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ESG 경영과 GRC 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83
용량 485.51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ESG 경영과 GRC 전략.pdf 485.5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13 
출처 : 생명보험협회 
페이지 수 : 12 

최근 ESG 경영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ESG는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를 의미하는데 지속 성장을 추구하는 여하한 비즈니스는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거버넌스 향상을 꾀하 는 경영을 해야 한다는 것으로서 ESG 경영은 말 그대로 지속 가능 경영의 내용이다. 계속기업(going concern)의 비즈니스 목표는 지속 가능 성장에 있는데, 필자는 지속 가능 성장을 안정 속의 성장으 로 정의한다. 안정이 동반된 성장이라야 의미가 있는 것이다. 비즈니스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GRC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GRC는 Governance, Risk, Compliance의 약자로 조직의 지배구조, 리스크 관리, 준법활동을 총체적으로 다루는 전략을 의미한 다. GRC는 한 조직이 비즈니스 목표에 맞추어 발전 및 운영 방향을 전사적으로 설정하고 구성원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조직을 투명하게 운영하며, 의사결정을 원활하게 하고, 조직이 당면한 제반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법과 규제의 준수 및 내부통제를 충족시키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핵심 전략인 리스크 관리 기능이 한 조직에 내재화되어 체화되고 타 기능들과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비즈니스 지 속 가능 성장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글은 ESG 경영을 통해 지속 가능 성장을 추구하는 비즈니스가 필히 취해야 할 GRC 전략을 통합적 으로 분석하고, 리스크 관리 기능의 핵심인 보험이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고찰해 본다. Ⅰ•지속 가능 경영으로서의 ESG 경영 1. 비즈니스 지속 가능 경영 지속 가능 성장의 개념이 발전하여 조직의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책임을 바탕으로 기업의 지속 가능 한 발전을 추구하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인 지속 가능 경영이 등장했다. 가격 경쟁력에 승부를 걸었 던 1970-1980년대와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 향상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던 1990년대를 거쳐, 이제 는 기업과 브랜드의 이미지 개선이 치열한 글로벌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해 필수적인 시대로 접어들었 다. 즉, 기업의 가치를 측정하는 데 있어 과거에는 기업이 보유한 유형 자산이 절대적인 기준이 되었으 나, 지금은 경제적 성과가 우수한 것은 물론이고 사회 및 환경적 가치 역시 균형 있게 창출해내는 지 속 가능 경영 실천 기업만이 장기적으로 생존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소위 이해관계자(stakeholders)는 조직의 활동, 제품 또는 서비스로부터 중대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거나 조직이 성공적으로 전략을 이행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데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단체 나 개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글로벌화의 가속화는 이러한 이해관계자들이 더욱 다양해지고 복잡해지 는 계기가 되었다. 따라서 글로벌 경쟁체제에서 성공하는 지속 가능한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고객, 협 력업체,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갖고 있는 경제적·사회적·환경적 측면의 관심 사안들을 경영활동에 반영하고 이들과의 신뢰관계를 강화해 나아가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40 성장동력산업 국내 인공지능(AI) 산업 현황 조사 120도토리 김민성
32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인공지능(AI) 연구지수 측정(AI Research Index)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38 성장동력산업 AI 관련 국내외 스타트업 사례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37 성장동력산업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3236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경제 전망(2022) 7도토리 김민성
3235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및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34 성장동력산업 韓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리스크 및 대응방안 3도토리 안소영
3233 성장동력산업 2021년 수출입 동향 및 2022년 수출입 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32 성장동력산업 2022 개인정보보호 7대 이슈 전망 3도토리 안소영
3231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산업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30 성장동력산업 거시경제 전망(2022) 1도토리 안소영
322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주요국의 XR 정책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228 성장동력산업 2022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한상윤
3227 성장동력산업 2022 세계 경제 전망 3도토리 한상윤
3226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금융시장의 전망과 중소기업 3도토리 한상윤
322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산업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24 성장동력산업 2022년 국제정세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23 성장동력산업 전기상용차 최신 동향 3도토리 한상윤
3222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전망(2022) 3도토리 민준석
3221 성장동력산업 생체인식 시장동향 보고서(2021)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