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무인기(드론) 비행을 20km까지 확장가능한 통신기술 개발 착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14
용량 399.2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무인기(드론) 비행을 20km까지 확장가능한 통신기술 개발 착수.pdf 399.2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03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페이지 수 :

□ 현재 저고도에서 통신상 이유로 1km 내외만 비행 가능한 드론을, 비가시권인 최대 20km까지 비행 가능할 수 있도록 저주파수(433MHz) 대역에 기반한 드론용 통신기술을 개발하는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이하‘과기정통부’)는 433MHz 기반 드론 응용 통신기술개발 및 실증 사업(2021~2025년, 총사업비 189억원) 수행기관인 광운대학교 컨소시엄이 3월 3일 과제 착수 회의(온라인 영상회의)를 시작으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ㅇ 컨소시엄에는 주관연구기관인 광운대학교와 KAIST, 목포해양대학교, 한밭대학교 등 4개 대학과 빌리브마이크론, 쿼터니언, 에이넷솔루션, 실리콘알앤디, 쏠리드랩스, 케이에스티,  에이오비, 네드솔루션 등 8개 기업이 참여한다.

 

□ 드론은, 항공안전법 특별비행 안전기준에 따라 저고도 공역 및 비가시권 비행시 통신을 이중화(RF통신+4G‧5G 통신 기간망 등)해야 한다.

 

 ㅇ 통상 4·5세대(4G‧5G) 통신 기간망은 거리상 제약은 없지만, 기존 2.4/5GHz 대역의 RF통신은 통신거리가 1km 내외에 불과해 이보다 먼 거리의 드론 장거리 비행은 제한되어왔다.

 

 ㅇ 이에 과기정통부는 5세대(5G)+ 스펙트럼 플랜(2019.12월)을 발표하면서 최대 20km까지 통신이 가능한 433MHz 대역(RF통신) 공급을 검토하기로 하였다.

 

 ㅇ 따라서, 433MHz 대역 공급에 대비하여 국내 운용 드론에 적합한 433MHz(RF통신)+5G(기간망) 통신 및 이중화 기술 등 원천핵심기술과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플랫폼 등 개발을 추진한다.

 

□ 광운대학교 컨소시엄은 향후 5년간 433MHz 기반 통신기술 연구개발은 물론, 사업 완료 후 즉시 상용화가 가능하도록 433MHz 대역 통신을 위한 시스템온칩(SoC*)도 개발하며, 활용 분야 제시를 위해 해양관리, 방역, 물자수송, 비가시권 비행 등 장거리 비행을 실증할 계획이다.

   * System On Chip :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한 반도체

 

  ㅇ 이를 위해 기존에 433MHz 대역을 이용 중인 아마추어 무선과 혼‧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파수 공동사용 기술을 개발하고, 무선설비 기술기준을 제시한다.

 

  ㅇ 그리고, 기간망인 5세대(5G)망과 연계하여 433MHz 통신을 보조채널(이중화)로 운영하기 위한 제어기 및 보안 기술 등을 개발한다.

 

  ㅇ 이를 통한 드론 운용거리의 획기적인 확장은 국방‧치안‧보안‧건설‧물류‧컨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됨으로써 공공 및 상용 드론 시장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과기정통부 이주원 융합기술과장은 “최근 물류 배송 등 드론을 이용한 서비스 분야가 확대되는 시점에 장거리 비행을 위한 통신기술은 매우 핵심적인 요소이다.”라며,

 

  ㅇ “광운대학교 컨소시엄을 통해 433MHz 대역을 이용한 드론 통신기술을 확보하여 드론 장거리 비행을 위한 발판을 마련함으로써 국내 드론 산업 육성은 물론, 세계 드론 통신시장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든든한 조력자의 역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  433MHz기반 드론 응용 통신 기술 개발 및 실증 개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0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물류 최근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이지훈
329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글로벌 R&D 세제지원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황세영
329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해외 기술 유출 방지 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황세영
329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최근 中의 사이버보안 정책 현황: 입법 규제를 중심으로 7도토리 국준아
32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스마트 팜 최근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젠더혁신 정책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화학 산업 및 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UAM 산업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329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무역기술장벽 대응정책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노민우
329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과학기술정책 현황과 시사점(2021) 7도토리 노민우
32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 트랜드 및 시사점(2022) 7도토리 노민우
328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일본의 과학기술 및 경제안보전략 추진 현황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
32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스마트 치안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
32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3도토리 정한솔
328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경쟁법 발의 및 시사점 7도토리 강정훈
32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최근 현황 및 시사점 7도토리 강정훈
32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중고차 시장 잠재력 알아보기 3도토리 민준석
32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_어느 때보다 커진 불확실성 7도토리 민준석
32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_리셀X중고, 요즘 MZ세대의 아나바다 3도토리 민준석
3281 성장동력산업 2021 로봇 ICT 시장동향 3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