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바이오의약품 생산 품질 관리 시스템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바이오 분야]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8
용량 5.58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바이오의약품 생산 품질 관리 시스템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바이오 분야].pdf 5.5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18 
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페이지 수 : 30 

[ 목 차 ]

 

1. 개요
2. 산업 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4. 주요 플레이어 특허동향
5. 전략제품 기술 개발 전략

 


 

1. 개요 가. 정의 퍀 바이오의약품은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의약품으로서 완제품은 미생물에 , 오염되거나 세균 균류가 존재하지 않아야 함 바이오의약품 품질관리를 위하여 아래의 , . 마이코플라즈마 키트 무균멸균기 등이 사용되고 있음, 퍀 바이오의약품 생산 품질 관리 시스템은 품질관리용 마이코플라즈마 여부 확인용 소재 또는 고온 고압을 견디는 압력용기에 온도 및 압력제어 장치를 마련하여 생물학적 시료와 / 시험도구에 존재하는 미생물 및 세포 멸균 장비 및 시스템을 뜻함 ▪마이코플라즈마는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성질을 가진 미생물로써 오염 시 제품의 생산량 및 품질이 , 저하되고 임상 적용 시 사람 및 동물의 질병을 유발함 ▪미생물 및 세포 멸균 장비는 생물학적 시료를 활용한 실험 전후에 시료 및 도구에 존재할 수 있는 미생물 및 세균을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 습식 멸균하는 장비임/ 퍀 바이오의약품 생산 품질 관리용 마이코플라즈마 키트와 바이오의약품 생산 품질 관리용 무균멸균기 등이 이에 포함됨 퍀 마이코플라즈마 키트 ▪마이코플라즈마 는 인공배지에서 증식 능력을 가진 가장 작은 세균으로 크기는 (Mycoplasma) m , 정도이고 세포벽이 없어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으며 비운동성이고 호기성 또는 80~1,000 n 통성혐기성으로, CO2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잘 증식함 마이코플라즈마 키트5~10% . (Mycoplasma t) , 는 다양한 종의 마이코플라즈마를 검출하는 키트로 폐렴 요로생식기 감염 등 인체 내 질병의 Ki 확인을 위한 검출로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세포치료제 등의 바이오의약품 품질 관리에도 사용되고 , 있음 퍀 무균멸균기 ▪멸균은 포자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을 살균 또는 제거하여 세균 균류가 존재하지 않는 무균 상태를 , 만드는 것임 멸균은 제품의 기능을 방해할 수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산업 . 공정에서 필수적으로 적용되고 있음 또한 무균멸균기에 의한 멸균 공정은 바이오의약품 . , 품질관리에도 사용되고 있음 3. 바이오의약품 생산 품질 관리 시스템 - 2 - 나. 필요성 퍀 마이코플라즈마 키트 ▪마이코플라즈마에 의한 오염은 다양한 세포 배양 시스템에서 만연하고 재발생하는 문제를 야기함. 세포 배양 시 마이코플라즈마에 오염되면 세포 내 영양소 결핍 대사산물 축적에 의한 의 변화 pH 등이 유발되며 생산되는 제품의 양과 품질이 저하됨 ▪또한 제조 공정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곤란한 품질관리 측면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임상적으로 , 적용되었을 때 환자에게 질병을 유발할 수 있음 따라서 바이오의약품 제조 시 마이코플라즈마 오염 . 유무를 확인하는 것은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임 ▪마이코플라즈마는 실험실에서 의 높은 오염율을 보이지만 눈으로는 관찰이 어려워 28~80% , 마이코플라즈마의 오염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를 정밀하게 측정할 키트가 필요함 [ (A) (B C) 마이코플라즈마에 감염되지 않은 세포 배양 및 마이코플라즈마에 감염된 배양 세포 와 의 현미경 사진 ] 출처 테크노마트 블로그* : 퍀 무균멸균기 ▪첨단바이오의약품은 최종 단계에서 멸균할 수 없으므로 제조공정이 무균적으로 즉 미생물 오염이 ( , 방지되는 조건 아래서 수행되어야 함 멸균은 유해한 미생물 및 전염병에 의해 사용자가 위험에 ) .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공정임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338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탄소중립 정책 주요 내용과 전망 1도토리 오민아
33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성장하는 펫케어 산업 최신트렌드 및 韓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방안 7도토리 민준석
338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세계경제 전망과 위험 요인 1도토리 민준석
338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중 무역분쟁의 현황 및 향후 영향 검토 1도토리 민준석
33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청정수소 생태계, 산업용 수소 및 산업 간 협력 모델 주목 1도토리 민준석
33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글로벌 지급결제 주요 트렌드 및 전망 1도토리 민준석
338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자본시장의 변화와 발전 과제 1도토리 김민성
338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COVID-19 이후의 미래_10대 경제 키워드(2022년) 3도토리 김민성
33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위드 Covid-19 시대, 美 30대 유망 품목 및 서비스 7도토리 김민성
33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국내외 인플레이션 장기화 리스크 점검과 영향 3도토리 김민성
337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2050 탄소중립 대응 위한 건설사 6대전략 1도토리 국준아
33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_건설업의 도전 및 과제 3도토리 국준아
337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플레이션, 시장의 예측실패는 반복될까 1도토리 정한솔
337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수출 전망과 지역별 시장 여건(2022) 7도토리 국준아
3374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동향] 中 경제의 위험 요인 및 영향 1도토리 국준아
337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생활공간 전자파 인체안전 인증 도입 방안 연구 7도토리 국준아
337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농촌 지역 장기요양서비스 실태와 정책과제 : 경제적 유인 방안을 중심으로 7도토리 한상윤
337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도농 상생을 위한 스마트워크 복합공간 조성 방안 연구 7도토리 한상윤
337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지방자치단체 농촌여성 정책 추진 현황과 발전 방안 7도토리 한상윤
33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과 제도화 방안 7도토리 한상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