 제조업 생산이 소폭이나마 증가(0.2%)하면서 전월비 증가 전환하고, 소매판매도 자동차․부품(5.7%) 판매 호조 등에 힘입어 2021.3월 이후 최대 폭 증가 - 체감지표는 ISM 제조업지수는 신규수주와 생산이 동반 하락한 영향으로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2020.1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소비자 신뢰지수도 미래 기대지수가 4개월 만에 하락한 영향으로 전월비 하락- 비농업 일자리 증가 규모가 3개월 연속 축소(+46.7만명)된 반면, 실업률이 7개월 만에 상승하고, 경기선행지수가 2020.4월 이후 처음으로 하락- 지난해 4분기중 소비 증가와 재고 중심의 투자 확대 등에 힘입어 실질GDP 성장률이 7.0%로 높아지고, 연간 전체로 1984년 이후 최고치(5.7%) 미국의 주요 경제지표 (전기비, %)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2/4 3/4 4/4 10월 11월 12월 1월 국내총생산(GDP,연율) (전년동기비, %) -3.4 5.7 6.7 (12.2) 2.3 (4.9) 7.0 (5.6) 산업생산 -7.2 5.5 1.6 0.8 1.1 1.4 0.9 -0.1 1.4 (IT생산) (7.1) (10.6) (3.3) (-1.1) (1.2) (0.4) (0.6) (0.6) (0.0) 내구재수주 -13.6 21.0 3.0 2.8 2.9 0.1 3.2 1.2 1.6 소매판매 0.2 19.4 6.6 -0.5 2.3 1.8 0.7 -2.5 3.8 소비자물가 1.2 4.7 2.0 1.6 1.9 0.9 0.7 0.6 0.6 실업률(%) 8.1 5.4 5.9 5.1 4.2 4.6 4.2 3.9 4.0 무역수지(10억U$) -676.7 -861.4 -205.0 -223.4 -229.0 -66.9 -80.1 -82.0 -89.7 ISM 제조업지수1) 52.5 60.6 61.0 60.0 60.1 60.8 60.6 58.8 57.6 소비자신뢰지수2) 100.9 112.0 122.1 116.7 112.9 111.6 111.9 115.2 113.8 경기선행지수3) 106.1 115.4 114.6 117.2 119.2 118.3 119.2 120.0 119.6 자료 : 美 상무부, 노동부, 연준, 컨퍼런스 보드, 공급자관리협회(ISM). 주 1) 기준선인 50을 상회하면 경기 확장, 하회하면 경기 수축을 각각 의미함. 2) 1985년=100, 3) 2016년=100. - 4 - □ 일본 : 12월 실물지표 감소, 4분기 1.1% 성장률, 2021년 1.6% 성장 ○ 지난해 12월중 생산과 소비가 각각 3개월과 4개월 만에 감소 전환하는 등 실물지표들이 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무역수지도 수출 둔화와 수입 증가 여파로 5개월 연속 적자. 지난해 4분기 소비와 투자의 동반 증가 전환에 힘입어 전기비 1.1%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연간 전체로는 1.6% 성장 일본의 주요 경제지표 (전기비, %) 2020 2021 연간 연간 2/4 3/4 4/4 9월 10월 11월 12월 국내총생산(실질GDP) -4.5 1.6 0.6 -0.7 1.1 광공업생산 -10.6 5.8 1.2 -3.7 1.0 -5.4 1.8 7.0 -1.0 민간기계수주 -8.5 6.1 4.6 0.7 6.5 0.0 3.8 3.4 3.6 소매판매 -3.5 2.1 -2.1 1.2 1.9 2.8 1.0 1.3 -1.2 소비자물가 0.0 -0.2 -0.6 0.4 0.3 0.3 -0.1 0.3 0.1 실업률(%) 2.8 2.8 2.9 2.8 2.7 2.8 2.7 2.8 2.7 무역수지(10억엔) 480 -1,476 434 -837 -1,616 -630 -74 -958 -583 경기선행지수1) 89.3 102.8 104.4 102.7 103.5 100.9 102.2 103.9 104.3 자료 : 日 내각부, 경제산업성, 재무성, 총무성 등. 주 1) 2015년=100. □ 중국 : 1월 소비자물가 0.9% 상승, 인민은행 금리 2개월 연속 인하○ 올 1월 소비자물가는 돼지고기 가격 하락과 코로나 변이 확산에 따른 소비 부진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비 0.9% 상승에 그치면서 2개월 연속 상승세가 둔화. 인민은행은 지난해 12월 지준율 인하(12.6일)에 이어, 대출우대금리(LPR)를 2개월 연속 인하(12.20일, 1.20일)하면서 경기 부양에 주력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 (전년동기비, %)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2/4 3/4 4/4 10월 11월 12월 1월 국내총생산(실질GDP) 2.2 8.1 7.9 4.9 4.0 산업생산 2.8 9.6 9.0 4.9 3.9 3.5 3.8 4.3 - 고정투자(누계기준) 2.9 4.9 12.6 7.3 4.9 6.1 5.2 4.9 - 소매판매 -3.9 12.5 14.1 5.1 3.5 4.9 3.9 1.7 - 소비자물가 2.5 0.9 1.1 0.8 1.8 1.5 2.3 1.5 0.9 수 출(달러화기준) 3.6 29.9 30.6 24.2 23.0 26.9 21.7 20.9 - 자료 : 중국 국가통계국. - 5 - □ 유로존 : 12월 실물지표 혼조, 역내 4분기 0.3%, 2020년 5.2% 성장 ○ 지난해 12월 생산이 2개월 연속 증가한 반면, 소비가 5개월 만에 감소하는 등 실물지표들의 혼조 속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역대 최고치(5.0%). 지난해 4분기 역내 성장률은 전기비 0.3%, 연간 전체로 5.2% 성장률 기록유로존의 주요 경제지표 (전기비, %) 2020 2021 연간 연간 2/4 3/4 4/4 9월 10월 11월 12월 국내총생산(실질GDP) -6.5 5.2 2.2 2.3 0.3 산업생산 -7.7 7.8 -0.3 -0.6 -0.5 -0.7 -1.5 2.4 1.2 소매판매 -1.0 5.1 4.0 0.9 0.3 0.0 0.3 1.0 -3.0 소비자물가(전년동기비) 0.3 2.6 1.8 2.8 4.6 3.4 4.1 4.9 5.0 무역수지(10억유로) 234.0 123.2 37.4 27.0 -10.7 5.5 0.8 -1.8 -9.7 경기체감지수1) 88.2 111.2 114.3 118.1 117.2 117.8 118.6 117.6 115.3 자료 : 유로통계청(Eurostat), 유로중앙은행(ECB) 등. 주 1) 2000년=100. □ 국제금융·유가 : 달러화 & 유가의 동반 강세 ○ 달러화는 2월초 유럽중앙은행(ECB)의 긴축 시사 등으로 유로화 대비 약세를 보인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의 무력 충돌에 따른 안전통화 수요 심리 강화와 3월 FOMC에서 연준의 긴축 기조 예상 등의 영향으로 강세 ○ 유가는 지난 2월중 이란 핵협상의 타결 기대감 등으로 제한적인 강세 흐름을 이어오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100달러를 돌파하고, 미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발표 이후에 120달러대로 상승하는 등 강세 주요 국제가격 (기말기준, %, 달러/배럴) 2021 2022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10일 엔/달러 111.11 109.72 110.02 111.29 113.95 113.17 115.08 115.11 115.00 116.14 달러/유로 1.1858 1.1870 1.1809 1.1580 1.1558 1.1338 1.1370 1.1235 1.1219 1.0986 미 국채 (10년만기) 1.47 1.22 1.31 1.49 1.55 1.44 1.51 1.78 1.83 1.99 WTI유 73.5 74.0 68.5 75.0 83.6 66.2 77.0 88.2 95.7 106.0 두바이유 73.0 73.3 69.4 75.9 81.9 71.0 76.5 87.5 97.0 119.9 자료 : 한국은행, 「국제금융속보」. - 6 - 2. 실물경제 □ 국내경기 : 1월 전산업생산 전월비 -0.3%, 소비 감소·투자 증가 ○ 지난 1월 전산업생산은 광공업생산에서 소폭 증가(0.2%)에 그치고, 서비스업생산이 2개월 연속 감소세(-0.3%)를 보이면서 3개월 만에 감소(-0.3%) - 광공업생산이 기계장비(전월비 -3.2%)의 감소 여파에도 반도체(6.1%)와 자동차(3.2%) 등에서의 동반 증가에 힘입어 전월비 0.2% 증가하고, 서비스업생산은 전문․과학․기술(-2.5%) 등에서 감소한 영향으로 0.3% 감소국내 실물경제 지표 (전년동기비, %) 2020 2021 2022 연간 연간 2/4 3/4 4/4 10월 11월 12월 1월 GDP성장률 -0.9* 4.0* 6.0* (0.8*) 4.0* (0.3*) 4.2* (1.2*) - - - - 민간소비(국민계정) 설비투자(국민계정) 건설투자(국민계정) -5.0* 7.1* -0.4* 3.6* 8.3* -1.5* 3.7* (3.6*) 12.8* (1.1*) -1.2* (-2.3*) 3.3* (-0.2*) 4.2* (-2.4*) -1.2* (-3.5*) 6.3* (1.6*) 4.0* (-0.7*) -1.7* (2.9*) - - - - - - - - - - - - 전산업생산지수 -1.1 4.9* 7.3 (0.6) 3.9 (0.9) 5.8* (1.5*) 4.9 (-0.1) 5.4 (1.2) 6.8* (1.3*) 4.3* (-0.3*) 광공업생산지수 제조업생산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 -0.3 -0.2 -2.0 7.4* 7.6* 4.4* 13.1 (-0.6) 13.4 (-0.7) 5.7 (1.7) 5.8 (1.0) 5.8 (0.9) 3.9 (1.1) 6.5* (1.2*) 6.6* (1.4*) 5.5* (1.5*) 5.1 (0.4) 5.2 (0.4) 5.1 (0.4) 6.7 (4.6) 7.0 (1.8) 5.4 (1.2) 7.4* (3.7*) 7.6* (3.7*) 5.8* (-0.4*) 4.3* (0.2*) 4.4* (0.1*) 4.8* (-0.3*) 소매판매액지수 설비투자지수 건설기성액 -0.2 5.9 -2.1 5.9* 9.6* -6.7* 5.0 (2.2) 13.2 (0.7) -7.2 (-1.9) 5.6 (0.8) 6.2 (-0.8) -8.1 (-1.1) 6.4* (1.1*) 6.3* (-0.2*) -2.9* (4.1*) 7.9 (0.0) 3.1 (-1.2) -2.1 (1.5) 4.8 (-0.7) 8.8 (3.9) -7.8 (-1.1) 6.8* (2.2*) 6.6* (2.2*) 0.5* (6.0*) 4.5* (-1.9*) 0.6* (2.5*) 6.8* (0.5*) 동행종합지수(2015=100)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112.5 98.6 116.9* 100.5* 116.6 100.5 117.6 100.8 118.7* 101.3* 118.1 100.9 118.5* 101.1* 119.5* 101.8* 120.4* 102.4* 선행종합지수(2015=100)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118.9 98.9 126.4* 101.0* 126.4 101.6 127.5 101.4 127.5* 100.4* 127.5 100.7 127.4* 100.4* 127.6* 100.2* 127.9* 100.1* 자료 : 한국은행, 통계청. 주 1) ( )안은 전기(월)비 증가율, *는 잠정치, **는 속보치. 2) 전산업생산지수는 농림어업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