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start-up 생태계 관점으로 본 신생 기업 생존의 영향 요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00
용량 646.96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start-up 생태계 관점으로 본 신생 기업 생존의 영향 요인.pdf 646.9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06 
출처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페이지 수 : 24 

 [ 목 차 ] 

 

1. 서론

2. 신생기업 생존에 대한 원인조건 결합관계 분석

3. 결론 및 시사점

 


 

신규고용 창출, 신제품‧서비스 확산 등 신생 스타트업이 지역사회, 국가 경제에 끼치는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주요국들은 이에 대한 육성‧지원 정책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중•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중소기업 창업지원계획(2021.8)’을 발표하였으며, 신생 스타트업에 대한 다양한 지원책들을 추진할 계획신생기업(new firm)은 신규 고용을 창출하고 국가 경제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반면 낮은 생존율과 성장률 문제에 직면•이러한 신생기업의 불리함(liability of newness)은 새롭게 창출된 기업이 태생적으로 가지는 부족한 자원, 역량, 경험으로 인해 발생•‘중소기업 창업지원계획(2021.8)’에서도 창업기업의 낮은 생존율이 언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확인할 수 있음본고는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국가적 생태계 관점에서 신생기업의 생존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함•다양한 원인조건(cause)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관점에서 결과조건(outcome)에 대한 필요조건1)(단일요인)과 충분조건2)(다수요인 결합)을 검증하기 위해 퍼지셋 질적비교분석3) 실시1) necessary condition2) sufficient condition3)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fsQCA) - 원인조건으로 (1)스타트업 투자, (2)신기술 활용, (3)네트워킹, (4)기회적 창업, (5)경쟁, (6)국제화를 적용높은 신생기업의 생존율은 단일한 원인조건을 통해 달성하기 어려우며, 다양한 원인조건의 결합(combinations of causal conditions)을 통해 생존율 향상 가능•높은 생존율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지원조건에 정책역량이 집중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지원조건들을 동시적으로 고려하는 정책적 조치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특히 높은 생존율에 영향을 끼치는 원인조합들 중 높은 수준의 기회적 창업, 경쟁 정도, 국제화가 공통적으로 포함- 신생기업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기회적 창업과 국제화가 활발하고 이러한 상황과 더불어 경쟁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한국은 스타트업 투자, 신기술 활용, 경쟁 정도의 수준이 높고, 나머지 요인들은 낮은 수준으로 분석됨•우리나라의 경우 높은 신생기업 생존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국제화 정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창업지원계획’ 내용으로 제시된 ‘국내 스타트업 글로벌화’ 신규추진 내용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관심과 노력이 필요신생기업의 생존율 향상을 위해 경쟁 환경에 대한 중요성 인식 필요•‘3년후 생존’과 같은 중기적 관점에서는 기회적 창업, 국제화와 더불어 높은 경쟁 정도가 결합되는 조건이 주요한 것을 확인•이는 활발한 기회적 창업, 국제화의 상황에서 높은 경쟁 수준이 신생기업에게 경쟁 강도가 약한 니치마켓(틈새시장)을 찾는 노력을 촉진하거나, 제품 또는 서비스 차별화 등 통해 다른 기업과 경쟁하며 발전을 추구함으로서 높은 생존율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40 성장동력산업 국내 인공지능(AI) 산업 현황 조사 120도토리 김민성
3239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인공지능(AI) 연구지수 측정(AI Research Index)과 시사점 120도토리 김민성
3238 성장동력산업 AI 관련 국내외 스타트업 사례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3237 성장동력산업 초거대 인공지능 개발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조정희
3236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경제 전망(2022) 7도토리 김민성
3235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및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3234 성장동력산업 韓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 리스크 및 대응방안 3도토리 안소영
3233 성장동력산업 2021년 수출입 동향 및 2022년 수출입 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32 성장동력산업 2022 개인정보보호 7대 이슈 전망 3도토리 안소영
3231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산업전망 7도토리 안소영
3230 성장동력산업 거시경제 전망(2022) 1도토리 안소영
322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주요국의 XR 정책 동향 1도토리 한상윤
3228 성장동력산업 2022 국내 경제 전망 1도토리 한상윤
3227 성장동력산업 2022 세계 경제 전망 3도토리 한상윤
3226 성장동력산업 2022년 경제 및 금융시장의 전망과 중소기업 3도토리 한상윤
3225 성장동력산업 2022년 산업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24 성장동력산업 2022년 국제정세전망 7도토리 한상윤
3223 성장동력산업 전기상용차 최신 동향 3도토리 한상윤
3222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전망(2022) 3도토리 민준석
3221 성장동력산업 생체인식 시장동향 보고서(2021)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