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상반기 우리나라 경제는 코로나19 재확산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 그러나 백신 접 종 확대 및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도 코로나19 종식 및 경제 정상화 시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2020년 이후 코로나19 확산은 저금리 및 유동성 확대, 개인의 이동 및 활동 제약을 통해 생명보험산 업에 예상외의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평가된다. 성장성 측면에서는 대면채널 영업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저축보험, 변액보험이 고성장하면서 성장성이 확대되었다. 코로나19 이후 경기변동에 대응한 예비적 저축수요가 확대되고, 유동성이 증가하면서 국내외 주식 투자가 크게 증가한 바 있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자산운용에 불리한 저금리 환경에도 불구하고 건강보험 손해율 개선, 변액보험 준비금 부 담 완화 등으로 2021년 상반기 생명보험영업 손실은 크게 감소하였다. 한편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보험회사들의 대면영업 환경은 악화되었으며, 개인의 위험보장 수요에도 잠재적인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경험으로 개인의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확대 될 수 있고, 전염병 감염으로 인한 소득상실 보장 수요도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2021년 상반기에는 2020년 고성장한 저축보험 성장세가 정체되기 시작한 반면 변액보험이 고성장하 면서 전체 생명보험 성장세가 유지되었다. 그러나 보장성보험은 종신보험 위축으로 성장세가 둔화되었 다. 2021년 하반기부터는 코로나19로 인한 반사효과가 점차 소멸하면서, 기저효과가 부각되고 보험산 업의 우호적 환경요인이 희석될 것으로 예상된다. 성장성 측면에서는 저축보험 수입보험료가 기저효과 로 감소하고, 투자형 보험의 성장도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익성 측면에서는 코로나19 장기 화에 따른 피로도 누적으로 손해율 개선 효과가 점차 희석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는 이와 같은 환경 변화를 전제로 생명보험산업의 2021년 수입보험료 동향과 2022년 전망을 보 장성보험1), 저축성보험2), 퇴직연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2022년 생명보험회사가 직 면하게 될 경영과제 및 정책과제를 제시한다. Ⅱ. 보장성보험3) 2021년 상반기 보장성보험은 종신보험 위축으로 인해 성장세가 둔화되었다. 2020년 보장성보험은 대 면채널 영업환경 악화에도 불구하고 종신보험 신상품 개발 및 절판 마케팅 효과로 높은 성장세를 유 지한 바 있다. 그러나 2021년 상반기 종신보험은 신상품에 대한 불완전판매 우려, 설계사 수수료 규 제4) 등으로 판매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최근 질병 및 건강보험 초회보험료 성장이 종신보험 부진을 일정부분 대체하고 있다. 그림 1 ● 보장성보험 수입보험료 그림 2 ● 종신 및 질병·건강보험 초회보험료 증가율 50 40 30 20 10 0 2017 39.9 40.8 수입보험료(조 원) 증가율(%) 42.5 44.3 22.6 2.9 4.2 4.2 2.3 3.2 2018 2019 2020 2021 1H 60 30 0 -30 -60 ’20 1/4 ’21 1/4 2/4 -11.4 -14.4 -7.8 -9.9 -42.8 -32.9 27.8 7.9 7.2 18.7 -4.1 37.3 종신보험 질병·건강보험 3/4 2/4 4/4 (%) 자료 : 보험회사, 「업무보고서」, 각 월호 자료 : 보험회사, 「업무보고서」, 각 월호 2022년 보장성보험은 경제 정상화에 따른 수요 회복이 예상되나 종신보험 신상품 개발 위축으로 종 신보험 성장성이 약화되면서 질병·건강보험 중심의 2.7% 성장이 전망된다. 경제 정상화와 사회적 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