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내외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는 주요국의 기술 주권 확보 전략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42
용량 2.07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내외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는 주요국의 기술 주권 확보 전략 및 시사점.pdf 2.0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31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56 

[ 목 차 ] 

 

| 요 약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주요국의 기술주권 확보 전략

Ⅳ. 결론 및 시사점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l 무역 마찰에서 시작된 미·중 전략경쟁은 미국의 혁신경쟁법 발의와 동맹국의 참여요구, 중국의 대응과 글로벌 거버넌스 변화로 인해 불확실성이 증대함 l 기후변화, 팬데믹과 같은 글로벌 난제 해결을 위한 전환적 혁신과 함께, 미·중 전략경쟁 으로 인한 기술 블록화, 탈동조화에 대응하는 기술주권 확보전략 기조가 강화됨 l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는 주요국의 과학기술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비교· 분석을 통한 국가차원의 기술주권 확보 전략 수립이 시급 n 기술주권(Technology Sovereignty) l 기술주권은 “어떠한 국가·연방이 자국의 복지, 경쟁력에 없어서는 안 될(Critical) 기술을 직접 공급 하거나 다른 경제권으로부터 일방적인 구조적 의존 없이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함(Edler et al., 2020) l 기술주권의 범위: 경제(Economic) 주권과 혁신(Innovation) 주권의 하위 개념으로 디지털 주권, 데이터 주권, 미디어 주권 등의 내용을 포함함(VDE, 2021) l 기술주권의 유형: ①전통적 주권 임무, ②사회 수요 충족, ③경제 경쟁력의 영역으로 구분되며, 영역별 기술 주권 전략 수립이 중요 n 전략 및 신흥 기술(Critical and Emerging Technology) l 전략 기술(Critical Technology)은 국가 안보와 군·민 수요 충족의 관점에서 지정·관리 되어 왔으며, 최근 산업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음 l 미국은 자국의 국가 안보(군사 우위, 정보 우위, 경제 우위)에 핵심적인 기술을 전략 기술로 정의한 반면, 중국은 대외 의존도와 기술 난이도가 높고, 산업적 가치가 큰 핵심 기술군을 전략 기술로 정의하고 있음(陈劲 & 朱子钦, 2021) l 미·중·EU·일본 등 주요국이 핵심 국가전략(미국혁신경쟁법, 중국14차 5개년 계획 및 2035 원경목표)에서 지정하고 있는 핵심 기술 영역은 대부분 중복되는 경향이 있음 | 요 약 | 3 n 미국의 기술주권 확보 전략 l 미국은 중국과의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전략기술 육성 및 보호 정책을 추진 하고 있으며, 자국 내 기술 혁신 장려, 공급망 안정화, 대중국 견제를 동시에 추진 - (첨단기술 투자) 10대 전략기술 분야를 선정하여 기초·응용을 포괄하는 기술혁신에 대한 공공투자를 확대하고, 대학 연구, 정부 투자, 시장을 유기적으로 연계 - (공급망 안정화) 반도체 생산 및 차세대 5G 구축을 위한 R&D 및 인센티브, 국제협 력 지원을 통해 핵심 분야 공급망 자립을 확보 - (대중국 견제) 중국의 패권 도전 대응 및 미국의 리더십 확보를 위해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중국의 비시장적 경제통상 관행에 적극 대응 n 중국의 기술주권 확보 전략 l 미국의 강도 높은 견제와 기술 동맹 구축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 정부는 ‘14차 5개년 및 2035 중장기 계획’을 통해 기술주권 확보 전략을 발표 - (과학기술혁신 지원) 기초 연구 지원 강화, 핵심기술 투자 확대, 과학기술 인프라 효율화, 과학기술혁신시스템 고도화 등을 추진 - (핵심 산업 자립) 대외 의존도가 높고, 미국의 기술 제재가 집중되는 영역의 민간 기업 연구개발 및 유치 확대, 핵심 부품 장비의 기술 자립 지원을 추진 - (인력 양성) 미래 전략기술 및 첨단산업 분야의 핵심 인재 양성 추진 n EU의 기술주권 확보 전략 l 유럽은 개방형 다자주의의 토대 위에서 전략적 우위를 점하는 ‘개방형 전략적 자율성 (Open Strategic Autonomy)’을 통해 기술주권을 확보하는데 집중 - (연구 개발) 혁신성 강화와 전 지구적 도전과제 해결 주도를 위한 연구개발 추진 - (혁신 전략) ‘EU 신산업 전략’, ‘디지털 컴퍼스 전략’을 통한 녹색·디지털 트윈 전환 추진 및 반도체 역량 확보 - (국제 협력) 전략·개방성·상호호혜성을 추구하는 “Team Europe” 국제협력 추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243 성장동력산업 스마트홈 시장동향 보고서 2021 3도토리 나혜선
3242 성장동력산업 미래우주에서 우리의 역할 3도토리 노민우
»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는 주요국의 기술 주권 확보 전략 및 시사점 7도토리 한상윤
3240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간극의 미래 3도토리 한상윤
3239 성장동력산업 로봇의 확산과 직무의 변화 3도토리 이지훈
3238 성장동력산업 2022년도 마이데이터 시대 시작 1도토리 이지훈
3237 성장동력산업 불붙는 위성통신 경쟁 3도토리 이지훈
3236 성장동력산업 中 국가 자본주의 기술굴기와 그 의의 3도토리 이지훈
323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지니너스_윤석열 헬스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1도토리 황세영
323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샘_윤석열 정부 부동산 정책 수혜 가능할 듯 1도토리 이지훈
323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_가시화되는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2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_원전의 부활! 수혜 기업은 어디 3도토리 이지훈
3231 성장동력산업 플랫폼 사업의 습격과 소프트웨어 솔루션 발전 3도토리 조정희
3230 성장동력산업 초고령화사회 대비 퇴직 준비와 노년층 교육 제도화 추진 3도토리 노민우
3229 성장동력산업 COVID-19 3년차, 우리는 잘 적응하고있나? 3도토리 노민우
3228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Metaverse), 금융의 글로벌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227 성장동력산업 클라우드(Cloud) 산업 현황과 핵심 성장 원인 분석 1도토리 조정희
3226 성장동력산업 수출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동향과 영향 연구 1도토리 조정희
3225 성장동력산업 오피스텔 백만 시대의 결실과 과업 3도토리 조정희
3224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혁신과 마이데이터 추진 법,제도적 현안과 과제 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