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년 수출입 동향 및 2022년 수출입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113
용량 1.8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년 수출입 동향 및 2022년 수출입 전망.pdf 1.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22 
출처 : 한국무역협회 
페이지 수 : 78 

< 목 차 >

 

Ⅰ. 2021년 수출입 동향 및 평가

Ⅱ. 2022년 무역 · 통상환경 전망

Ⅲ. 2022년 수출입 전망

Ⅳ. 품목별 수출 동향 및 전망

 


 

2021년 수출입 동향 2021년 수출은 전년 대비 24.1% 증가(6,362억 달러), 수입은 29.5% 증가(6,057억 달러), 무역수지는 305억 달러 흑자 예상 백신 보급 확대에 따른 글로벌 경기 회복 및 유가 급등으로 인한 수출단가 상승으로 올해 수출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할 전망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이 견조한 상승세를 나타내는 가운데 글로벌 수요 회복으로 석유화학, 철강 등 중간재 수출이 수출단가 상승과 함께 큰 폭의 성장세 시현 지역별로는 중국, 미국, EU 등 주요 수출시장뿐만 아니라 아세안, 인도 등 신흥지역 수출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모든 주요국 수출이 증가세를 나타냄 수입은 국제유가 급등으로 원자재 수입액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반도체제조장비 등 수출용 자본재 및 중간재 등의 수입도 견조하게 상승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호조세가 지속되면서 올해는 수출 6,000억 달러, 무역규모 1조 달러를 크게 넘어서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추정 * 총 수출액(억 달러) : (’16) 4,954→(’17) 5,737→(’18) 6,049→(’19) 5,422→(’20) 5,125→(’21e ) 6,362 2021년 수출입 실적 추정 (단위 : 억 달러, 전년 동기 대비 %) 구 분 2020년 2021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e 연간p 수출액 2,405 2,720 5,125 3,032 3,330 6,362 (증가율) (-11.3) (0.3) (-5.5) (26.0) (22.4) (24.1) 수입액 2,299 2,377 4,676 2,855 3,201 6,057 (증가율) (-9.0) (-5.2) (-7.1) (24.2) (34.7) (29.5) 무역수지 106 342 449 176 129 305 무역규모 4,704 5,097 9,801 5,887 6,531 12,419 자료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 2021년 35호 2 2021년 수출입 평가 수출은 신성장 품목을 포함한 대부분 주력 품목들이 우리 수출성장에 고르게 기여 하면서 코로나19 기저효과를 넘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 무역규모도 주요국 대비 상대적으로 빠른 회복세를 나타내면서 글로벌 무역순위도 8위로 상승(’20년 9위 → ’21년 1~8월 8위) 또한 일본 수출규제 이후 소부장 산업 육성을 위한 민·관의 노력이 이어지면서 올해 소부장 산업의 대일 수입의존도가 의미있는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음 다만, 반도체 공급난 장기화로 인한 하반기 자동차 생산·수출물량 차질, 글로벌 공급망 병목으로 인한 견조한 해상운임상승세, 요소수 등 단일국 수입의존형 원자재 수급 차질 우려 확대 등은 2021년 우리 수출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 2021년 수출입 7대 특징 1 우리 수출은 강한 회복탄력성을 바탕으로 기저효과를 뛰어넘는 역대 최대 실적 달성 - 1~8월 글로벌 무역규모 9위→8위 상승, 중국, 이탈리아에 이어 가장 빠른 무역성장세 달성 2 주력 품목의 수출이 고르게 개선 - 반도체 외에도 석유화학, 자동차, 석유제품 등 다양한 주력 품목들이 수출증가에 고르게 기여 3 차세대·신성장 수출산업의 高성장세 지속 - 8대 신산업 수출은 총 수출 대비 높은 수출성장세(1~10월 32.9%), 수출비중도 5년 연속 상승 4 소부장 산업의 對日 수입의존도 개선 움직임 가시화 - 대일 소부장 수입의존도는 2018년 18.3%에서 올해 1~10월 15.9%까지 꾸준히 개선 5 반도체 공급난 장기화로 하반기부터 자동차 생산·수출에 영향 - 하반기(7~10월) 월평균 자동차 생산·수출물량은 코로나19 이전(`19.하) 대비 80% 수준에서 정체 6 물류난 지속으로 美서안 및 EU노선을 중심으로 운임 부담 가중 - 올해 10월 상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작년 4월 대비 468% 상승(美서안 항구 차질 누적) 7 공급망 교란으로 단일국 수입의존형 원자재에 대한 수급 불확실성 확대 - 1~10월 특정국에 80% 이상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 총 3,911개→주로 중국(1,856개)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80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기술과 산업 현황 1도토리 이지훈
3279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전환 시나리오별 韓 경제사회의 중장기적 변화 전망 및 시사점 3도토리 이지훈
3278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정책의 평가와 향후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277 성장동력산업 주요국의 반도체 산업 정책 및 공급망 변화 전망 7도토리 노민우
3276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 미래성장동력을 넘어 국가안보의 핵심기술로 부상 7도토리 전아람
327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 시장동향 보고서(2021) 3도토리 전아람
3274 성장동력산업 6G 이동통신 기술 동향 1도토리 조정희
3273 성장동력산업 NFT 현황과 과제 3도토리 조정희
3272 성장동력산업 미래 스마트 팩토리 유망 서비스 3도토리 조정희
3271 성장동력산업 미국 내 메타버스 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3270 성장동력산업 자연어 음성인식 AI산업 동향 및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3269 성장동력산업 중국 메타버스산업의 발전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3268 성장동력산업 새로워진 핀테크 시장 1도토리 조정희
3267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기술 동향 및 산업 분야별 적용 사례 1도토리 조정희
3266 성장동력산업 풍력 발전 현황 및 산업 동향 1도토리 조정희
3265 성장동력산업 2022 식품외식산업 7대 이슈 1도토리 조정희
3264 성장동력산업 디지털로 바라본 우크라이나-러시아 사태 1도토리 나혜선
3263 성장동력산업 2021년 주요 완성차 그룹 실적 분석 1도토리 나혜선
3262 생명공학/바이오 스마트 의료서비스 산업 동향 3도토리 나혜선
3261 성장동력산업 차세대 질병 진단 및 스크리닝 기술 관련 연구 동향/ K-mRNA 백신을 위한 기술의 융합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