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내 경제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9
용량 488.8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내 경제 전망.pdf 488.8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01 
출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페이지 수 :

2. 국내 경제 전망* 가. 최근 국내 경제 상황 □ 지난(2021년 5월) 전망 이후 국내 경제는 코로나19의 4차 대유행, 글로벌 공급 병목 의 영향 등으로 회복세가 둔화 ─ 7월 들어 델타변이가 국내에 확산되면서 음식ㆍ숙박, 오락ㆍ문화 서비스 등의 민 간소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서비스업의 성장세가 둔화 ─ 공급 차질의 영향이 큰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설비투자가 감소하고 건설투자는 부진이 지속 ─ 대외수요(수출) 추이에 따라 제조업 생산은 2분기에 감소하였다가 3분기 들어 소폭 반등 경제 성장률 추이 (단위: 전기대비, %) 2020 2021 연간 3/4 4/4 1/4 2/4 3/4 GDP 성장률 -0.9 2.2 1.1 1.7 0.8 0.3 민간소비 -5.0 0.2 -1.3 1.2 3.6 -0.3 설비투자 7.1 5.8 -0.6 6.1 1.1 -2.3 건설투자 -0.4 -3.9 3.5 1.3 -2.3 -3.0 수 출 -1.8 16.3 5.3 2.0 -2.0 1.5 제 조 업 -0.9 7.5 3.1 3.8 -1.3 0.2 서비스업 -1.0 1.0 0.6 0.7 2.1 0.4 자료: 한국은행 * 거시금융실 연구위원 장보성(bjang@kcmi.re.kr)    45 KCMI ECONOMIC OUTLOOK Ⅰ. 경제 및 통화정책 전망 민간소비 증가율과 서비스업 성장률 수출 증가율과 및 제조업 성장률 자료: 한국은행 자료: 한국은행 □ 소비자물가는 오름세가 점차 확대되면서 10월 들어 3.2%까지 상승하였고 근원물가 의 상승률30)도 확대 ─ 국제유가31)가 크게 높아짐에 따라 국내 석유류 가격도 상당폭 상승 • 다만, 유류세가 한시 인하(2021.11.12일~2022.4.30일, 20%)되면서 4분기 소 비자물가를 소폭(약 0.1%p) 낮추는 효과32) ─ 작황 불안, 생산비 증가 등의 영향으로 농산물 및 축산물 가격이 큰 폭 상승 • 곡물, 설탕, 유지류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면서 가공식품 가격도 오름세 ─ 개인서비스 등 주요 서비스 물가가 높아지면서 기조적인 물가상승 압력이 점차 증가 • 외식 및 외식제외 개인서비스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대한 기여도는 각각 0.4%p 및 0.6%p(10월, 전년말대비 기준) 30)  에너지 및 식료품 제외지수 상승률(전년동기대비): 2021.4월 1.1% → 9월 1.5% → 10월 2.4% 31)  두바이유 현물(배럴당): 2020.12월말 50.2달러 → 2021.5월말 66.6달러 → 10월말 81.9달러 32)  석유류 가격에 대한 직접효과를 기준으로 추정한 수치로 2021년 10월말 전국 주유소 평균가격(Opinet) 이용 시산 46 2021년 하반기 KCMI ECONOMIC OUTLOOK 소비자물가 상승률 및 근원인플레이션 품목별 물가상승률 및 기여도 주 : 근원은 에너지ㆍ식료품 제외지수 자료: 통계청 주 : 2021.10월(전년말대비 상승률) 기준 자료: 통계청, 자본시장연구원 나. 최근 민간소비 회복 상황 □ 실적치를 기준으로 볼 때 민간소비는 금년 3분기까지 상당히 더딘 속도로 회복 ─ 민간투자 및 수출은 2020년중 코로나19 직전 수준을 넘어선데 반해, 소비는 금 년 3분기에도 동 수준에 여전히 미달 □ 최근 들어서는 높은 백신 접종률33)과 단계적 일상회복으로의 전환 등에 힘입어 소비 회복세가 어느 정도 가시화 ─ 주요 대면서비스에 대한 소비심리가 개선되고 민간소비의 나우 캐스팅 (Nowcasting) 지표도 상승 33)  11월 12일 기준 코로나 백신 접종완료율은 전체 인구대비 77.6%, 18세 이상 인구대비 90.0%    47 KCMI ECONOMIC OUTLOOK Ⅰ. 경제 및 통화정책 전망 • 소매ㆍ여가 부문 이동성 지수가 상당폭 높아졌는데 민간소비와의 밀접한 동 행성을 고려할 때 4분기중 민간소비가 뚜렷하게34) 증가할 것으로 예상 • 민간소비의 GDP내 비중(46%, 2020년 명목 기준)을 고려할 때 경기회복 모 멘텀 측면에서 긍정적 신호 주요 대면서비스 지출 전망 민간소비와 이동성 지수 주 : 항목별 소비지출 전망 CSI 결과 자료: 한국은행 주 : 소매ㆍ여가는 Google의 소매ㆍ여가 부문 이동성 지수(2020Q1: 2020.2.15.~3.31 평균, 2021Q4: 2021.10.1.~11.7 평균) 자료: Google, 한국은행, 자본시장연구원 다. 국내 성장경로 및 물가 전망 □ 2022년중 국내 경제는 민간소비 및 수출을 중심으로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 (2021년 4.0% → 2022년 3.2%) ─ 델타변이 확산으로 회복이 지연되었던 민간소비(2021년 3.7% → 2022년 3.8%) 는 방역기조 전환과 소비심리 개선에 따라 상반기중 견조한 증가세를 나타낼 것 으로 전망 34)  소매ㆍ여가 부문 이동성 지수와 민간소비 간 관계를 바탕으로 시산해 본 결과, 연말까지 11월 1주차 정도의 이동 성이 유지된다고 가정할 경우 민간소비는 전분기대비 1.8% 내외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 단, 이동성 지수 자료는 2020년 1분기부터 가용하므로 정도 높은 분석을 위한 시계열이 충분하지 않다는 한계를 감안할 필요 48 2021년 하반기 KCMI ECONOMIC OUTLOOK ─ 수출(2021년 8.3% → 2022년 3.7%)은 미국과 유로지역을 중심으로 세계경제 의 회복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양호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 ─ 설비투자(2021년 9.4% → 2022년 5.1%)는 2021년에 비해 증가세가 다소 둔화 되겠지만 정보통신 부문을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부진한 모습을 보였던 건설투자(2021년 -1.8% → 2022년 1.9%)는 주택 및 사회기반시 설 건설을 중심으로 소폭 증가로 전환될 전망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 (단위: 전년동기대비, %) 2020 2021 2022 상반기 하반기 연간 GDP 성장률 -0.9 4.0 3.2 3.2 3.2 민간소비 -5.0 3.7 4.7 3.0 3.8 설비투자 7.1 9.4 3.2 7.0 5.1 건설투자 -0.4 -1.8 0.1 3.7 1.9 총수출 -1.8 8.3 2.8 4.6 3.7 총수입 -3.3 7.4 4.2 5.0 4.6 자료: 자본시장연구원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2년중 1.5%35) 상승할 것으로 전망(2021년 2.3% → 2022 년 1.5%) ─ 2022년에는 민간소비가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국내수 요 측면에서 물가 상승 압력이 존재할 것으로 판단 ─ 글로벌 요인의 경우 국제원자재 가격과 글로벌 공급망이 점차 안정되면서 그 영 향이 점진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전망 ─ 2021년 하반기의 높은 상승세에 따른 기저효과도 일부 작용하면서 하반기의 물가 상승률(전년동기대비)이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예상(상반기: 1.7% → 하반기: 1.3%) 35)  유류세 인하 효과(2022년 △0.11%p) 반영    49 KCMI ECONOMIC OUTLOOK Ⅰ. 경제 및 통화정책 전망 소비자물가 전망 민간소비와 개인서비스 물가 주 : 음영 구간은 전망치 자료: 통계청, 자본시장연구원 주 : 4분기 이동평균, 음영 구간은 전망치 자료: 자본시장연구원 라. 전망의 위험요인 □ 향후 물가 및 성장경로에서 국내외 경제상황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당히 높은 것 으로 평가 ─ 대외적으로는 코로나19와 글로벌 공급망과 관련된 전개상황이 국내 경기에 대 한 상ㆍ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주요국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조 기 인상, 중국 경제의 부진 및 미ㆍ중 갈등 심화 가능성도 리스크 요인으로 잠재 • 글로벌 공급망 회복 지연은 경기 측면에서는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는 한편, 물가 측면에서는 상방 요인으로 작용 ─ 국내적으로는 소비회복의 모멘텀이 하반기에도 견조하게 이어질지 여부가 주요 상방 불확실성 50 2021년 하반기 KCMI ECONOMIC OUTLOOK 전망의 위험요인 상방 불확실성(+) 하방 위험(-) • 코로나19 위험 완화 및 글로벌 공급망 회복 이후 주요국의 성장세 확대 • 민간소비가 하반기에도 높은 증가세를 지속 • 코로나19 재확산 및 글로벌 공급망 회복 지연 • 인플레이션 지속에 따른 주요국의 정책금리 조기 인상 • 중국 경제의 부진 및 미ㆍ중 갈등 심화 3. 통화정책 전망* 가. 미국 통화정책 전망 □ 연준은 2021년 11월부터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를 시작할 계획임을 밝혔는데, 종 료 시점은 경제 상황에 따라 다소 유동적 ─ 연준은 11월 FOMC에서 우선 11∼12월에 각각 150억달러씩 자산매입을 축소 할 것이며, 그 이후에는 경제 상황을 지켜보면서 진행하겠다고 언급 • 현재 매월 1,200억달러에 이르는 자산매입 규모를 감안하면, 언급한 속도로 테이퍼링 할 경우 2022년 6월에 자산매입 종료 ─ 다만 연준은 테이퍼링 종료와 기준금리 인상은 별개의 문제라고 언급 □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고려해 볼 때 연준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결정할 유일한 변수는 고용시장의 완전한 개선 여부 ─ 인플레이션은 2022년초까지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 • CPI 기준 7%대도 가능한 상황이며, 연준이 모니터링하는 가격 지표인 Core PCE 지수의 인플레이션도 4.5% 내외까지 상승할 전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69 성장동력산업 KIET 경제 산업 동향 3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3267 성장동력산업 주파수 경매 제도의 사회‧경제적 후생효과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266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실천, 학교에서 시작합니다 1도토리 조정희
3265 성장동력산업 무인기(드론) 비행을 20km까지 확장가능한 통신기술 개발 착수 1도토리 조정희
3264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공지능(AI)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63 성장동력산업 주요 산업별 인공지능(AI) 사용 현황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62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이 만들어갈 가까운 미래 120도토리 김민성
3261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을 국가 통계에 도입 및 활성화 방안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6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뉴노멀 시대의 인공지능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59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관련 주요 국가별 시장 및 정책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5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전략분야 산업 및 시장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57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기업의 비즈니스 활용 과제 120도토리 김민성
3256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55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기술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54 성장동력산업 국내 인공지능(AI) 산업 현황 조사 120도토리 김민성
3253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인공지능(AI) 연구지수 측정(AI Research Index)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52 성장동력산업 AI 관련 국내외 스타트업 사례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51 성장동력산업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3250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경제 전망(2022) 7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