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중소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과 정책 과제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국준아 | 조회수 | 57 | |
---|---|---|---|---|---|---|
용량 | 4.04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중소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과 정책 과제.pdf | 4.04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12-24 |
---|---|
출처 : | KiET 산업연구원 |
페이지 수 : | 259 |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의 구성 및 방법
(1) 연구의 구성
(2) 주요 연구 방법
제2장 디지털 전환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함의
1. 디지털 전환에 대한 중소기업 관점의 실체적 이해
(1) 디지털 전환의 기본 개념
(2) 디지털 전환에 대한 실체적 이해
2. 디지털 전환의 중소기업에 대한 영향과 함의
(1) 디지털 전환의 산업 가치사슬 및 산업별 영향요인
(2) 온라인 플랫폼 경제의 부상과 중소기업에 대한 영향
3. 중소기업 관점에서 본 디지털 전환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
(1) 중소기업에 대한 디지털 전환의 기회요인
(2)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의 주요 이슈와 도전적 요인
제3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
1. 실태조사 개요 및 응답표본 특성
2.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
(1) 디지털 전환의 초점
(2) 디지털 전환의 기회요인
(3) 디지털 전환 추진의 영향요인
(4)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 정도
(5) 디지털 전환의 제약요인
(6) 디지털 전환 준비 정도
(7)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 수요
3. 실증분석
(1) 디지털 전환의 결정요인 분석
(2) 디지털 전환의 기회요인 분석
4. 시사점
(1)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준과 준비 미흡
(2) 영위업종과 비즈니스모델 등에 따른 전환 유형의 다양성
(3) 기업 역량과 수요 측면의 투자 유인이 중요
(4)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용성 제고가 중요
제4장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의 유형화 및 추진전략
1.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의 유형
2. 유형별 기업 사례 분석
(1) 기업 사례 분석
(2) 분석 결과 및 시사점
3. 유형별 디지털 전환 추진전략
(1) 제조업 하도급
(2) 제조업 비하도급
(3) 서비스업 B2B
(4) 서비스업 B2C
제5장 주요국의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정책
1. 독일
(1)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
(2) 정책 방향 및 주요 지원시책
2. EU
(1)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
(2) 정책 방향 및 주요 지원시책
3. 일본
(1)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
(2) 정책 방향 및 주요 지원시책
4. 정책적 시사점
(1) 국가별로 정책 토양과 여건이 상이
(2)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정책의 역할이 중요
(3) 정책 목표와 기업 현실 간 괴리
(4) 중소기업의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노력
(5)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 및 정책 환류
(6) 복잡다양한 정책 수요에 대응한 정교한 정책 접근이 필요
제6장 향후 정책 방향 및 주요 정책과제
1. 정책 방향
(1) 명확한 정책 목표 및 지향성 정립
(2) 다종다양한 정책 수요에 대한 대응원칙과 우선순위에 기반한 정책 추진
(3) 생태계 전략의 정책화
2. 정책 방향 측면의 기존 정책 평가
(1) 정책 목표 및 지향성 측면
(2) 정책 수요에 대한 대응원칙 및 우선순위 측면
(3) 생태계 전략의 정책화 측면
3. 주요 정책과제
(1) 체계적ㆍ주기적 실태 파악에 기반한 정책환류체계 확충
(2) 중소기업 기회요인에 대한 구현 비전 제시
(3) 중소기업의 활용성 제고를 위한 종합지원체제 구축
(4) 수요 다양성을 충실히 반영한 디지털 전환 단계ㆍ수준 측정 및 정책 적용
(5) 생태계 전략과 연계된 지원 확충 및 내실화
1. 서론 독일의 인더스트리 4.0을 중심으로 스마트제조가 산업 지형을 바꿀 새로운 혁신 흐름으로 주목받는 한편, 팬데믹을 계기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주요 선진국들은 적극적인 전략적 대응 움직임을 전개 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새로운 혁신 흐름을 대표하는 디지털 전환은 선도기 업이나 산업 사례를 중심으로 새로운 성장 기회로 부각되고 있으나 중 소기업에는 도전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반면, 중소기업 관점 의 필요성과 효용성 접근은 크게 미흡하다. 이에 따라 디지털 전환이 중소기업의 성장 패러다임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중소기업의 대응전략을 모색할 필요성이 크게 강조되 어야 한다. 특히 디지털 전환의 보편적 내용성과 중소기업의 현실 여건 간 간극을 줄여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수용성 및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해법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때 중소기업 존립 형태의 다양 14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전략과 정책과제 성, 디지털 전환을 통한 기대편익, 디지털 전환의 궁극적 목표인 산업 생 태계의 경쟁력 제고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의 방향성과 전략을 기반으로 상대적 열위에 있는 중소기업의 경영자원과 역량을 효과적으로 보완하 기 위한 정책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본 보고서는 모두 6장으로 구성하였다. 서론에서는 중소기업 관점의 디지털 전환 접근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 제기 속에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본 연구의 유의점과 차별화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제2장에서는 디 지털 전환이 중소기업 성장 패러다임에 미치는 영향 및 함의를 정리하 였으며, 제3장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서를 기반으로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과 함께 중소기업의 디 지털 전환 결정요인 및 기회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 다. 제4장에서는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하기 어려운 개별 기업이 처한 디 지털 전환 환경과 수요, 디지털 전환의 전략적 요소 및 제약 등을 중심으 로 유형별 기업 사례조사를 시도하고, 이를 실태조사 결과와 결합하여 유형별 추진전략을 검토하였다. 제5장에서는 주요국의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관련 정책 사례를 검토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현행 정책에서 참 고하거나 보완할 요소가 무엇인지를 탐색하였으며, 결론에 해당하는 제 6장에서는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실태 분석, 전환의 유형화 결과, 해 외 정책 사례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정책 제언을 다루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