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메타버스(Metaverse) 산업의 이해 및 정책 과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전아람 조회수 126
용량 6.87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메타버스(Metaverse) 산업의 이해 및 정책 과업.pdf 6.8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16 
출처 : KDI 한국개발연구원 
페이지 수 : 142 

[ 목 차 ]

 

제1장 서 론
 제1절 메타버스의 부상
 제2절 메타버스의 개념과 특징
 제3절 보고서의 구성

제2장 메타버스 생태계의 구조와 작동원리
 제1절 메타버스 가치사슬

제3장 메타버스의 적용 사례
 제1절 제조 분야
 제2절 마케팅 활동
 제3절 업무 및 교육 분야
 제4절 문화⋅예술⋅여가 분야

제4장 메타버스의 산업적 가능성
 제1절 서 론
 제2절 경제적 관점에서 본 메타버스
 제3절 기업들이 보는 메타버스 산업의 변화 양상
 제4절 우리나라 메타버스 산업의 경쟁력

제5장 메타버스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
 제1절 지원정책의 방향성
 제2절 메타버스 산업 관련 법적 쟁점

참고문헌
부 록

 


 

제1절 메타버스의 부상 2020년 이후 ‘메타버스(metaverse)’는 미디어에 가장 높은 빈도로 등장 하는 단어 중 하나가 되었다. 주식시장에서는 메타버스 관련 기업이 유 망한 투자대상으로 떠올랐으며, 기존의 금융, 제조, 엔터테인먼트 등 다 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메타버스와의 연계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세계적 인 빅테크 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페이스북 등은 이미 메타버스를 통한 비즈니스 모델의 전환 및 확장을 추진 중에 있다. 페이스북은 최근 사명을 ‘메타(Meta)’로 변경한다고 발표하며, 소셜미디어 기업에서 메타 버스 기업으로의 전환을 공식적으로 선언했으며,1 마이크로소프트는 다 양한 세계가 연결되는 메타버스를 위해 플랫폼 ‘메시(Mesh)’와 협업툴 ‘팀즈(Teams)’를 결합한 새로운 플랫폼 개발을 발표했다.2 메타버스는 1992년 Neal Stephenson의 스노우 크래쉬(Snow Crash)라 는 소설 속에서 처음 등장한 용어로, 자신을 대리하는 아바타(Avatar)를 통해 활동하는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이후 2003년 3D 가상공간인 ‘세컨드 라이프(Second Life)’, 2006년 구글의 3D 지도 서비스인 ‘구글 어 스(Google Earth)’ 등이 등장하면서 메타버스가 현실세계에서 구현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메타버스에 많은 관심이 쏠린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그림 1-1]은 2016년 6월 1일부터 2021년 9월 26일까지 뉴스, SNS, 유 튜브 등 온라인 미디어 채널상 메타버스 관련 이슈의 주간 언급량을 살 펴본 것이다. 2020년 이전에는 ‘메타버스’의 언급량은 거의 없는 반면,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과 같은 기 술적 요소들은 이슈에 따라 관심도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 메 타버스에 대한 관심은 2020년 하반기부터 시작되어 2021년 2~3월에 들 어 본격화되었으며, 가상인간 루시 공개 등 이슈가 있었던 2021년 8월 무렵 최고점을 기록하였다. VR, AR과 같은 특정 기술이 아닌, 메타버스 라는 포괄적이고 새로운 용어에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60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에 따른 전력 기술의 발전 / 풀 스택(Full-stack) 양자컴퓨터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나혜선
325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7도토리 나혜선
3258 성장동력산업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7도토리 나혜선
3257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시대, 에너지전환 과정에서의 LNG 역할 1도토리 조정희
3256 성장동력산업 2022 KB 부동산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3255 성장동력산업 KIET 경제 산업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54 성장동력산업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3253 성장동력산업 주파수 경매 제도의 사회‧경제적 후생효과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252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실천, 학교에서 시작합니다 1도토리 조정희
3251 성장동력산업 무인기(드론) 비행을 20km까지 확장가능한 통신기술 개발 착수 1도토리 조정희
325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공지능(AI)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49 성장동력산업 주요 산업별 인공지능(AI) 사용 현황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48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이 만들어갈 가까운 미래 120도토리 김민성
3247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을 국가 통계에 도입 및 활성화 방안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46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뉴노멀 시대의 인공지능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4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관련 주요 국가별 시장 및 정책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4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전략분야 산업 및 시장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4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기업의 비즈니스 활용 과제 120도토리 김민성
324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4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기술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