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로봇의 확산과 직무의 변화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42 | |
---|---|---|---|---|---|---|
용량 | 2.81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로봇의 확산과 직무의 변화.pdf | 2.8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12-30 |
---|---|
출처 : | 한국로봇산업진흥원 |
페이지 수 : | 38 |
[ 목 차 ]
Ⅰ. 연구개요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데이터의 구성과 특징
Ⅳ. 분석 모형 및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일본 경제산업연구소(RIETI)가 ’21.11월 발표한 ‘로봇의 확산과 직무의 변화’는 산업
현장에서 로봇의 도입이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직무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데이터를 구성하고 실증 결과를 제시
- ’78년부터 장기 시계열을 보유한 일본 로봇협회의 데이터와 후생노동성의 임금구조 기초조사, 노동정책연구연수기구의 J-O-net 데이터를 이용하여 직무 투입 변화를 추적
■ 로봇의 도입으로 직무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데이터를 활용 및 가공
- 로봇 적용분야별로 세분류된 일본로봇협회의 데이터를 이용, 특히 생산현장에 적용되는
조립, 디스펜싱, 이송, 가공, 용접 및 기타 적용 영역별로 영구재고법을 이용하여 로봇 자본 스톡(로봇 투자 정도)을 측정
- 하나의 일자리가 단일한 직무로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산업별로, 일자리 특성별로
직무의 상대적 비중이 상이(ex: 로봇 도입으로 전자 및 수송기계 산업에서 반복적인 수작업 직무와 비반복적 수작업 직무는 ’80년대에 지속 감소한 반면, 다른 직무는 증가) - 생산 현장의 직무를 성격 별로 ① 비반복적적이고 분석적 직무 ② 비반복적이고 상호 교류하는 직무 ③ 비반복적인 수작업 직무 ④ 반복적이고 인지능력이 요구되는 직무 ⑤ 반복적인수작업 직무 등 5가지로 나누고 각각의 직무에 점수를 부여
- 이러한 분석을 추진할 경우, 일의 특성, 일에 내재된 직무의 구성 변화를 추적 가능
■ 거시적 차원의 전국 수준 분석과 지역 수준 분석을 병행한 결과, 로봇의 보급 정도가 높아질수록, 반복적인 수작업 기반의 직무는 감소하는 반면, 인지능력에 기반하는
직무는 상대적으로 증가
- 로봇 스톡(보급)의 증가에 따라 반복적인 수작업 직무의 투입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비반복적이고 분석적인 직무, 비반복적이고 상호 교류하는 직무, 반복적이고 인지능력이 요구되는 직무의 투입은 상대적으로 증가
- 이 같은 결과는 로봇 도입으로 인한 대체효과(displacement effect)가 발생한다는 것을
증명한다기 보다는 직무가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
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