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손해보험업_자동차보험료 인하 결정, 손익 영향 크지 않음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93
용량 518.11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손해보험업_자동차보험료 인하 결정, 손익 영향 크지 않음.pdf 518.1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16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커버리지 3사 4월부터 자동차보험료 인하 결정 - 삼성화재를 필두로 당사 커버리지 손해보험사 3사는 모두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하기로 결정하였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평균 인하율은 삼성화재 -1.2%, DB손해보험 -1.3%, 현 대해상 -1.2%다. 3사 모두 개인용, 업무용에 한해 인하를 결정하였으며 영업용은 3% 인 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정된 보험료는 4월 중순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 통상적으로 자동차보험 경과보험료 중 개인용 비중이 70%를 상회하며 업무용이 20% 이상, 그리고 영업용은 3% 가량 차지한다 - 보험료 인하는 2021년 손해율 하락에 근거하며 3사 평균 2020년 대비 -4.3%p 하락하 였다. 올해 1월 삼성, DB, 현대의 가마감 손해율은 각각 82%(YoY -0.4%p), 86%(YoY +3%p), 84.9%(YoY +0.8%p)로 DB손해보험이 크게 상승했으나 삼성화재는 오히려 하락 하는 등 평월 대비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이 유지되고 있다. 요율 조정 방식은 2017년도와 유사. 금번 결정으로 자보 손해율 +0.8%p 상승 전망 - 2017년 8월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보험료를 조정하였다. 당시 보험료 인하가 2016년부 터 총 3차례에 걸쳐 진행됐기 때문에 당시 평균 손해율은 크게 상승했으나 금번 결정은 1회성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어 영향이 크지 않다. 우리는 이번 인하로 3사의 경과보험 료가 400억원~555억원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며 이는 자동차보험 손해율을 +0.8%p 상승시킬 것으로 전망한다 손해율 상승 불가피 하나 하반기부터 적용될 제도 개선에 거는 기대 - 금번 자동차보험료 요율 조정이 손익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하 분 만큼 특약조정을 통해 방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 보다는 하반기 마련될 한방진료 가이드라인이 더 중요하다 - 최근 5년간 경상환자 진료비 중 한방진료비 비중은 73%까지 증가하였으며 금액은 1조 원에 육박한다. 따라서 양방진료와 동일하게 보험료 지급기준이 마련된다면 손해액 감 소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 뿐만 아니라 상해등급 14~16등급의 환자를 경상환자로 분류하는데 이들의 보험금 비 중은 66%를 차지하며 진료비 기준으로는 3조원으로 중상 진료비 1.5조원의 두 배에 달 한다. 2023년 1월부터 경상환자에 대한 합리적인 치료비 지급 체계가 적용될 예정이며 이 또한 자보손해율 하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도 개선은 발생손해액에 대한 통제권을 보험사가 확보한다는 점에서 긍정적 - 제도 개선은 발생손해액에 대한 통제권을 보험사가 조금 더 확보할 수 있게된 점이 긍 정적이며 자동차보험 손해율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 - 특히 경상환자 과잉진료 및 상급병실이용, 그리고 한방진료는 대표적인 자동차보험금 누수의 주범이었으며 업계가 장기간에 걸쳐 개선을 요구하던 항목이었다. 2021년 주요 손해보험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80.9%로 2020년 대비 -4.3%p하락하였는데 이는 지난 4월 시행된 안전속도 5030 영향도 일부 있으며 이처럼 제도가 지속적으로 개선되 며 손해율 안정화에 이바지 하는 상황이다 - 어쨌든 요율조정으로 손해율이 하락하는 시기는 지났기에 제도적인 지원이 더욱 필요 하다. 제도는 요율조정보다 좀더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기에 즉각적인 손해율 하락이 나타나진 않을 것이나 전술하였듯 손해액에 대한 통제권을 보험사가 좀더 확보할 수 있 는 것이 긍정적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60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에 따른 전력 기술의 발전 / 풀 스택(Full-stack) 양자컴퓨터 기술 현황과 전망 7도토리 나혜선
325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7도토리 나혜선
3258 성장동력산업 한ㆍ러 경협 활성화를 위한 중소기업의 역할과 과제 7도토리 나혜선
3257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시대, 에너지전환 과정에서의 LNG 역할 1도토리 조정희
3256 성장동력산업 2022 KB 부동산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3255 성장동력산업 KIET 경제 산업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54 성장동력산업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3253 성장동력산업 주파수 경매 제도의 사회‧경제적 후생효과 분석 7도토리 조정희
3252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실천, 학교에서 시작합니다 1도토리 조정희
3251 성장동력산업 무인기(드론) 비행을 20km까지 확장가능한 통신기술 개발 착수 1도토리 조정희
325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인공지능(AI)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49 성장동력산업 주요 산업별 인공지능(AI) 사용 현황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48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이 만들어갈 가까운 미래 120도토리 김민성
3247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을 국가 통계에 도입 및 활성화 방안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46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뉴노멀 시대의 인공지능 역할 120도토리 김민성
3245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관련 주요 국가별 시장 및 정책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4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전략분야 산업 및 시장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4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시장분석과 기업의 비즈니스 활용 과제 120도토리 김민성
324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324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인공지능(AI) 관련 기술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