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우리나라 제조업 내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 변화를 스펙트럼 방식으로 각각 파악하고, 나아가 양자를 통합하는 관점에서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 구조를 파악 l 산업 차원의 부실징후 변화를 보면, 분석 초기 연도인 2010년부터 2020년까지 부실징후 산업 군의 비중은 상승하고 양호 산업군의 비중은 하락한 경향 l 기업 차원의 부실징후 변화를 보면, 외감기업과 상장사 모두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020년까지 부실징후 기업군의 비중이 상승하고 양호 기업군의 비중은 하락하는 경향 l 산업과 기업의 통합 관점에서 보면, 부실징후 기업과 양호 기업 모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쟁력이 약화된 산업 환경에서 기업 활동을 영위하는 경향이 강해짐. l 향후 금리가 인상된다면 그간 저금리와 코로나19 특별 금융에 의존해 온 부실징후 기업들 중 적어도 일부는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기업구조조정 압력에 미리 대비할 필요 ╺ 산업의 부실성과 기업의 부실성은 상호 영향을 미치므로 양자 간 통합 관점에서 구조조정 압력에 대응하는 노력이 필요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 변화와 시사점 산업경제이슈 2 ▣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를 스펙트럼 식별 방식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양자를 연계하여 파악 l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 정도는 산업(혹은 기업)에 따라 차별성을 갖고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질 수 있음. ╺ 예컨대 부실성이 가장 큰 산업(혹은 기업)에서부터 가장 작은 산업(혹은 기업)에 이르는 다층적 구조에 기반한 스펙트럼 방식으로 파악할 필요 l 산업의 부실징후 스펙트럼과 기업의 부실징후 스펙트럼은 상호 의존하고 영향을 미칠 수 있으 므로 양자를 통합해서 파악할 필요 ╺ 산업은 기업들의 집합체이므로 산업의 부실징후 정도는 그 산업에서 활동하는 기업들의 재무 건전성 혹은 부실성 여부에 의해서 영향을 받을 가능성 ╺ 역으로 기업들은 그들이 생산하는 주력 품목의 부실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기업의 재무 건전성 혹은 부실성 여부는 그들이 활동하는 산업의 부실성 혹은 경쟁력 여건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 l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최근 제조업 내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 변화를 각각 스펙트럼 방식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양자를 통합하는 관점에서 산업과 기업의 부실징후 구조 변화를 파악 ▣ 산업 차원 분석 방법: 제조업 내 모든 산업을 부실징후의 정도에 따라 7개 그룹으로 식별 l 산업의 부실징후 상대성을 파악하는 데 산업의 수급과 그 변화, 산업의 수급 밸런스 즉 과잉 공급 여부, 산업의 성과 즉 부가가치 등 3개 유형이 중요하다고 보고 이를 토대로 제조업 내 모든 품목을 7개 그룹으로 구분1) ╺ 그룹 7의 산업군을 가장 양호한 산업군으로 평가하고, 그룹 1의 산업군을 가장 부실한 산업군 으로 평가 ∙ 파레토 우열: 그룹 7 > 그룹 6 > 그룹 5 > 그룹 4 > 그룹 3 > 그룹 2 >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