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48
용량 320.4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pdf 320.4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17 
출처 : KiET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2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은 세계 최고의 OLED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LCD 경쟁력 상실로 중국에 2020년 글로벌 디스플레이 세계 1위 역전 ╺ 한국의 점유율 하락은 중국의 세계 시장 잠식의 결과로, 중국은 LCD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확보하였으며 OLED의 추격에도 집중 l 디스플레이 경쟁 구도는 LCD에서 OLED 등 차세대 분야로 이동하고 있으며 단순한 기술 경쟁에서 벗어나고 있어 산업 생태계 변화 양상을 고려한 복합적인 전략 수립이 요구 ╺ 단기 및 중기적으로 높은 성장세가 전망되는 OLED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것이 국내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최우선 목표 ╺ 코로나19 확산 이후 IT 디바이스의 수요가 확대되었으며,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새로운 애플 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어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 ╺ 국내 디스플레이산업은 핵심 소재·장비에서 글로벌 밸류체인 구조가 취약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생태계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 l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OLED 분야에 대한 초격차 전략 추진과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초기술 확보 및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리더십 확보가 필요 ╺ 중국과의 경쟁 구도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① 디스플레이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포괄적인 지원체계 구축 필요, ②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을 중심으로 R&D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협력체계 마련, ③ 탄소 중립 시대에 대응하는 친환경 공정 및 저탄소 인증제도의 선제적 구축으로 지속가능한 글로벌 디스플레이산업의 리더십 확보가 요구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산업경제이슈 2 1. 추락하고 있는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의 글로벌 위상 ▣ 한국 디스플레이산업, 중국의 급성장으로 세계 2위로 하락 l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은 2004년 일본을 앞지른 후 2019년까지 16년간 매출액 기준 세계 1위를 기록 ╺ 2012년 세계시장점유율 50.7%를 기록하는 등 독보적인 디스플레이 강국으로 자리매김 한ㆍ중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 (%) 0.2 0.4 0.7 1.2 0.9 0.6 0.9 0.9 1.2 1 0.6 19.4 17.9 15.4 15.5 7.4 6.6 5.9 3.6 0.5 4 5.1 8.7 10.5 12.5 17.6 31 42.6 15 15.4 9.9 30.7 29.1 26.9 28.1 28.8 24.6 25.7 26.2 21.9 22.5 24.5 45.7 47.6 48.4 44.7 42.8 45.2 45.9 44.5 42.8 40.2 30.3 2.1 14.1 21 36.8 2010 2011 2012 2013 한국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상 중국 대만 일본 기타 24.4 25 자료: 디스플레이산업협회, OMDIA 자료를 바탕으로 산업연구원 재작성. l 한국의 대등한 경쟁자로 성장한 중국의 디스플레이산업 ╺ 2020년 한국의 디스플레이산업의 매출액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은 36.6%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30%대로 하락하여 2위로 하락 ╺ 품목별로 한국의 LCD 시장점유율은 2020년 20.5%로 하락하여 44.1%를 기록한 중국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되었으며, 2위인 대만과도 큰 격차를 보이며 3위로 하락 ╺ 세계 OLED 시장에서는 우리나라가 87.1%의 압도적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중국의 추격으로 점유율 축소 지속 l 국내 디스플레이 생산과 사업체 수 등 산업 규모도 지속해서 하락 추세 ╺ 디스플레이산업의 종사자 수는 2013년 9만 3,414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2019년 최대치 대비 69% 수준으로 하락 ╺ 사업체 수는 2013년 273개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2019년 최대치 대비 73% 수준으로 하락 ╺ 디스플레이산업 생산도 2012년 85조 5,000억 원에서 지속 하락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29 성장동력산업 특수용도식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김민성
2828 성장동력산업 반려동물 식품/기능성사료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장민환
2827 성장동력산업 대체 식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장민환
2826 성장동력산업 건강기능성 식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장민환
2825 성장동력산업 가정간편식 제품(HMR 제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황세영
2824 성장동력산업 미·중 AI 경쟁에 대응하는 중국의 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황세영
2823 성장동력산업 TSMC-일본 반도체산업 제휴의 산업적 의미 및 시사점 1도토리 황세영
2822 성장동력산업 지역균형 뉴딜 활성화를 위한 혁신 중소기업 육성과 향후 과제 1도토리 황세영
2821 성장동력산업 엔젤투자, 양적 성장을 뛰어 넘어 질적 성장으로 1도토리 황세영
2820 성장동력산업 전기차용 배터리 현황, 전망 그리고 주요 이슈 1도토리 장민환
2819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 및 정책대응 기본방향 1도토리 장민환
2818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장민환
2817 성장동력산업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2816 성장동력산업 2022년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15 성장동력산업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오민아
» 성장동력산업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1도토리 정한솔
2813 성장동력산업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 1도토리 정한솔
2812 성장동력산업 산업과 기업체의 부실 징후 변화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811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GVC 참여구조와 COVID19 이후 수출회복 영향 분석 7도토리 최민기
2810 성장동력산업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 7도토리 최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