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경제는 저출산ㆍ고령화, 지역주력산업 위기 등의 다양한 구조적 문제에 직면하면서 향후 성장잠재력 약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 ╺ 정부는 우리 경제의 성장동력 저하와 고용창출력 약화 등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한 돌파구로서 혁신성장을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전략적으로 추진 중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는 대전의 압도적 우위 속에 수도권 지역이 상위권을 차지 하는 쏠림현상 발현 ╺ 대전, 서울, 경기, 인천, 광주 등이 전국 1~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지역은 우리나라 최고 수준의 R&D 역량, 지식서비스 및 지식제조업, 청년인구 집적지 등의 특성을 보유 ╺ 혁신성장역량과 경제적 성과 간에는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지역이 경 제성장을 구현하려면 혁신성장의 토대가 역내에 구축, 확산되어야 함을 의미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은 수도권ㆍ일부 광역시(유형Ⅰ, 혁신성장 선도형)와 비수도권 도 지역 (유형Ⅲ, 혁신성장 취약형) 간 양극화현상 심화로 향후 국가균형발전에 장애물로 작용할 가 능성 혁신성장역량 제고를 통한 지역의 생산성 증대 실현과 양극화 완화를 위한 3대 정책대응 기본방향을 제시 ╺ (기본방향 1) 혁신성장과 지역경제 선순환구조를 연계한 전략 수립 ╺ (기본방향 2) 기술사업화 촉진을 통한 창업활성화 및 신산업역량 확충 ╺ (기본방향 3) 고도화 및 다각화 중심의 신산업 육성전략을 위한 혁신성장 생태계 조성 산업경제이슈 2 ▣ 정부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혁신성장을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전략적으로 추진 중 최근 우리나라는 다양한 구조적 문제에 직면하면서 향후 성장잠재력 약화에 대한 우려의 목 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 ╺ (저출산ㆍ고령화) 2017년부터 실질적 생산가능인구 감소시대에 진입한 반면, 고령인구는 가 파른 증가추세로 전환( 참조) ╺ (취업자 급감 및 청년 실업률 증가) 지역의 주력산업 위기가 발생한 이듬해인 2017년을 기 점으로 큰 변화를 야기( 및 참조) ╺ (잠재성장률 저하) 2001~2005년 5.1%에서 2019~2020년 2.5%로 약 절반 수준으로 감소 (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