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이차전지 분리막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전기전자 분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42
용량 3.7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이차전지 분리막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전기전자 분야].pdf 3.7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04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페이지 수 : 33 

[ 목 차 ]

 

1. 개요
2. 산업 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4. 주요 플레이어 특허동향
5. 전략제품 기술 개발 전략

 


 

1. 개요 가. 정의 퍀 이차전지 분리막은 이차전지 내 양극과 음극 두 전극을 격리시켜 물리적 접촉에 의한 전기적 단락을 차단하고 미세기공 내에 담지된 전해액을 통해 이온이 두 전극 사이로 이동할 수 ,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미세 다공막 ▪다공성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필름인 분리막은 제조공정에 따라 습식과 건식으로 구분(PE) (PP) 강화막은 폴리올레핀 수지의 기계적 열적 특성을 보완하고자 다공성 고분자막의 표면에 세라믹 ·▪ 입자층을 형성시켜 고온에서도 분리막의 기계적 수축을 방지 이차전지 구성 및 이차전지 분리막 [ ] 자료 삼성* : SDI(2019) 3. 이차전지 분리막 - 2 - 퍀 분리막 소재 및 구조에 따라 미세 다공성 단층 또는 다층 고분자 멤브레인 부직포형 멤브레인 , 및 무기질이 코팅된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소재로 나눌 수 있으며 각 소재 제조방법에 따라 , 습식막 건식막 및 강화막으로 분류, 이차전지 분리막의 기술적 특징 [ ] 분 류 기술적 특징 미세다공 단층 다층/ 멤브레인 · (Polyolefin, PO) 분리막에 미세다공구조를 갖게 한 고분자 분리막으로 폴리올레핀 계열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이 단층 또는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다층구조 · 분리막의 형성방법에 따라 습식방식과 건식방식으로 구분 습식 분리막은 건식 분리막에 비해서 강도가 우수하지만 전기적인 특성이 다소 부족함 * . 건식 분리막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 때문에 전기차 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 적합하며 생산 단가가 낮아 가격경쟁력이 우수 부직포형 멤브레인 · 부직포형 매트 분리막은 고분자 섬유질을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고정해서 만듬 융점이 높은 폴리아미드 를 사용하는 관계로 전기적 안정성 우수 * , PTFE, PVDF · , , , 부직포형 매트 분리막은 기공이 많고 크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며 제조비용이 낮고 고출력 전기적 안정성이 요구되는 전기차 전지용 분리막에 적합 , 제품 상용화를 위해서는 기공의 크기 제어기술 개발이 필요 * 하이브리드 멤브레인 · (100 ) 유기질 고분자 분리막의 단점 이상에서 열변형으로 수축내지는 녹아버림 인 ℃ 열안정성을 개선하고자 유기막 위에 알루미나와 같은 무기막을 코팅하는 다층구조내지는 무기물을 필러형태로 첨가한 하이브리드 분리막 고온안정성이 뛰어나고 친수성이 크게 향상되어 전해액 함침이 빠르고 반복 방전 특성이 * , , 우수 반면 다층구조에 의해서 분리막의 두께가 증가하여 에너지밀도가 감소하고. , 제조가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음 고온안정성이 우수해서 전기차 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 . 가장 폭넓게 사용 출처 이차전지 전자부품 산업리포트 한국산업부 투자증권* : / , , IBK (2018) 전략품목 현황분석 - 3 - 나. 필요성 퍀 이차전지 적용 분야는 모바일 기기에서 전기자동차를 거쳐 에너지저장장치로 점차 확대 ▪이차전지 기술은 휴대폰 노트북 등 소형 기기에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 대용량화 기술이 , IT , 발전함에 따라 전기자동차 전력저장장치용 대용량 이차전지 로 중심이 이동하고 있는 추세, (ESS) ▪이에 따라 차세대 리튬이온전지 전지 등 새로운 이차전지 및 소재 개발의 , NaS , Redox flow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 특히 리튬이차전지는 차세대 에너지 혁명 스마트그리드 의 핵심 역할인 . , ( ) 에너지 저장장치로써 중추적인 역할을 할 전망 퍀 고용량 고출력 장시간 운전 가능한 이차전지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고온에서의 , , 전기적 안정성이 강화된 이차전지 분리막 수요 급증 기공 구조 고기공도 열적 기계적 안정성 및 전해액에 대한 친화성 등을 개선시킨 차세대 분리막의 , , ·▪ 개발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599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분석]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체계 개선 방안 9도토리 이지훈
359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베트남 진출 기업의 글로벌 무역패턴 분석 7도토리 이지훈
35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서비스기업의 R&D 실태와 정책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96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글로벌 디지털 무역협정 동향 및 지식재산 이슈 3도토리 국준아
359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50 미래 우주 공간 활용_英 국가우주전략의 새로운 기회 및 위협 3도토리 국준아
3594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국가 안보를 위한 인공지능(AI) 및 3대 전략 기술 3도토리 국준아
359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한미 양국의 교수 창업 제도 비교 및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92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동향] 디지털 치료제의 특허법적 보호 동향 및 과제 7도토리 이지훈
359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글로벌 공급망 위기와 우리 기업의 대응현황 1도토리 민준석
359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엔화 약세의 우리 수출 영향 1도토리 민준석
358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2022년 중소기업·소상공인 정책금융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8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정부의 ESG 인프라 확충 정책 방향 1도토리 이지훈
35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최근 글로벌 안보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방위산업의 시사점과 향후 과제 1도토리 이지훈
35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의 인프라 투자 정책에 따른 국내 기계산업의 기회요인과 시사점 1도토리 이지훈
358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디스플레이_중국 디스플레이산업 현황과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584 생명공학/바이오 [정책동향] 바이오산업 성장동력화를 위한 정책 거버넌스 개선 방안 1도토리 민준석
3583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그린뉴딜_탄소중립을 위한 해양그린수소 육성 전략 1도토리 민준석
35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그린뉴딜_EU 탄소국경조정의 국내 제조업 1도토리 민준석
35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코로나19 일상회복, 콘텐츠 이용 변화 맟 전망 3도토리 장민환
35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NFT 금융 서비스의 대두 1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