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36
용량 2.58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pdf 2.5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04 
출처 : KiET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11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구성

 

제2장 코로나19 장기화와 서비스산업

 1. 서비스산업 생산 및 고용

 2. 주요 서비스 업종별 코로나19 영향

  (1) 문화 및 여가

  (2) 외식업

  (3) 도소매

 

제3장 코로나19와 서비스산업 뉴노멀

 1. 디지털 기반 비대면 비즈니스

  (1) 디지털화와 비대면 비즈니스

  (2) 디지털화 정도에 따른 서비스 구분

 2. 코로나19와 디지털 기반 비대면 서비스산업

  (1) 한국과 미국의 비교 분석

  (2) 국내 기업 자료 분석

  (3) 국내외 사례 분석

 3. 코로나19와 서비스산업 뉴노멀

 

제4장 정책 과제 및 결론

 1. 관련 정책 동향

 2. 뉴노멀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

 


 

○ 2020년 1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국면이 2021년 현재까지 장기화되 면서 서비스산업 전반에 복합적인 영향 -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표되는 비대면 소비사회로의 전환은 서비스 제 공의 대면성이 강한 음식점, 운수업, 문화산업 등에 부정적 영향 - 반면 디지털 기반 기술을 활용한 플랫폼 기반 서비스 등에서는 디지 털화(Digitalization) 가속이라는 긍정적 영향 ○ 코로나19로 인해 의도와 관계없이 소비자들은 디지털 기반 비즈니스 에 익숙해지고 기업들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디지털 친화적 업 종의 성장은 2019년에 비해 2020년에 두드러짐 - 한국과 미국의 실질 GDP의 2019년 대비 2020년의 비중 변화에서 양 국 모두 디지털 친화 업종의 긍정적 성장 확인 - 한국의 ‘출판, 방송, 영상, 정보서비스’와 미국의 ‘Data processing, internet publishing and other information services’가 디지털 친화 8 뉴노멀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제 적 업종의 성장을 견인 ⋅한국의 기업 자료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이 코로나19의 긍정적 영향을 상대적으로 잘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 - 한국은 미국과의 디지털 친화적 업종의 비교에서 장기적인 측면에서 인력과 투자 그리고 단기적 측면에서 ICT 서비스 중간재 제공 부문의 문제점 노출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서비스 질적 향상의 측면에서 대면 방식의 서비스 회귀와 디지털 기술과 데이터를 이용해 고객에게 특화된 서 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 진화로 서비스산업 뉴노멀이 전개될 것으로 예측 - 플랫폼 등 디지털 기반 비대면 비즈니스는 비대면 국면에서 소비자의 소비생활 지속이라는 측면에서 기여하고 성장하였지만 대면 서비스 기반의 질적 만족감 측면에서는 한계 노출 - 국내외 사례 분석의 결과 디지털 기반 플랫폼 비즈니스는 고객특화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데 이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라는 질적 향상을 통해 대면 서비스와의 경쟁에서 차별성을 확보하려는 차원 ○ 고객특화형 비즈니스 모형으로의 전환이라는 뉴노멀 트랜드에서 기업 고객, 개인 고객 모두에게 데이터 활용의 유연성은 필수적인 성공 요인 - 개인 고객에게 제공될 고객 특수적 서비스는 고객의 개인적인 소비 정보 나아가서는 개인정보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야 차별성 확보 가능 - 시스템 통합 등의 측면에서 기업 고객 특수적 서비스는 결국 서비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29 성장동력산업 특수용도식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김민성
2828 성장동력산업 반려동물 식품/기능성사료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장민환
2827 성장동력산업 대체 식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장민환
2826 성장동력산업 건강기능성 식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장민환
2825 성장동력산업 가정간편식 제품(HMR 제품)_중소벤처기업부로드맵[기능성식품 분야] 3도토리 황세영
2824 성장동력산업 미·중 AI 경쟁에 대응하는 중국의 전략 및 시사점 1도토리 황세영
2823 성장동력산업 TSMC-일본 반도체산업 제휴의 산업적 의미 및 시사점 1도토리 황세영
2822 성장동력산업 지역균형 뉴딜 활성화를 위한 혁신 중소기업 육성과 향후 과제 1도토리 황세영
2821 성장동력산업 엔젤투자, 양적 성장을 뛰어 넘어 질적 성장으로 1도토리 황세영
2820 성장동력산업 전기차용 배터리 현황, 전망 그리고 주요 이슈 1도토리 장민환
2819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혁신성장역량의 공간분포 및 정책대응 기본방향 1도토리 장민환
2818 성장동력산업 자동차산업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과제 1도토리 장민환
2817 성장동력산업 기업 ESG 경영 확대에 대한 산업정책적 접근 및 시사점 1도토리 오민아
2816 성장동력산업 2022년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15 성장동력산업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14 성장동력산업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1도토리 정한솔
2813 성장동력산업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 1도토리 정한솔
2812 성장동력산업 산업과 기업체의 부실 징후 변화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811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GVC 참여구조와 COVID19 이후 수출회복 영향 분석 7도토리 최민기
» 성장동력산업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 7도토리 최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