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최근 원료의약품 공급망이 마비되면서 원료의약품 제조업체들의 가격협상력이 높아짐. ╺ 중국과 인도는 가격경쟁력이 중요한 제네릭 원료의약품 부문에 과ㆍ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공급망 이슈가 터짐에 따라 몇몇 품목의 가격을 대폭 인상 ╺ 또한 품질 문제로 회수되고 환경문제로 공장을 닫게 되는 경우에도 공급망이 마비되어 주요국들은 원료의약품 공급망 강화 전략을 적극 추진 중 ╺ 미국은 단기적으로 동맹국 위주의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필수의약품의 원료의약품 위주로 자국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 정책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은 기존 특화된 제네릭 원료의약품 부문을 넘어서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 부문을 육성 하고 원료의약품산업 및 연관 산업 육성을 통해 제약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 l 우리나라도 공급망 강화 전략을 수립하고 고부가가치 분야 원료의약품 부문을 선점하여 글로벌 밸류체인에서의 포지셔닝을 확고히 해나가는 전략적 정책을 추진해나갈 필요 ╺ 우리나라 원료의약품의 국내 자급생산율이 낮아지고 있음(2009년 21% → 2019년 16%). ╺ 우선 개별 품목별 수입집중도 분석을 통해 수입공급자가 1~3개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 수입선 다변화 및 경제적 인센티브를 통해 국내 생산을 유도할 필요 ╺ 출발물질, 중간체, 원료의약품부터 시작하는 의약품 디지털 공급망을 구축하여 필수의약품 및 관련 원료의약품의 재고를 관리하고 품질 등의 문제로 회수 지침이 내려지면 즉각 특별약 사감시 및 해외실사로 이어지는 시스템 구축 ╺ 또한 친환경ㆍ연속 공정과 같은 혁신 공정과 설비 도입, 합성생물학을 활용한 생산성 제고, 핵심기술의 플랫폼화 등을 통해 산업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와 대응 과제 산업경제이슈 2 1. 최근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 최근 의약품 공급망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원료의약품 생산업체가 시장에서 가격결정권을 주도하기 시작 l 코로나19 발발 이후 원료의약품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수급 안정성 문제가 제기 ╺ 중국과 인도는 상대적으로 느슨한 환경 규제와 저렴한 인건비를 바탕으로 원가경쟁력이 중요한 제네릭1) 원료의약품 시장에서 2000년대 초반부터 높은 성장세를 지속. 특히 중국은 규모의 경제에 기반하여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늘려오고 있음. ╺ 코로나19 발발 이후 원료의약품 수요가 증가한 데 반해, 중국과 인도 내 일부 공장이 폐쇄 되고 각국 정부가 수출 제한 조치를 취함에 따라 원료의약품 가격이 급상승 ╺ 중국산 출발물질, 중간체, 원료의약품에 의존하여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을 생산하던 인도 제조업체들도 연쇄적으로 공급망이 마비2) ╺ 2020년 공급망 마비 당시 중국산 원료의약품 및 출발물질 가격은 코로나19 이전 대비 평균 20~30% 상승하였고 가격이 두 배 이상 오른 품목들도 있음. l 인도와 중국은 세계 화학합성 원료의약품 시장에서 과ㆍ독점적 지위를 차지 ╺ 기본적으로 중국과 인도는 심혈관 및 항암 의약품 부문 원료의약품에 경쟁우위를 가지고 있 으며, 중국은 항생제, 항바이러스, 항박테리아, 항염증제 부문, 인도는 중추신경계, 호흡기계 부문 원료의약품에 특화3) ╺ 분자 타입별로 무역거래 자료를 살펴보면, 고분자의약품인 바이오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 품은 기존 제약 R&D 부문 비교우위가 있는 미국, 독일, 스위스와 아일랜드 등의 점유율이 높으며, 중국은 저분자의약품인 화학합성 원료의약품4) 부문에서 점유율 선두를 차지 ╺ 화학합성 원료의약품의 품목 단위별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중국과 인도가 과ㆍ독점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품목들이 있어, 공급망 마비 시 대책이 필요해 보임. * 유기화합물(HS 29류) 전체 385개 품목 중 123개 품목의 거래 물량 과반을 중국과 인도가 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