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제조업 분야 생산지수의 당기예측에 대한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93
용량 10.58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제조업 분야 생산지수의 당기예측에 대한 연구.pdf 10.5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08 
출처 :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81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1) GDP 당기예측

  (2) 경기지표 산출

  (3) 생산지수 당기예측

 

제2장 분석모형과 사용자료

 1. 분석모형 

 2. 사용변수

 

제3장 실증분석

 1. 분석모형 추정 결과

 2. 예측실험

  (1) 실험방식

  (2) 예측실험 결과

  (3) 실증분석 요약

 

제4장 결론

 1. 주요 내용 및 시사점

 2.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

 


 

□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공공 부문에서 정책 당국자들이 시의성 있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서, 민간 분야에서 애널리스트와 투자자들이 적절한 투자 계획을 세 우기 위해서는 현재의 경제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필요 - 하지만 최근 들어 경제의 불확실성은 커지고 대내외 경제충격의 파 급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현재 경기상황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는 쉽지 않은 상황 - 그리고 실물경제지표들은 최소 1~2개월의 발표 시차(publication lag)가 있기 때문에 설문조사 결과와 각종 예측치 등으로 당장 현재 의 실물경기상황을 짐작할 수밖에 없는 상황 ○ 이러한 제약 때문에 가까운 과거 혹은 현재의 경기상황에 대한 판단을 해야 할 때 사실상의 ‘예측’이 필요하며 당기예측(Nowcasting=Now+ Forecasitng)이라는 분야로 활발히 연구되어 오고 있음. 8 제조업 생산지수의 당기예측Nowcasting에 관한 연구 □ 당기예측(Nowcasting) ○ 당기예측은 각기 다른 주기와 시점에 발표되는 일별, 월별, 분기별 데 이터를 현시점에서 가장 최근값으로 업데이트하여 목표변수를 실시 간 예측하는 연구 분야 - 대표적인 경기지표인 분기 GDP는 2021년 1/4분기 속보치가 4월 27 일에, 잠정치는 6월 9일에 발표되었으며, 2/4분기 속보치는 7월 23 일, 잠정치는 9월 2일에 발표됨. - 또한 분기 중에 속한 시점의 GDP를 확인할 수 없는 한계로 인해 2000년 이후 GDP를 당기예측하는 연구들로부터 해당 분야의 연구 가 활발해지기 시작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뉴욕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이 사용하는 당기예측 방법론(Bok et al., 2018)을 한국의 제조업 생산지 수의 당기예측에 적용하고, 예측력을 다각도로 비교ㆍ분석하여 시사 점을 도출하고자 함. - 생산지수는 월별 경기지표 중 우선적으로 분석되는 실물지표로 특히 제조업 부문에서 그 활용도가 높으며, 선행연구들에서 분기 GDP를 당기예측하기 위해 필수로 설명변수로 활용하는 등 여러 방면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분석되고 활용되는 지표 - 뉴욕 연방준비은행의 동적요인모형(Dynamic Factor Model, DFM)은 빅데이터에 담긴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데이터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예측치를 시스템적으로 갱신할 수 있어, 빅데이터를 활용하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129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속 한국 무역 날개를 달다 1도토리 국준아
1298 성장동력산업 집값이 오르면 소비도 늘어날까 1도토리 국준아
1297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사회적 과제 해결형’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 1도토리 국준아
1296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플랫폼 반독점법안 도입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5 성장동력산업 일본 신임 내각 인선과 한·일간 경제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94 성장동력산업 최근 원달러 환율 상승의 주요 배경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3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테이퍼링 여건 점검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92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업 양극화 1도토리 국준아
1291 성장동력산업 SDGs와 UN의 역할과 전망 1도토리 국준아
1290 성장동력산업 2022년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 - 3% 성장을 위한 미션 3도토리 국준아
128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쇼크에 갇힌 한국 경제- 최근 국내외 리스크 동시다발화의 원인과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1288 성장동력산업 중국 전력난의 배경과 향후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87 성장동력산업 COVID-19가 산업과 문화에 미친 영향 3도토리 국준아
1286 성장동력산업 오일쇼크 발 슬로플레이션 우려 증폭 - 국제유가 상승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국준아
1285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 정부의 산업 규제 강화 배경과 영향 1도토리 국준아
1284 성장동력산업 한국 기업의 ESG위험 관리역량 국제비교 1도토리 국준아
1283 성장동력산업 EU-미국의 탄소국경조정 동향 및 탄소국경세 부담 추정 1도토리 국준아
1282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계약에 기초한 DeFi의 활용 가능성 3도토리 국준아
1281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소재 부품 산업 동향과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1280 성장동력산업 사업체 특성별 산업재해 현황과 과제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