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농업용 지능형 로봇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지능형로봇 분야]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노민우 | 조회수 | 53 | |
---|---|---|---|---|---|---|
용량 | 2.47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농업용 지능형 로봇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지능형로봇 분야].pdf | 2.4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2-09 |
---|---|
출처 : | 중소벤처기업부 |
페이지 수 : | 45 |
< 목 차 >
1. 개요
2. 산업 및 시장 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4. 특허 동향
5. 요소기술 도출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농업생산과 유통 및 소비의 전 과정에서 농작업 및 서비스 환경을 스스로 인식하고 상황을 판단하여 자율적인 동작을 통해 지능적인 작업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 ▪ 농업용 지능형 로봇은 노지, 과수 작업 현장에서 이동 (경운, 제초, 파종, 이앙, 운반 등) 동작과 조작 (수분, 전정, 적과, 수확, 포장 등) 동작의 자동화에 필요한 지능형 기술을 포함 - ICT 기술을 접목하여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농작업 모니터링, 예측진단 등과 대비하여 로봇의 물리적 상호작용 기능인 이동과 조작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농작업의 자동화 및 효율을 추구함 - 농작업 대상, 환경, 절차의 비정형성, 계절적 요소를 극복하고 농작업의 자동화와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작업환경 맵핑, 작업 대상과 환경에 대한 인식 및 학습, 작업계획 등 인공지능과 로봇 제어 기술의 적극적인 결합을 이용 - 농작업에 특화된 로봇뿐만 아니라 트랙터, 콤바인, 이앙기, 방제기, 제초기 등 전통적인 농기계에 AI 및 로봇 기술을 접목하여 이동 및 조작기능을 향상한 플랫폼의 형태도 포함 [ 농업용 장비 구분 ] * 출처: John Deere 홈페이지, 제초, 수확, 트랙터, 경운기, 방제, 운반 (좌상부터 시계방향) 농업용 지능형 로봇7 [ 노지, 과수 작업 농업용 지능형 로봇 핵심 기능 ] 구분 주요 기능 특징 로봇인지 3차원 작업공간에 대한 맵핑, 구조 분석 및 대상체 인식, 상황인식, 작업공간 학습 작물 생육상황 판단, 비정형 작업공간 및 대상체 인식 필수 로봇 이동 비가시권 원격운전, 3차원 자기 위치/자세 인식, 센서 융합 주행 공간인식, 자율주행을 위한 경로/동작 계획 및 주행 제어 경사면, 굴곡, 불규칙 작업공간 등 3차원 비정형 환경에서의 자기 위치인식 및 자세 인식 필수 로봇 조작 수분, 수확 등 정교한 작업수행을 위한 3차원 대상체 학습 및 인식, 자세 인식/동작 계획 및 제어 3차원 비정형, 유연 대상체에 대한 조작지능 필수 (2) 필요성 해외 기술 선진국의 경우 AI, 로봇 기술을 탑재한 첨단 농기계와 농업용 로봇은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 시장형성 초기 단계에 진입함에 따라 국내 실정에 적합한 첨단 농업로봇 기술의 개발이 필요 ▪ 노지 농업의 경우 트랙터, 콤바인, 관리기 등 전통 농기계와 로봇 기술의 융합으로 로봇 농기계 형태로 진화를 시작하였고 글로벌 농기계 시장에서 비중이 급격하기 증가 중 특히, 대규모 경작, 대형 기계 중심으로 정밀 GPS와 자동 조향 제품을 탑재한 자율주행 트랙터, 콤바인 등이 제품화되었고 최근의 AI 학습과 로봇 자동화 기술의 접목으로 새로운 시장이 형성 ▪ 향후 농업용 로봇은 기존의 농작업 기계화 단계를 넘어 반 자율형 농업용 로봇, 완전 자율형 농업용 로봇으로 발전 예상 ▪ 국내 중소형 규모 경작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농업로봇 솔루션을 개발하여 국내뿐 아니라 농업 여건이 유사한 중국, 일본, 인도 등 신흥 국가를 대상으로 시장확보 필요 노지, 과수 환경에 적용하는 지능형 농업로봇은 작업환경의 비정형성과 계절성 변수에 대한 대응 등 로봇 이동, 조작, 인지기능의 매우 높은 기술적 수준을 요구하는 분야로 물류, 제조, 국방, 보안 등 유사 분야에 파급 효과가 큰 전략적 가치를 포함 ▪ 지능형 농업로봇은 로봇 자동화, AI, IoT,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과의 융합으로 산업적 파급 효과와 부가가치 확보에 유리함 ▪ 3차원 비정형 환경에서의 공간맵핑, 작업량 측정, 작업 대상체 인식, 자기 위치인식, 작업 경로 계획 및 주행/조작제어 등 핵심 기능은 필드 작업이 수반되는 물류, 제조, 국방, 보안 등 다양한 파급 효과 기대가 가능함 ▪ 특히, 상기 핵심 기능의 모듈화, 표준화를 통해 산업적 기반을 강화할 수 있으며 해외 선진기술에 대한 비교 경쟁력 확보가 가능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