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수소 저장·운반용 복합 소재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자동차 분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89
용량 8.39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수소 저장·운반용 복합 소재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자동차 분야].pdf 8.3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8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페이지 수 : 64 

[ 목 차 ]

 

1. 개요
2. 산업 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4. 주요 플레이어 특허동향
5. 전략제품 기술 개발 전략

 


 

1. 개요 가. 정의 퍀 수소를 이용한 에너지저장기술 은 (Hydrogen based Energy Storage System, HESS) 재생에너지 기반 잉여전력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재생에너지를 수소의 형태로 저장하고 원하는 곳으로 운송한 후 필요할 때 연료전지와 , 연계하여 전기를 재생산하는 기술임 ▪ 대용량 재생에너지 운반체 로 수소는 무게대비 에너지 밀도가 가솔린 (Renewable Energy Carrier) 및 디젤이 가지는 에너지 밀도보다 약 배 높음 수소는 이산화탄소의 배출 없이 물만 배출하므로 3 . 전력 생산 프로세스가 친환경적인 저장방식임 퍀 에너지 매체로 수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수소저장 기술이 중요한데 수소저장 기술은 , 크게 물리적 물질기반 저장 방식으로 분류되며(Physical-based), (Material-based) , 현재까지 개발된 수소저장방법으로는 기체수소저장법 액체수소저장법 수소저장재료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음, , 수소저장 방법의 분류 [ ] 출처 수소에너지 기술현황과 융합* : Convergence Research Review, (2019) 퍀 기체수소저장법의 경우 약간의 충격에도 높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기압 정도의 , 150 고압을 견뎌낼 수 있는 압력장비의 설계 및 개발이 필요함 퍀 액체수소 저장 운송의 경우 기체수소를 약 부피의 액체수소로 액화하고 이를 대용량 · , 1/800 , 저장탱크에 저장 액체수소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운송할 수 있음, ▪ 액체수소저장법은 수소를 액화시키는데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운송 중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문제임 5. 수소 저장 운반용·복합 소재 - 4 - 퍀 수소 고체저장은 금속재료 계통의 수소화물은 수소와 금속이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많은 양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임 ▪ 금속계 탄소계 다공질계 및 착체계 재료 등의 고체재료와 수소가 반응하여 수소화물이 형성되어 , , 수소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안전하면서도 고효율이라는 장점이 있음, ▪ 다만 고체 저장된 수소 중 일부가 영구적으로 결합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영구적인 사용이 어려움, , 퍀 수소저장용기는 고압이나 저온 등 특수한 상태에서 수소를 흡수하여 금속 수소화물이 되어 압력이나 열 변화에 의해 수소를 방출하여 흡열되는 합금으로 이루어진 저장 용기로 정의됨 퍀 수소저장용기를 활용한 소재는 수소 스테이션용 금속 소재 및 수소 운반에 필요한 탱크 소재와 수소 저장을 위한 수소저장금속 유기소재 액화수소 저장 용기소재 등 분야에 걸쳐 포함, , 수소저장방법의 장단점 [ ] 후방산업 장단점 기체수소저장법 · (150 ) (50L, 55kg) 고압 기압 가스용기 · , 체적당 중량당 저장밀도가 낮음 액체수소저장법 · -253 , ℃ 상압 · 10~14kw/kg H2의 액화 에너지 소요 · 증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특수 단열용기 필요 · 장기 보관 시 수소 손실 · , 체적당 중량당 저장밀도가 높음 유기하이드라이드 · 8 압축방식 대비 배 운송효율 상온상압에서 운송 가능 · 톨루엔을 수소와 반응시켜 메틸시클로핵산형태로 저장 · 소형 탈수소장치 상용화 필요 수소저장재료 수소저장합금 · 체적당 수소 저장 밀도가 높음 · 중량당 수소 저장 밀도 낮음 · 안정성이 높음 · 수소 순도 향상 · 수소저장합금이 고가 · 수소저장합금의 열화로 저장횟수 제한 탄소 소재 · 저온에서 활성화 탄소 표면에 수소 흡착 · (77K) 저온 유지장치 필요 · , 체적당 중량당 저장밀도 낮음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고용량 수소저장합금의 개발 동향* : , (2017) 전략품목 현황분석 - 5 - 퍀 수소의 운송은 크게 수소 탱크 수소 튜브 트레일러 및 파이프라인 등 세 가지로 구분할 수 , 있음 수소 탱크는 금속소재부터 탄소섬유까지 다양한 소재가 향후 주력 소재가 연구개발 . 중이며 내고압 경량화 저비용 등을 목표로 함, , , ▪ 압축기술의 한계치 에서 압력 탱크에 기체수소를 넣는 문제 수소의 액화기술 및 액화 (700~800Bar) , 수소의 해상운송 등에 대한 기술적 검증문제는 운송과 관련된 가장 큰 이슈임 파이프라인의 경우. , 강재가 파괴되는 수소취성의 문제도 해결해야 할 문제임 퍀 탄소섬유는 수지 석유ㆍ석탄계 탄화수소잔류물인 피치 레이온으로부터 PAN(Polyacrylonitrile) , , 제조된 섬유로 탄소원소의 질량함유율 이상인 탄소계 섬유 소재로 정의됨90% ▪ 제품의 형태에 따라 토우 직물 프리프레그 매트 필라멘트 등으로 분류되고 원료에 따라 , , , , , 계 피치계 레이온계 탄소섬유 등으로 분류됨PAN(Polyacrylonitrile) , , ▪ 탄소섬유는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 수지 등에 첨가하여 기능성을 강화시킨 복합소재로 주로 , , 사용되며 이 중에서 플라스틱을 활용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형태로 가장 많이 사용됨, 퍀 탄소복합섬유는 수소저장용기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음 ▪ 탄소복합섬유는 금속소재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시스템의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수소 탑재량을 , , 증가시킬 수 있음 ▪ 또한 탄소복합섬유는 내구성이 우수하여 저장압력이 높아 같은 부피에 보다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 , 수 있고 용기에 가해지는 모든 구조적인 힘을 감당하여 외부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음, 나. 필요성 퍀 수소는 깨끗한 에너지 생산은 가능하나 폭발 등 안전성이 문제되어 안전책을 구하는 방법이 , 가장 중요함 ▪ 수소는 사용 후 공해 물질이 배출되지 않는 깨끗한 연료로서 산소와 만나 물이 되는 연소 과정에서 , 높은 화학에너지를 생산 - 가솔린 대비 배 높은 열량 에너지 밀도 측면에서도 전기 배터리와 비교할 때 수십에서 수백 3~4 , 배 높은 수치이며 수소는 전기에너지와 달리 방전 위험성이 낮고 저장성이 우수하여 차세대 화학 , 연료로서 적합 ▪ 다만 수소의 폭발력이 상당하여 마치 초음속 여객기가 지나갈 때 발생하는 소닉붐 과 같은 , , ` ` 충격파를 가지고 있어 수소를 연료를 사용하기 위해 안전책이 필요함, ▪ 수소차 수소 저장용기를 철보다 더 강한 소재인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게 되면, 기압의 압력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압 용기를 제조 가능700 퍀 탄소 섬유는 압력이 커지는 경우에도 폭발하지 않고 찢어지는 특성 ▪ 수소 저장용기 내 안력이 커질 경우에도 폭발 위험이 거의 희박하여 기존의 용기보다 안전성이 , , 더욱 우수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639 성장동력산업 현대두산 인프라코어 원가 부담 증가, 아쉬운 중국시장 1도토리 조정희
1638 성장동력산업 현대일렉트릭 일회성 감안시 호실적, 기대되는 2022년 1도토리 조정희
1637 성장동력산업 Daily Forex Live 1도토리 조정희
1636 성장동력산업 제20대 대선 Preview 후보 주요 공약 분석 &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635 성장동력산업 증권-업황 부진에는 자사주 매입으로 [2 월 monthly] 1도토리 조정희
1634 성장동력산업 지주회사-Weekly (1.24~2.4 ) 정치권의 상법 개정 움직임 감지 1도토리 조정희
1633 성장동력산업 Why ESG ESG 채권시장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632 성장동력산업 통신서비스 Weekly (1/24~2/4) : KT의 AI/DX부문 분사, 상반기 중 추진 전망 1도토리 조정희
1631 성장동력산업 심텍 신규 투자로 FC CSP 계열의 1위 기업으로 성장 1도토리 조정희
1630 성장동력산업 지주회사 Weekly(1/17~1/21) : 국내 IT 서비스 일감 관련 규제 강화 움직임 1도토리 조정희
1629 성장동력산업 통신서비스 Weekly(1/17~1/21) 글로벌 안전자산 투자 매력 부각으로 통신주 주가 강보합 1도토리 조정희
1628 성장동력산업 한미글로벌 럭셔리 아파트에 꼭 들어갈 그 이름 1도토리 조정희
1627 성장동력산업 [HI Economy] FOMC, 무엇을 봐야하나? 1도토리 조정희
1626 성장동력산업 하이 FX Monitor 1도토리 조정희
1625 성장동력산업 팬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가치 상승 환경하에서 올해 라인업 본격화 1도토리 조정희
1624 성장동력산업 아모레퍼시픽 중국 채널과 브랜드 챌린지 지속 1도토리 조정희
1623 성장동력산업 유통-유통,화장품 한 주 따라잡기 1도토리 조정희
1622 성장동력산업 GST 2022 년 칠러의 구조적 성장에 주목 1도토리 조정희
1621 성장동력산업 소비재-SMART CITY SEARCHLIGHT 1도토리 조정희
1620 성장동력산업 에너지-LNG Update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