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45
용량 320.4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pdf 320.4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17 
출처 : KiET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2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은 세계 최고의 OLED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LCD 경쟁력 상실로 중국에 2020년 글로벌 디스플레이 세계 1위 역전 ╺ 한국의 점유율 하락은 중국의 세계 시장 잠식의 결과로, 중국은 LCD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확보하였으며 OLED의 추격에도 집중 l 디스플레이 경쟁 구도는 LCD에서 OLED 등 차세대 분야로 이동하고 있으며 단순한 기술 경쟁에서 벗어나고 있어 산업 생태계 변화 양상을 고려한 복합적인 전략 수립이 요구 ╺ 단기 및 중기적으로 높은 성장세가 전망되는 OLED 분야에서 경쟁우위를 유지하는 것이 국내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최우선 목표 ╺ 코로나19 확산 이후 IT 디바이스의 수요가 확대되었으며, 디지털 전환에 따른 새로운 애플 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어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 ╺ 국내 디스플레이산업은 핵심 소재·장비에서 글로벌 밸류체인 구조가 취약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생태계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 l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해 OLED 분야에 대한 초격차 전략 추진과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초기술 확보 및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리더십 확보가 필요 ╺ 중국과의 경쟁 구도에서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① 디스플레이산업의 중장기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포괄적인 지원체계 구축 필요, ②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을 중심으로 R&D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과 협력체계 마련, ③ 탄소 중립 시대에 대응하는 친환경 공정 및 저탄소 인증제도의 선제적 구축으로 지속가능한 글로벌 디스플레이산업의 리더십 확보가 요구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산업경제이슈 2 1. 추락하고 있는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의 글로벌 위상 ▣ 한국 디스플레이산업, 중국의 급성장으로 세계 2위로 하락 l 한국 디스플레이산업은 2004년 일본을 앞지른 후 2019년까지 16년간 매출액 기준 세계 1위를 기록 ╺ 2012년 세계시장점유율 50.7%를 기록하는 등 독보적인 디스플레이 강국으로 자리매김 한ㆍ중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점유율 (%) 0.2 0.4 0.7 1.2 0.9 0.6 0.9 0.9 1.2 1 0.6 19.4 17.9 15.4 15.5 7.4 6.6 5.9 3.6 0.5 4 5.1 8.7 10.5 12.5 17.6 31 42.6 15 15.4 9.9 30.7 29.1 26.9 28.1 28.8 24.6 25.7 26.2 21.9 22.5 24.5 45.7 47.6 48.4 44.7 42.8 45.2 45.9 44.5 42.8 40.2 30.3 2.1 14.1 21 36.8 2010 2011 2012 2013 한국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상 중국 대만 일본 기타 24.4 25 자료: 디스플레이산업협회, OMDIA 자료를 바탕으로 산업연구원 재작성. l 한국의 대등한 경쟁자로 성장한 중국의 디스플레이산업 ╺ 2020년 한국의 디스플레이산업의 매출액 기준 세계 시장 점유율은 36.6%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30%대로 하락하여 2위로 하락 ╺ 품목별로 한국의 LCD 시장점유율은 2020년 20.5%로 하락하여 44.1%를 기록한 중국의 절반 수준으로 축소되었으며, 2위인 대만과도 큰 격차를 보이며 3위로 하락 ╺ 세계 OLED 시장에서는 우리나라가 87.1%의 압도적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으나 중국의 추격으로 점유율 축소 지속 l 국내 디스플레이 생산과 사업체 수 등 산업 규모도 지속해서 하락 추세 ╺ 디스플레이산업의 종사자 수는 2013년 9만 3,414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2019년 최대치 대비 69% 수준으로 하락 ╺ 사업체 수는 2013년 273개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2019년 최대치 대비 73% 수준으로 하락 ╺ 디스플레이산업 생산도 2012년 85조 5,000억 원에서 지속 하락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64 성장동력산업 2022년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63 성장동력산업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오민아
» 성장동력산업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1도토리 정한솔
2861 성장동력산업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 1도토리 정한솔
2860 성장동력산업 산업과 기업체의 부실 징후 변화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859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GVC 참여구조와 COVID19 이후 수출회복 영향 분석 7도토리 최민기
2858 성장동력산업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 7도토리 최민기
2857 성장동력산업 리사이클·친환경 섬유패션산업 발전 전략 7도토리 정한솔
2856 성장동력산업 COVID-19에 따른 제조업 고용 변화 분석 7도토리 정한솔
2855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분야 생산지수의 당기예측에 대한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4 성장동력산업 디자인산업 통계조사 동향 및 개선 방안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3 성장동력산업 산업구조 변화에 의한 일자리 특성 변화와 인력재배치 방향 7도토리 이지훈
2852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 21년 3분기 현황 및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51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50 성장동력산업 중국 진출 韓 기업체 경기 조사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49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형(K)-순환경제 이행계획 수립 3도토리 김민성
28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콘텐츠/OTT 업체, 줄을 서시오⇒수급전쟁, 드라마 콘텐츠 가치 금값 3도토리 김민성
2847 성장동력산업 7대 미래화장품 혁신기술 트렌드 1도토리 김민성
28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채널과 MD정비로 리오프닝 준비 3도토리 김민성
2845 성장동력산업 24조원 보건의료 분야 해외조달시장 진출 지원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