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8
용량 339.5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pdf 339.5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4 
출처 : KiET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2 

l 최근 원료의약품 공급망이 마비되면서 원료의약품 제조업체들의 가격협상력이 높아짐. ╺ 중국과 인도는 가격경쟁력이 중요한 제네릭 원료의약품 부문에 과ㆍ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공급망 이슈가 터짐에 따라 몇몇 품목의 가격을 대폭 인상 ╺ 또한 품질 문제로 회수되고 환경문제로 공장을 닫게 되는 경우에도 공급망이 마비되어 주요국들은 원료의약품 공급망 강화 전략을 적극 추진 중 ╺ 미국은 단기적으로 동맹국 위주의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필수의약품의 원료의약품 위주로 자국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 정책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은 기존 특화된 제네릭 원료의약품 부문을 넘어서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 부문을 육성 하고 원료의약품산업 및 연관 산업 육성을 통해 제약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 l 우리나라도 공급망 강화 전략을 수립하고 고부가가치 분야 원료의약품 부문을 선점하여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포지셔닝을 확고히 해나가는 전략적 정책을 추진해나갈 필요 ╺ 우리나라 원료의약품의 국내 자급생산율이 낮아지고 있음(2009년 21% → 2019년 16%). ╺ 우선 개별 품목별 수입집중도 분석을 통해 수입공급자가 1~3개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 수입선 다변화 및 경제적 인센티브를 통해 국내 생산을 유도할 필요 ╺ 출발물질, 중간체, 원료의약품부터 시작하는 의약품 디지털 공급망을 구축하여 필수의약품 및 관련 원료의약품의 재고를 관리하고 품질 등의 문제로 회수 지침이 내려지면 즉각 특별약 사감시 및 해외실사로 이어지는 시스템 구축 ╺ 또한 친환경ㆍ연속 공정과 같은 혁신 공정과 설비 도입,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생산성 제고, 핵심기술의 플랫폼화 등을 통해 산업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와 대응 과제 산업경제이슈 2 1. 최근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 최근 의약품 공급망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원료의약품 생산업체가 시장에서 가격결정권을 주도하기 시작 l 코로나19 발발 이후 원료의약품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수급 안정성 문제가 제기 ╺ 중국과 인도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환경 규제와 저렴한 인건비를 바탕으로 원가경쟁력이 중요한 제네릭1) 원료의약품 시장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높은 성장세를 지속. 특히 중국은 규모의 경제에 기반하여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늘려오고 있음. ╺ 코로나19 발발 이후 원료의약품 수요가 증가한 데 반해, 중국과 인도 내 일부 공장이 폐쇄 되고 각국 정부가 수출 제한 조치를 취함에 따라 원료의약품 가격이 급상승 ╺ 중국산 출발물질, 중간체, 원료의약품에 의존하여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을 생산하던 인도 제조업체들도 연쇄적으로 공급망이 마비2) ╺ 2020년 공급망 마비 당시 중국산 원료의약품 및 출발물질 가격은 코로나19 이전 대비 평균 20~30% 상승하였고 가격이 두 배 이상 오른 품목들도 있음. l 인도와 중국은 세계 화학합성 원료의약품 시장에서 과ㆍ독점적 지위를 차지 ╺ 기본적으로 중국과 인도는 심혈관 및 항암 의약품 부문 원료의약품에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 으며, 중국은 항생제,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염증제 부문, 인도는 중추신경계, 호흡기계 부문 원료의약품에 특화3) ╺ 분자 타입별로 무역거래 자료를 살펴보면, 고분자의약품인 바이오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 품은 기존 제약 R&D 부문 비교우위가 있는 미국, 독일, 스위스와 아일랜드 등의 점유율이 높으며, 중국은 저분자의약품인 화학합성 원료의약품4) 부문에서 점유율 선두를 차지 ╺ 화학합성 원료의약품의 품목 단위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중국과 인도가 과ㆍ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품목들이 있어, 공급망 마비 시 대책이 필요해 보임. * 유기화합물(HS 29류) 전체 385개 품목 중 123개 품목의 거래 물량 과반을 중국과 인도가 차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29 성장동력산업 특수용도식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김민성
2828 성장동력산업 반려동물 식품/기능성사료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장민환
2827 성장동력산업 대체 식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장민환
2826 성장동력산업 건강기능성 식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장민환
2825 성장동력산업 가정간편식 제품(HMR 제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황세영
2824 성장동력산업 미·중 AI 경쟁에 대응하는 중국의 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황세영
2823 성장동력산업 TSMC-일본 반도체산업 제휴의 산업적 의미 및 시사점 1도토리 황세영
2822 성장동력산업 지역균형 뉴딜 활성화를 위한 혁신 중소기업 육성과 향후 과제 1도토리 황세영
2821 성장동력산업 엔젤투자, 양적 성장을 뛰어 넘어 질적 성장으로 1도토리 황세영
2820 성장동력산업 전기차용 배터리 현황, 전망 그리고 주요 이슈 1도토리 장민환
2819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 및 정책대응 기본방향 1도토리 장민환
2818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장민환
2817 성장동력산업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2816 성장동력산업 2022년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15 성장동력산업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14 성장동력산업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1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 1도토리 정한솔
2812 성장동력산업 산업과 기업체의 부실 징후 변화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811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GVC 참여구조와 COVID19 이후 수출회복 영향 분석 7도토리 최민기
2810 성장동력산업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 7도토리 최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