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COVID-19에 따른 제조업 고용 변화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4
용량 833.62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COVID-19에 따른 제조업 고용 변화 분석.pdf 833.6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03 
출처 : KiET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79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차별성

 4. 연구의 구성

 

제2장 코로나19 발생 후 제조업 고용 변화

 1. 중장기적 추이상에서의 제조업 고용 변화-서비스업과 비교

 2. 코로나19 발생 이후 제조업 고용 변화-서비스업과 비교

 3. 종사상 지위별 제조업 취업자 변화

 4. 규모별 제조업 취업자 변화

 5. 해외 주요국과 제조업 고용 변화 비교

 

제3장 코로나19 발생 후 제조업 주요 업종별 고용 변화

 1. 제조업 주요 업종별 생산(출하) 및 수출(내수) 현황

 2. 제조업 주요 업종별 고용 변화의 특징

 

제4장 코로나19 발생 전후 제조업 고용 변화 비교 분석

 1. 단기 변화와 중장기 추세 비교 방법

 2. 코로나19에 따른 추세적 변화 여부

 3. 중장기적 추세와 단기 변화의 비교

 4. 2020년 고용의 결정요인 분석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 코로나19 이후 우리 제조업 전체 고용은 비교적 큰 충격 없이 빠르게 회복하는 모습 - 제조업 고용은 서비스업에 비해 큰 충격 없이 유지되고 있고, 2020년 상반기에 일부 하락이 있었지만 하반기부터 회복 추세 - OECD 주요국의 제조업과 비교해도 우리나라는 일본과 함께 고용 충 격이 비교적 작게 나타남. ○ 제조업 내 특성별로 다소 차이 발생 - 종사상 지위별 비중을 보면, 임시ㆍ일용직,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에 서 감소, 상용직과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증가 - 규모별로는 30인 미만 사업장에서 고용 충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 타났고, 300인 이상의 경우 상반기 약간의 충격 이후 고용이 지속적 으로 상승하여 고용 충격은 상대적으로 작음. ○ 제조업 내 업종별로도 코로나19의 충격이 상이하게 나타남. 8 코로나19에 따른 제조업 고용 변화 분석 - 2020년 1월 기준으로 제조업의 생산과 출하의 변화를 살펴보면, 의복, 가죽ㆍ신발 제조업은 생산과 출하가 감소한 반면, 전자부품ㆍ컴퓨터, 의료ㆍ정밀ㆍ광학기기 제조업은 증가 - 2019년 4분기~2021년 1분기 산업별 상용직 근로자 변화 추이를 보 면, 음료, 의약품 제조업 등 일부 산업은 상용직 근로자가 증가 - 반면, 섬유, 의복, 가죽ㆍ가방ㆍ신발, 목재ㆍ나무, 인쇄ㆍ기록매체, 고무ㆍ 플라스틱, 비금속광물, 1차금속, 금속가공, 자동차ㆍ트레일러, 기타 운송장비, 가구, 기타 제품 등은 지속적으로 하락 혹은 단계적 하락, 상승하였다가 하락하는 형태 - 그 외 산업은 하락하였다가 상승하는 시점은 서로 상이하지만, W, N, U자 형태를 보이는 업종들도 존재 ○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중장기적 고용 추세와 코로나19 발생 후 단기 추세 변화를 검증한 결과 대다수 업종에서 유의한 추세 변화 발견 - Chow test 검정 결과, 의료품은 추세적 변화가 없었고, 화학제품은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만 1%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음. - 나머지 업종들은 1%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나 대부분 업종 에서 추세적 변화가 없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함. ○ 제조업 업종별 고용의 중장기, 단기 추세선을 비교한 결과 업종에 따 른 차이를 보임. - 2016년 1월 이후부터 2019년 12월까지의 중장기 추세선을 2020년 1월부터 연장하여 예측치를 제시한 선과 2020년 1월부터의 단기 추 세선을 비교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64 성장동력산업 2022년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63 성장동력산업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62 성장동력산업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1도토리 정한솔
2861 성장동력산업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 1도토리 정한솔
2860 성장동력산업 산업과 기업체의 부실 징후 변화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859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GVC 참여구조와 COVID19 이후 수출회복 영향 분석 7도토리 최민기
2858 성장동력산업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 7도토리 최민기
2857 성장동력산업 리사이클·친환경 섬유패션산업 발전 전략 7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COVID-19에 따른 제조업 고용 변화 분석 7도토리 정한솔
2855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분야 생산지수의 당기예측에 대한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4 성장동력산업 디자인산업 통계조사 동향 및 개선 방안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3 성장동력산업 산업구조 변화에 의한 일자리 특성 변화와 인력재배치 방향 7도토리 이지훈
2852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 21년 3분기 현황 및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51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50 성장동력산업 중국 진출 韓 기업체 경기 조사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49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형(K)-순환경제 이행계획 수립 3도토리 김민성
28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콘텐츠/OTT 업체, 줄을 서시오⇒수급전쟁, 드라마 콘텐츠 가치 금값 3도토리 김민성
2847 성장동력산업 7대 미래화장품 혁신기술 트렌드 1도토리 김민성
28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채널과 MD정비로 리오프닝 준비 3도토리 김민성
2845 성장동력산업 24조원 보건의료 분야 해외조달시장 진출 지원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