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46
용량 534.6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과제.pdf 534.6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15 
출처 : KiET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2 

l 주요국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비중이 높고 관리가 용이한 수송부문을 중심으로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다양한 선언과 정책을 제시 ╺ 우리나라도 기존에 비해 강화된 수송부문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통해 자동차부문 탄소배출 제로를 실현하는 방안 제시 l 탄소중립 규제 대응을 위해 자동차산업은 제품에서 생산공정까지 산업생태계 전반에 걸쳐 변화가 진행 ╺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전기동력차 시장 선점과 환경 규제 대응을 위해 완성차업체들은 전기차를 비롯한 전기동력차 공급 능력 확보에 주력 ╺ 전기동력차 생산이 확대됨에 따라 부품산업은 내연기관차 부품업체를 중심으로 사업전환 및 구조조정이 요구되며, 탄소중립 공급망 편입을 위한 생산공정 및 에너지 효율화 등 가 치사슬 전반의 변화 대응 필요 l 전환기 탄소중립 규제는 우리 산업의 경쟁력과 우리 업체들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전략 등도 고려하여 추진 필요 ╺ 우리 자동차산업은 해외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탄소중립 전략도 세계적인 추세와 보조를 맞 추는 것과 동시에 산업경쟁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적절한 전략 마련 중요 l 탄소중립 연착륙을 통한 전기동력차 산업생태계 조성 촉진 방안 모색 ╺ 기존 자동차산업 생태계가 전기동력차로 안정적으로 전환되기 위해 친환경차 공급망 재구 성 및 확장을 위한 자금 조달과 환경친화적 제품 및 생산기술 투자 지원 필요 ╺ 자동차 생산구조 변화에 따른 자동차부품산업의 사업전환 방안 모색과 함께 다양한 기술 적 가능성을 통한 대응 모색 필요 산업경제이슈 2 ▣ 탄소중립과 자동차산업 배출 규제 l 온실가스는 산업, 건물, 수송 등에서 주로 배출되며 산업부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수 송부문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지 않지만 다른 부문에 비해 배출원 관리가 용이하여 주요국 은 수송부문 특히 자동차에 대한 배출 규제를 우선적으로 추진 ╺ 국가별로 차이가 존재하는데 역내 국제 운수도 포함하는 EU의 경우 총배출량의 22%가 수송부문이며, 미국은 29%에 달함. ╺ 우리나라의 경우 수송부문이 13.9%로 유럽과 미국에 비해 낮은 편으로 이는 산업부문의 비중이 높은 것에서 기인 l 이에 따라 주요국들은 탄소중립을 위해 수송부문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 양한 선언과 정책들을 제시 ╺ 나라마다 탄소중립을 위한 조치가 차별적이며 주로 북유럽 국가들이 100% 탄소 무배출 차량 완전 보급 등과 같은 강력한 정책을 추진 ╺ 반면 주요 자동차 생산 및 소비국으로서 영향력이 큰 미국, EU, 중국, 일본은 자동차 탄소 중립과 관련하여 국가별로 차별적인 특색을 보이고 있음. * 미국, EU, 일본, 중국은 글로벌 자동차산업에 생산 72.2%, 판매 73.8%를 차지(2020년 기준) l 최근 자동차산업 탄소중립은 단순히 주행단계뿐만 아니라 자동차 전주기(LCA, Life Cycle Assessment)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량을 관리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전개 ╺ 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뿐만 아니라 원료-생산공정-부품생산 등의 제조과정과 자 동차 운행을 위한 에너지 생산, 자동차 폐기 및 재활용 과정까지 관리가 요구됨. ╺ 소재-공정-재활용 등 전주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탄소 저감 최적화 기술개발이 요구 되는 등 탄소중립에 대한 영향 및 대응 범위 확대 추세 ▣ 우리나라 자동차부문 온실가스 배출 현황 l 자동차산업은 생산, 사용,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크게 생산과정과 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구분 ╺ 자동차산업 수송(운행)부문과 산업(생산)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은 총 1억 140만 톤으로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14.3%를 차지(2017년 기준) ╺ 자동차 관련 온실가스 배출량 중 92.9%를 운행부문이 차지하고 있으며, 여타 제조업과는 달리 생산과정보다 이용과정에서의 배출이 절대적으로 많은 특징을 지님. l 수송부문 전체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9,830만 톤인데 이 중 약 95.9%를 차지하는 도로수송 배출량 9,420만 톤을 자동차 운행에 의해 배출된 것으로 간주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66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 및 정책대응 기본방향 1도토리 장민환
»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장민환
2864 성장동력산업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2863 성장동력산업 2022년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62 성장동력산업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61 성장동력산업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1도토리 정한솔
2860 성장동력산업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 1도토리 정한솔
2859 성장동력산업 산업과 기업체의 부실 징후 변화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858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GVC 참여구조와 COVID19 이후 수출회복 영향 분석 7도토리 최민기
2857 성장동력산업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 7도토리 최민기
2856 성장동력산업 리사이클·친환경 섬유패션산업 발전 전략 7도토리 정한솔
2855 성장동력산업 COVID-19에 따른 제조업 고용 변화 분석 7도토리 정한솔
2854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분야 생산지수의 당기예측에 대한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3 성장동력산업 디자인산업 통계조사 동향 및 개선 방안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2 성장동력산업 산업구조 변화에 의한 일자리 특성 변화와 인력재배치 방향 7도토리 이지훈
2851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 21년 3분기 현황 및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50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49 성장동력산업 중국 진출 韓 기업체 경기 조사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48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형(K)-순환경제 이행계획 수립 3도토리 김민성
2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콘텐츠/OTT 업체, 줄을 서시오⇒수급전쟁, 드라마 콘텐츠 가치 금값 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