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시설물 안전점검용 드론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드론·개인이동수단 분야]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한상윤 | 조회수 | 45 | |
---|---|---|---|---|---|---|
용량 | 2.04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시설물 안전점검용 드론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드론·개인이동수단 분야].pdf | 2.0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2-02-09 |
---|---|
출처 : | 중소벤처기업부 |
페이지 수 : | 40 |
< 목 차 >
1. 개요
2. 산업 및 시장 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4. 특허 동향
5. 요소기술 도출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구조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계측기술의 일환으로 유지관리 인원들이 접근하기 힘든 대형 및 일반 구조물(교량, 원전, 댐 등)의 외관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무인체 기술 기반의 시설물 점검 전용 드론 ▪ 기존의 인력이 수행하기 어렵거나, 고비용·고위험이 수반되었던 시설 안전 점검을 드론이 수행함으로써 시설물 안전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점검 드론 ▪ 시설물 안전 점검 임무 수행을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상방향 시야 확보, 임의 촬영 상방향 각도 한계 해결을 위한 전방 payload 장착한 드론을 설계 및 제작 타워, 송전탑, 지붕, 교량, 댐, 철도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 및 시설물에 대해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구역에서 항공/지상, 360도 등 광범위한 시각적 범위를 포함해 정밀한 자료를 수집해 유지·보수·개량에 지원 ▪ 건설 현장 등과 같은 CCTV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서의 고화질 실시간 자료 수집 및 제공으로 정확하고 세밀한 공정관리 지원 ▪ 드론이 촬영한 구조물 점검 데이터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과 접목되어 자동 안전 진단이 가능(2) 필요성 1990년을 기점으로 30년 이상된 1종 및 2종 시설물에 대한 유지관리 비용 증가 ▪ 국토부에 따르면 지어진 지 30년 이상 된 노후화 구조물은 2019년 기준 전체 구조물의 15%를(건축물의 경우 37.8%) 차지하며 2030년에는 약 40%에 이를 것으로 전망 ▪ 최근 10년간 관리 수량이 1.6배 증가하였고, 제설제 사용 증가로 구조물 노화가 점점 더 가속화되고 있어 높은 관심이 요구되는 B, C등급의 구조물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특히 점검 대상 구조물이 늘어남에 따라 점검 및 진단에 드는 비용이 3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 기존 로봇팔 차량 등이 교량 하부에 암을 내려 근접 점검하기도 하였으나 교통을 방해하고 충분히 근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이를 극복할 시설물 안전 점검용 드론의 필요성 증가 ▪ 시도별 노후도를 살펴보면 2019년 12월 말 기준 30년 이상 된 노후 건축물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부산으로 전체 건축물의 54.3%가 30년 이상 된 건축물이었으며, 대구/대전(48.9%), 전남(48.2%)의 순서임 시설물 안전점검용 드론7 [ 용도별 건축물 노후도 ] (단위: %) 출처: 국토교통부 제공, 2020 구조물 유지관리 업무는 증가하는 추세. 그러나 업무환경이 열악하고 인력이 접근하기 어려운 구조물과 시설물이 많아 관련 종사자 부족 ▪ 검사 및 진단을 수행해야 할 구조물의 수는 증가하는 반면 오히려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의 수는 감소하는 추세 ▪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검사인력 1명이 점검을 담당하는 구조물의 수는 약 25개로, 이는 미국 미네소타주의 19개에 비해 약 30%가량 많은 수치 ▪ 유지관리 업종이 이른바 3D업종으로 인식되면서, 유지관리 인력의 평균 연령(43.8세)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숙련된 인력들이 대거 은퇴하면 구조물 유지관리 산업의 공백이 상당할 것으로 우려 비교적 저비용·고효율의 드론 점검 활용을 확대하고 국민들이 사회 시설물 및 구조물 안전에 대한 신뢰성 제고를 위해 드론 점검 필수적 ▪ 기술적 파급효과 - 무인체와 비접촉 센싱을 활용한 주기적/자동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해 높은 신뢰도의 구조물 자동 진단 및 관리 가능 - 시설물 안전 점검용 드론은 기체 진행 방향 전면 전체와 기체 하부방향 전체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전 방향을 촬영할 수 있어 시설물 안전 점검, 국방, 교통, 국토정보, 스마트 건설 시스템에서 활용 가치가 큼 ▪ 경제적 파급효과 - 소수의 드론을 이용해 다수 구조물을 주기적/자동으로 검사하여 구조물 유지관리 비용 절감 - 시설물 안전 점검용 드론 시스템을 구축하면 인력으로 수행할 수 없거나 할 수 있어도 고위험/고비용이 수반되는 복잡 고난도 시설점검 시행착오에 따른 오류와 비용을 절감 ▪ 사회적 파급효과 - 사회에 팽배한 시설물 안전에 대한 국민의 불안감 해소 및 주기적 계측을 통한 교량 사고 방지로 국민의 안전 요구 충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