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전장 및 제어∙열관리 시스템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자동차 분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126
용량 14.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전장 및 제어∙열관리 시스템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자동차 분야].pdf 14.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1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페이지 수 : 111 

[ 목 차 ]

 

1. 개요
2. 산업 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4. 주요 플레이어 특허동향
5. 전략제품 기술 개발 전략

 


 

1. 개요 가. 정의 퍀 정션박스 란 배터리에서 나오는 자동차 전원과 신호를 분배해 핵심부품과 (Junction Box) 전자장치에 이를 전달하는 자동차의 핵심 전기장치를 말함 퍀 정션박스는 보통 자동차 운전석 왼쪽 하단부 밑에 위치하고 정션블록 또는 휴즈박스라고 불리며 자동차가 운전 중 쇼트가 나면 바꾸는 휴즈가 잔뜩 꽂혀있는 박스를 말하며 이러한 역할 때문에 라고도 불림IPS(Intelligent Power Switch) 퍀 정션박스는 엔진룸 휴즈박스에서 넘어온 전원을 실내 외의 여러 장치에 인가하는 교차로 겸 / 지휘부 역할을 하며 반대로 장치에서 쇼트가 나거나 과전류가 흐르면 차단하여 엔진룸 , 휴즈박스와 배터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함 퍀 스마트 정션박스 란 차량의 전원연결 및 분배 통신제어를 위하여 (SJB, Smart Junction Box) , 시스템을 제어하고 고장진단 기능까지 탑재되어 차량 신호처리 및 시스템 모니터링, 회로보호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을 말함 퍀 스마트 정션박스 의 특징(SJB, Smart Junction Box) ▪기존 정션박스의 기능에서 제어용 반도체 릴레이 및 통신 입출력 제어가 가능하게 Lamp (IPS) CAN 한 정션박스 ▪등화류 램프 와 고전류 부하 열선 의 동작 중 고장 발생 시 부하를 차단해 회로를 보호하며 각종 ( ) ( ) , 고장 진단 및 고장 감시 기능으로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 ▪ 통신 도입으로 데이터 전송의 안전성을 보장CAN(Controller Area Network) 스마트 정션박스 [ ] 출처 경신 * : http://www.kyungshin.co.kr/mobile/main.asp 4. 전장 및 제어∙열관리 시스템 - 4 - 나. 필요성 퍀 자동차의 전기장치는 기관 측 전기장치와 차체 측 전기장치로 나눌 수 있는데 기관 측 , 전기장치는 점화코일 배전기 고압 케이블 점화플러그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화장치 및 , , 발전기 조정기로 이루어지는 충전장치로 되어있고 차체 측 전기장치는 축전지를 비롯하여 , , 조명용 표지용 신호용으로 이루어지는 등화장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계기류 , , , 경고 표시장치 및 냉 난방장치 등으로 나뉨/ 퍀 전기장치들은 모두 와이어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서 전자 제어장치용 컴퓨터(Electronic ) , ECU 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때 이들 와이어와 를 서로 연결하는 중간 Control Unit, ECU 매개체가 정션박스(Junction Box) 퍀 스마트한 정션박스를 적용하면 각종 장치들을 빠르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비용을 줄이며 정션박스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홈 실행 케이블이 필요하지 않고 캐비닛 In/Out , 설계 엔지니어링 비용이 현저히 감소됨 또한 단일 캐비닛 또는 인클로저 설계를 통해 . , 다양한 신호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장 내 배선은 터미널 블록으로 마무리 가능In/Out , 스마트 정션박스의 적용 [ ] 퍀 스마트 정션박스는 대부분 국내 기업이 생산 중이지만 와 등 핵심부품은 가 Fuse Relay 70% 해외에 의존하고 있음 해외 부품은 규모의 경제로 가격 경쟁력 차이가 매우 높은 상태임. 퍀 와 등 부품 단에서 신뢰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설확충이 필요하며 자동차 전체 Fuse Relay ,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장비 확충 및 지능화 제품 생산을 위한 생산설비 인프라가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180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하는 주요국의 기술 주권 확보 전략 및 시사점 7도토리 한상윤
3179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간극의 미래 3도토리 한상윤
3178 성장동력산업 로봇의 확산과 직무의 변화 3도토리 이지훈
3177 성장동력산업 2022년도 마이데이터 시대 시작 1도토리 이지훈
3176 성장동력산업 불붙는 위성통신 경쟁 3도토리 이지훈
3175 성장동력산업 中 국가 자본주의 기술굴기와 그 의의 3도토리 이지훈
317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지니너스_윤석열 헬스케어 디지털 헬스케어 1도토리 황세영
317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한샘_윤석열 정부 부동산 정책 수혜 가능할 듯 1도토리 이지훈
3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_가시화되는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 1도토리 이지훈
31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_원전의 부활! 수혜 기업은 어디 3도토리 이지훈
3170 성장동력산업 플랫폼 사업의 습격과 소프트웨어 솔루션 발전 3도토리 조정희
3169 성장동력산업 초고령화사회 대비 퇴직 준비와 노년층 교육 제도화 추진 3도토리 노민우
3168 성장동력산업 COVID-19 3년차, 우리는 잘 적응하고있나? 3도토리 노민우
3167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Metaverse), 금융의 글로벌 사례와 시사점 1도토리 노민우
3166 성장동력산업 클라우드(Cloud) 산업 현황과 핵심 성장 원인 분석 1도토리 조정희
3165 성장동력산업 수출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동향과 영향 연구 1도토리 조정희
3164 성장동력산업 오피스텔 백만 시대의 결실과 과업 3도토리 조정희
3163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혁신과 마이데이터 추진 법,제도적 현안과 과제 1도토리 노민우
316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롯데정밀화학_성장, 안정, 수익을 모두 취할 수 있는 주식 1도토리 황세영
316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영원무역_4Q21 수주 +60% 이상 급증, 대형 벤더사 통합 효과 지속 1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