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전기상용차 최신 동향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한상윤 | 조회수 | 85 | |
---|---|---|---|---|---|---|
용량 | 3.16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전기상용차 최신 동향.pdf | 3.1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12-29 |
---|---|
출처 :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페이지 수 : | 43 |
[ 목 차 ]
제1장 개요
제2장 기술동향
제3장 산업동향
제4장 정책동향
제5장 R&D 투자동향
제6장 결론
1.1. 배경 및 필요성 자동차 산업은 온실가스 주요 배출원으로서, 친환경화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에 힘입어 친환경자동차(이하 친환경차)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음 l 기후변화 주요 원인인 온실가스 배출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자동차 부문의 비중이 높아 친환경차로의 전환 없이는 탄소중립 실현은 불가함 l 세계 주요국은 친환경차로의 전환을 위해 자동차 산업의 환경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무탄소 배출 차량 의무화 정책 등을 발표하면서 친환경화를 가속화하고 있음 - 내연기관 자동차(이하 내연차)의 배출가스 저감 효율화와 함께 무탄소 배출을 목표로 내연차 판매를 전면 중단 *하는 등의 정책1)에 초점을 두고 있음 *노르웨이(‘25), 독일(’30), 중국(’35), 미국 캘리포니아(’35), 영국(‘40), 프랑스(‘40) 등 전 세계 온실가스배출 현황 주요국 온실가스(CO2) 규제 동향 구분 2016 2017 2018 배출량 비중 배출량 비중 배출량 비중 OECD 15,612 100 15,613 100 15,670 100 에너지 12,603 80.7 12,597 80.7 12,628 80.7 수송 3,623 23.2 3,623 23.5 3,704 23.6 한국 694 100 710 100 728 100 에너지 603 86.9 616 86.7 632 86.9 수송 99 14.2 98 13.9 98 13.5 (단위 : 백만톤CO₂eq, %) 기준 한국 미국 유럽 중국 일본 ’25년 89 106.3 81 93.5 92.0 (’30) ’20년 97 116.8 95 (’21) 116.9 115.1 ’15년 140 146.7 130 156.8 (’16) 139.1 (단위 : g/km) 자료: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2021~2025) 재인용 l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의 친환경 전환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친환경차 시장은 점차 확대되고 있음 1) 전자신문(2021.04.06.), “한국, 미국, 중국 등 2035년 내연기관차 판매 금지” 2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16호 전기상용차 구분 2016 2017 2018 2019 친환경차 2,446 3,167 4,072 4,358 하이브리드차 1,742 2,001 2,146 2,294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255 370 565 510 전기차 442 737 1,238 1,491 수소차(승용) 2 3 4 8 기타 * 5 55 73 56 친환경차 비율(%) 2.61 3.30 4.26 4.77 전 세계 친환경차 시장 규모 * 기타: 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 수소차 등으로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친환경차 자료: 제4차 친환경자동차 기본계획(2021~2025) 재인용 전기차(BEV)는 기존 내연기관 및 친환경 후보 차량* 대비 다양한 강점을 보유 하고 있어 친환경차 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것 *친환경차 종류 : 전기차(BEV), 수소차(FCEV), 하이브리드차(HEV) 등으로 1.2장에서 상세 설명 l (환경성) 운행 중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CO2나 NOx를 배출하지 않으며, 소음 및 진동이 적음 l (경제성) 모터와 배터리로만 구동하여 운행비용이 저렴하고, 배터리 가격 하락 및 구매 보조금 지원으로 차량 구매 비용 또한 내연차 수준으로 저렴해질 전망 l (편리성) 내연차 및 수소차 대비 충전 속도는 길지만, 충전 인프라 확대가 이루어질 경우 충전 공간의 제약이 적고 충전 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편리성의 증대 가능성이 높음 l (생태계) 기존 내연차社와 부품社 중심의 폐쇄적・수직적 산업구조에서 배터리, 모터, 충전기 등의 새로운 플레이어의 진입으로 개방적・수평적 구조로 변화 특히, 버스, 트럭 등 상용차 부문은 다른 차종에 비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고 화석 연료 의존도가 가장 높아 친환경화가 요구됨 l 세계적으로 상용차는 다른 차종에 비해 시장점유율이 10% 수준이나, CO2 배출 비중은 46%로 가장 높고, 국내는 상용차 1대 당 CO2 배출량이 승용차보다 2.5배(트럭), 16배(버스) 수준2) l 수송부문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에너지원은 석유이며, 향후 승용차의 석유 의존도는 낮아질 전망이나, 아래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물 수송용 트럭의 의존도는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