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2년도 지능형 로봇 실행 계획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전아람 조회수 111
용량 2.2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2년도 지능형 로봇 실행계획.pdf 2.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11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페이지 수 : 49 

[ 목 차 ]

 

Ⅰ. 추진 배경

Ⅱ. 로봇산업 동향

Ⅲ. 2021년 주요성과 분석

Ⅳ. 2022년 추진방향

Ⅴ. 2022년 실행계획

Ⅵ. 추진과제 목록

 


 

□ 지능형 로봇법 제5조는 로봇산업 진흥을 위해 5년마다 기본계획을수립토록 하고, 매년 실행계획을 마련하도록 규정 ① 정부는 지능형 로봇의 개발 및 보급에 관한 이 법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5년마다 기본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③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기본계획에 따라 매년 소관별로 지능형 로봇의 개발 및보급과 그 기반조성에 관한 실행계획(이하 "실행계획"이라 한다)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 이에 따라 제조로봇 확대보급, 4대 서비스로봇 육성, 생태계강화를위해 제3차 기본계획(’19~’23)을 수립하고 매년 실행계획을 작성< 제3차 지능형로봇 기본계획 주요 내용 > 비전 로봇산업 글로벌 4대강국 도약 목표 ◆ 로봇산업 시장규모 확대 (‘23년까지 15조원) ◆ 1천억 이상 로봇전문기업 수 확대 (‘23년까지 20개사) ◆ 제조로봇 보급 대수 확대 (‘23년까지 누적 70만대) 주요 과제 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업종별·공정별 108개 로봇활용 모델개발 ▪표준모델당 10개 기업 컨설팅 및 실증보급 ▪제조로봇 도입 기업 중심 재직자 교육 ▪렌탈/리스 지원 및 민간중심 융자모델 전환  4대 서비스 로봇분야 집중 육성 ▪유망 4대 서비스 로봇 기술개발 ▪4대 서비스로봇 보급·실증→민간 확산 ▪규제개선, 해외진출 등 지원해 국내외 시장 창출 로봇산업 생태계 기초체력 강화 ▪차세대 핵심부품·SW 기술개발 ▪국산부품 실증·보급 촉진 ▪他산업에 로봇 융합기술을 확산해 新시장 창출 - 2 - Ⅱ. 로봇산업 동향 □ (해외시장) `20년 세계 로봇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3% 성장한 243억불(약 26조)로 서비스 로봇이 전체 시장성장을 견인 < 세계 로봇시장 매출액(단위 : 백만달러) >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전년 대비 연평균전 체 15,584 16,949 24,086 27,018 23,559 24,257 3% 6%제조용 로봇 8,758 10,598 13,918 13,854 13,753 13,168 -4% 8%서비스용 로봇 6,826 6,351 10,168 13,164 9,806 11,089 13% 10%* 출처 : World Robotics 2021(`21.10월, IFR) ㅇ (제조용) 팬데믹 기간 전자제품에 대한 소비 급증으로 전기·전자(+23%) 증가하였으나, 자동차 시장축소( 22%)로 전년대비 4% 감소한 132억불 * (전기·전자) `19년 88,925대→`20년 109,315대(23%), (자동차) `19년 101,875대→`20년79,849대(△22%), (금속/기계) ‘19년 45,843대 →`20년 41,332대(△10%) ㅇ (서비스용) 의료로봇(+174%) 증가 및 소독로봇 등 전문청소로봇(+95%), 실내배송 등 물류로봇(+33%) 분야 증가로 전년대비 13% 성장한 111억불 * (의료) ’19년 6,518대→’20년 17,884대(174%), (전문청소) ’19년 17,895대→’20년 34,433대(92%), (물류) ‘19년 32,680대→’20년 43,519대(33%) ** 주요 서비스용 로봇 세계시장 규모(’21년, 출처: IFR) : 가정(43억불), 의료(36억불), 물류(10억불), 필드(9.5억불), 전문청소(3.2억불), 검사·유지(2.5억불) 등 □ (국내시장) ‘20년 기준 5.5조원으로 연평균 5.4%로 성장 추세이며, 서비스용 로봇 시장의 급성장으로 전체시장은 전년대비 2.6% 증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60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에 따른 전력 기술의 발전 / 풀 스택(Full-stack) 양자컴퓨터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나혜선
325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7도토리 나혜선
3258 성장동력산업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7도토리 나혜선
3257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시대, 에너지전환 과정에서의 LNG 역할 1도토리 조정희
3256 성장동력산업 2022 KB 부동산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3255 성장동력산업 KIET 경제 산업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54 성장동력산업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3253 성장동력산업 주파수 경매 제도의 사회‧경제적 후생효과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252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실천, 학교에서 시작합니다 1도토리 조정희
3251 성장동력산업 무인기(드론) 비행을 20km까지 확장가능한 통신기술 개발 착수 1도토리 조정희
325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공지능(AI)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49 성장동력산업 주요 산업별 인공지능(AI) 사용 현황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48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이 만들어갈 가까운 미래 120도토리 김민성
3247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을 국가 통계에 도입 및 활성화 방안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46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뉴노멀 시대의 인공지능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4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관련 주요 국가별 시장 및 정책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4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전략분야 산업 및 시장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4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기업의 비즈니스 활용 과제 120도토리 김민성
324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4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기술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