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오민아 조회수 54
용량 336.7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 및 시사점.pdf 336.7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02 
출처 : KiET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l 최근 기업 경영환경 속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ESG 경영에 관한 관심이 증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ESG 경영과 관련한 정책 논의는 ESG 정보공시 표준화에 치중된 한계 l 국내 상장기업의 ESG 역량과 재무 성과 간의 유의미한 관계가 관찰되며 이는 ESG 가치 확대에 따른 국내 산업환경의 변화가 이미 진행되었음을 의미 ╺ 국내 868개 기업을 대상으로 ESG 등급과 자산수익률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산업 내 높은 ESG 역량을 가진 기업의 자산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관찰됨. ╺ ESG 등급과 자산수익률의 관계는 산업별로 차이를 보이며, 이는 ESG가 추구하는 가치 확대에 따른 산업변화의 기회와 도전이 산업별로 상이함을 시사 l ESG 경영과 실적 간의 실증적 증거는 ESG 가치 추구가 기업 경영 과정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산업환경 변화 요소임을 의미 l 산업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과 기초자료로 K-ESG 지표의 활용, 정책 대상 및 수단의 구체화, 핵심 분야 선정에 집중 필요 ① 정책 역할: K-ESG는 산업별 ESG의 현황 진단에 초점을 두고 시장 투자자를 위한 민간ESG 평가와 차별화, 산업 특성을 고려하여 보완적 역할 추구 ② 정책 대상: ESG 가치 중심의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정보 및 대응 여력이 부족한 중소·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ESG 역량 진단 및 역량 강화 솔루션 제공 ③ 정책 수단: ESG를 위한 투자세액공제, 금융 지원, 경영·법률 컨설팅 등 기업의 실질적 ESG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수단 고려 ④ 핵심 분야: 중요 도전과제로서 개선 필요성이 높은 환경(E) 부문 역량 강화를 위한 연관 기술 R&D 등 맞춤식 정책 마련이 필요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과 시사점 산업경제이슈 2 ▣ 최근 기업 경영환경에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ESG 경영에 대한 관심이 증대 l ESG는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약자로 재무적 가치를 넘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의 경영 방침을 나타냄. ╺ ESG 경영은 사회적 가치 추구를 통해 기업이 주주뿐만 아니라 임직원, 관계기업, 소비자, 소속지역 등 포괄적 이해관계자들의 후생을 극대화함으로써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주장에 기반(Stakeholders’ Capitalism) ╺ ‘Environment(환경)’는 기업의 환경 문제 대처에 대한 경영 방침을 의미하며, 기업의 전력 소비, 탄소 배출량, 폐기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 등이 포함 ╺ ‘Social(사회)’은 종업원, 소비자, 기업이 위치한 지역 등의 후생 기여를 위한 기업의 경영 방침을 의미하며, 직원 복지, 소비자 보호, 지역 사회와의 교류 등을 포함 ╺ ‘Governance(지배구조)’는 기업의 지배구조 건전성을 높이기 위한 경영 방침을 의미하며, 이사회의 다양성 및 독립성, 윤리적인 기업 운영, 투명한 납세 및 회계장부 관리 등을 포함 l 2000년대 초반부터 ESG 경영에 대한 투자자의 인식이 높아졌으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상장 사의 ESG 경영정보 공시 의무화를 착수·추진 ╺ 2006년 뉴욕 증권 거래소의 책임투자원칙(Principle of Responsible Investing, PRI)의 발 족과 더불어 3,000여 개의 투자기관이 서명에 참여하며 관련 인식 제고 ╺ 2020년 전 세계 ESG 경영정보 표준화를 위해 지속가능회계기준위원회(Sustainable Accounting Standard Board, SASB)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비정부 기관(Global Reporting Initiative, GRI) 등 5개 기관이 협업 발표 l 투자자의 ESG 경영 관심은 국내외 ESG 관련 투자 확대로 이어졌으며, 특히 코로나19 충격 이후 ESG 관련 투자에 대한 성과도 증가 ╺ 2020년 전 세계 ESG 관련 투자는 35조 3,010억 달러로 추정1) ╺ 국내 ESG 펀드 규모는 2020년 기준 3,707억 원으로 추정2) ╺ 코로나19 충격 이후 미국에서 ESG 관련 테마 포트폴리오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수익률을 회복3)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66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 및 정책대응 기본방향 1도토리 장민환
2865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장민환
» 성장동력산업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2863 성장동력산업 2022년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62 성장동력산업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61 성장동력산업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1도토리 정한솔
2860 성장동력산업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 1도토리 정한솔
2859 성장동력산업 산업과 기업체의 부실 징후 변화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858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GVC 참여구조와 COVID19 이후 수출회복 영향 분석 7도토리 최민기
2857 성장동력산업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 7도토리 최민기
2856 성장동력산업 리사이클·친환경 섬유패션산업 발전 전략 7도토리 정한솔
2855 성장동력산업 COVID-19에 따른 제조업 고용 변화 분석 7도토리 정한솔
2854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분야 생산지수의 당기예측에 대한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3 성장동력산업 디자인산업 통계조사 동향 및 개선 방안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2 성장동력산업 산업구조 변화에 의한 일자리 특성 변화와 인력재배치 방향 7도토리 이지훈
2851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 21년 3분기 현황 및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50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49 성장동력산업 중국 진출 韓 기업체 경기 조사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48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형(K)-순환경제 이행계획 수립 3도토리 김민성
2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콘텐츠/OTT 업체, 줄을 서시오⇒수급전쟁, 드라마 콘텐츠 가치 금값 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