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코로나19 이후 항공운송산업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153
용량 651.1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코로나19 이후 항공운송산업 전망.pdf 651.1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2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 
페이지 수 : 14 

I. 팬데믹 전후의 항공운송산업 동향 2020년 전세계 항공사 매출은 코로나 영향으로 2019년 8,380억 달러에서 55.5% 감소한 3,730억 달러로 축소 Ÿ ’20년 전세계 항공사의 영업손실은 1,108억 달러로 ‘19년 432억 달러 영업이익에 비해 대폭 축소‑ ’20년 전세계 항공사 고용인원은 ‘19년 대비 15.6% 감소한 것으로 조사됨 (여객) 코로나로 인한 셧다운·국가간 이동 제한조치로 ’20년 유상여객킬로미터(RPK)는 전년 대비 65.9% 감소하며 여객 운송산업이 위기를 맞음 Ÿ 백신 접종 등으로 이동제한 조치가 완화되면서 항공 여객 운송시장은 천천히 회복 중 ‑ 국제선 및 국내선 시장이 모두 회복하면서 ’21년 12월 RPK는 ‘20년 동월 대비 79.5% 증가하였으나 아직 ‘19년 12월과 비교하면 45.5% 감소한 수준 Ÿ 팬데믹 영향으로 전세계 항공사의 ‘20년 여객 운송사업 매출은 ‘19년과 비교해서 68.9% 감소 (화물) 코로나19로 인해 ’20년 화물톤킬로미터(CTK)는 전년대비 8.7% 감소하였으나 곧 회복되어 팬데믹 이전 수준을 넘어서는 실적 달성 Ÿ ’20년 CTK는 ‘19년 대비 8.7% 감소하였으나 화물 운송 가격이 상승하며 항공사의 화물운송사업 매출은 ’19년 대비 27.7% 증가 Ÿ 전세계적인 공급망 차질과 해상 운송지연으로 항공화물 수요가 증가하여 ’21년 CTK는 ‘19년 수준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실적 달성 II. 코로나 이후 항공산업 (수요 회복)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항공여객수요는 2024년에야 2019년도 수준을 회복할 전망이며 항공화물수요는 2022년에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전망 Ÿ (여객) ’22년 국내선과 국제선 유상여객킬로미터(RPK)는 각각 ‘19년도의 93%, 44%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 ‑ 변이바이러스 확산과 백신보급에 따른 국가정책 등으로 국제 여객 운송수요 회복 속도에는 지역별로 차이가 날 전망이며 중동지역은 ’26년에야 ‘19년도 항공운송 수요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Ÿ (화물) ‘22년에도 화물톤킬로미터(CTK)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여 ‘19년도에 비해 24% 증가할 전망Ÿ (국내) ’22년 국내선 여객은 ’19년 대비 4.2% 증가를 예상하나 국제선 여객 수요는 완만한 증가세를 보이며 ‘19년 대비 4~45% 수준을 회복할 전망 ‑ 항공화물 수요 호조세는 지속될 전망으로 FSC와 LCC의 수익성 차이는 확대될 전망 2022 이슈보고서 코로나19 이후 항공운송산업 전망 - 2 - (친환경 확대) 2021년 10월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2050년까지 탄소 순배출량을 제로로 만드는 결의안 통과 Ÿ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AF) 사용, 새로운 항공기 기술, 인프라·운영 효율 증대 등을 통해 ’넷-제로(Net-Zero)‘ 달성을 목표로 함 Ÿ SAF(Sustainable Aviation Fuel)는 항공기의 탄소배출을 가장 크게 줄일 수 있는 기술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기존 연료 대비 80%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Ÿ 한 번에 장거리를 이동하는 항공기 특성상 전기·수소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항공기는 기술발전과 안전 인증 등을 거쳐 2035년에는 단거리용으로 상용화가 될 전망 III. 시사점 및 전망 코로나19 이후 업황개선이 기대되나 통합항공사의 출현 및 LCC 신규진입‧재운항 등 항공산업 재편이 예정되어 있어 항공사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노력 필요 Ÿ (FSC) 공정거래위원회는 일부 슬롯(slot)을 반납하는 조건으로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결합을 잠정 승인 ‑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통합 조건인 슬롯 반납으로 인한 통합항공사의 경쟁력 저하와 사업축소로 인한 인력 구조조정 우려도 있음 ‑ 그러나, 영업실적 악화와 높은 부채비율 해결을 위해 수익 다각화가 필요한 LCC에게 기회로 작용할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 Ÿ (LCC)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이후 자회사 LCC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의 다양한 통합 방안이 논의 중 ‑ 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 통합과정에서 공정거래위원회가 별도의 조건(ex. 매각 등)을 부여할 수도 있어 귀추가 주목됨 ‑ 장기간 이어진 코로나19로 LCC는 높은 부채비율을 보이고 있어 향후 경영실적 개선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M&A 가능성 존재 팬데믹 시기에 은퇴·해고·휴직 등으로 줄어든 조종사·승무원으로 인한 항공인력 부족 문제에 사전에 대비 Ÿ 한국의 경우 조종사·승무원 등 감원 거의 없어 인력난 우려는 없을 것으로 평가되나 휴직 인력의 재교육 등 준비 기간이 필요 ‑ 신규 조종사 육성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기존 조종사 복귀 후에도 재훈련 기간이 필요한 만큼 사전에 준비를 하여 수요회복 단계에서 경쟁력 확보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60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에 따른 전력 기술의 발전 / 풀 스택(Full-stack) 양자컴퓨터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나혜선
325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7도토리 나혜선
3258 성장동력산업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7도토리 나혜선
3257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시대, 에너지전환 과정에서의 LNG 역할 1도토리 조정희
3256 성장동력산업 2022 KB 부동산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3255 성장동력산업 KIET 경제 산업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54 성장동력산업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3253 성장동력산업 주파수 경매 제도의 사회‧경제적 후생효과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252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실천, 학교에서 시작합니다 1도토리 조정희
3251 성장동력산업 무인기(드론) 비행을 20km까지 확장가능한 통신기술 개발 착수 1도토리 조정희
325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공지능(AI)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49 성장동력산업 주요 산업별 인공지능(AI) 사용 현황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48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이 만들어갈 가까운 미래 120도토리 김민성
3247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을 국가 통계에 도입 및 활성화 방안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46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뉴노멀 시대의 인공지능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4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관련 주요 국가별 시장 및 정책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4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전략분야 산업 및 시장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4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기업의 비즈니스 활용 과제 120도토리 김민성
324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4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기술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