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자동차_실제보다 많은 것이 반영된 러시아발 우려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08
용량 524.9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자동차_실제보다 많은 것이 반영된 러시아발 우려.pdf 524.9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3-16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실제보다 많은 것이 반영된 러시아발 우려 2021 년 러시아 산업수요는 167 만대 기록, 글로벌 시장 내에서 비중은 2.1% 수준. 르노-닛산, 현대차그룹, 폭스바겐의 점유율이 높은 시장.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슈로 예 상되는 판매량 감소도 우려지만, 환율변화에도 주목할 필요. 다만 주가를 확인하면 판 매량과 환율 이외에도 글로벌 수요 불확실성, 원가 상승, 부품 및 물류 차질 등 다양한 우려가 반영되었다는 판단. 불확실성 해소 이후 일정수준 이상의 반등이 가능할 전망 러시아 자동차산업 현황 - 2021 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수요는 167 만대를 기록, 2018 년 180 만대까지 기록 했으나 COVID19 로 감소한 이후 회복한 모습. 글로벌 자동차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1 년 기준 2.1%으로 2016 년 1.6% 대비 0.5%p 상승 - 러시아 시장에서 가장 많은 판매를 기록하고 있는 그룹은 르노-닛산, 그 뒤를 이 어 현대차그룹과 폭스바겐, 도요타 순. 전체 판매에서 러시아 판매가 차지하는 비 중을 보면, 르노-닛산은 8.8%, 현대차그룹 5.8%, 폭스바겐은 2.5%를 기록하며 글 로벌 내 러시아수요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높은 수준 - 판매량에서 주목할 부분은 앞서 언급한 상위업체를 제외하면, 상당수 업체들의 러 시아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점. 2021 년 기준으로 Ford 20,842 대, GM 은 3,423 대, 혼다 1,324 대로 전체 판매량 내에서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0.5%, 0.1%, 0.0% 수준으로 낮은 편. 과거 판매량과 비교해도 감소 - 생산능력에서도 확인 가능. 산업자료에 따르면 GM 은 기존 10 만대 에서 2021 년 0 만대로 공장철수, Ford 도 과거 35 만대에서 8.5 만대로 축소. 폭스바겐은 29.2 만 대로 일정 규모를 유지하고 있으나 과거 35.5만대와 비교하면 감소한 상황 - 세그먼트별로 판매를 비교하면 글로벌 트렌드와 유사하게 CAR 부분은 감소하고 SUV 비중은 상승. 2016 년과 2021 년을 비교하면 A+B 는 27.9%→22.2%, C 는 21.1%→16.1%로 감소한 반면, SUV-C 는 20.9%→28.6%, SUV-D 는 7.6%→ 12.0%로 높아짐 실제보다 많은 것이 반영된 러시아발 우려 - 러시아-우크라이나 이슈로 예상되는 판매량 감소도 우려요인이지만, 환율변화에 도 주목할 필요. 과거 2014 년~2015 년에도 환율 변동으로 환차손과 수출 및 CKD 에서 비용증가하며 러시아 지역 큰 폭의 손실 발생 - 다만 판매량 변화와 환율 이외에도 주가에는 우려가 많이 반영되었다는 판단. 2월 이후 주요 업체의 주가 변동에서도 이를 확인가능. 러시아 비중이 높은 르노의 하 락폭이 가장 컸지만, 러시아 시장의 영향력이 제한적인 GM, Ford, Stellantis 등의 하락폭도 컸음. 해당 기간 동안 추정치는 다른 지역에서의 수익성 개선 활동으로 대부분 상승하거나 유지되며, 주가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임 - 결국 주가는 러시아에 국한된 이슈가 아닌, 이로 인한 글로벌 수요 불확실성, 원가 상승 가능성, 물류 및 부품수급 차질 등의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는 판단. 역설적으 로 러시아 우려가 완화되기 시작하면 일정수준의 반등이 가능할 전망. 신흥국 환율 등 매크로 지표 변화에 주목할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40 성장동력산업 국내 인공지능(AI) 산업 현황 조사 120도토리 김민성
32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인공지능(AI) 연구지수 측정(AI Research Index)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38 성장동력산업 AI 관련 국내외 스타트업 사례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37 성장동력산업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3236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경제 전망(2022) 7도토리 김민성
3235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및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34 성장동력산업 韓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리스크 및 대응방안 3도토리 안소영
3233 성장동력산업 2021년 수출입 동향 및 2022년 수출입 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32 성장동력산업 2022 개인정보보호 7대 이슈 전망 3도토리 안소영
3231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산업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30 성장동력산업 거시경제 전망(2022) 1도토리 안소영
322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주요국의 XR 정책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228 성장동력산업 2022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한상윤
3227 성장동력산업 2022 세계 경제 전망 3도토리 한상윤
3226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금융시장의 전망과 중소기업 3도토리 한상윤
322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산업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24 성장동력산업 2022년 국제정세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23 성장동력산업 전기상용차 최신 동향 3도토리 한상윤
3222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전망(2022) 3도토리 민준석
3221 성장동력산업 생체인식 시장동향 보고서(2021)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