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베트남 진출 기업체 경영 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49
용량 7.55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베트남 진출 기업체 경영 환경 실태조사 보고서.pdf 7.5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31 
출처 : KiET 산업연구원 
페이지 수 : 121 

< 목 차 >

 

제1장 조사의 목적 및 개요

1. 조사의 목적

2. 주요 국내 기존 조사 및 본 조사의 차별성

3. 조사 개요

 

제2장 공급망과 판매망

1. 공급망

2. 판매망

 

제3장 베트남 내 경영실태

1. 매출과 이익

2. 경영 애로사항

3. 민감 규제사항

 

제4장 사업 현황과 전망

1. 사업 현황과 전망

2. 이전과 확장

 

제5장 베트남 대내환경 변화 및 대응

1. 베트남 대내환경 변화

2. 베트남 대내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제6장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 및 대응

1.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

2. 글로벌 대외환경 변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3. 향후 중요한 글로벌 대외환경

 


 

1. 조사의 목적 및 개요 ❍ 한국과 베트남이 1992년 수교한 이후 약 29년이 지났으며, 2008년 삼성전자 휴대폰 제조 의 베트남 진출부터 한ㆍ베 교역은 물론 베트남으로의 직접투자가 급격히 증가 ❍ 반면 베트남 진출기업에 대한 경영환경 등의 기초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 정이며, 이러한 이유에서 “베트남 진출기업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처음으로 실시하였으며, 향후 연례화하여 기초통계를 확보할 필요 -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을 대상으로 매년 진출 목적, 공급망, 사업 전망, 향후 계획, 애로요인, 대내환경 변화 대응, 글로벌 환경 변화 대응 등 경영환경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초자료로 구축함으로써 향후 베트남 진출기업 대상의 정책지원 방안 수립 등에 활용 기대 ❍ 산업연구원은 2020년 “중국 진출기업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실시하였고, 최근 미ㆍ중 갈등 의 영향으로 공급망의 재편 및 미ㆍ중 디커플링(de-coupling) 심화 등에 따라 동남아시아 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우리 기업이 많이 진출한 베트남에 대한 실태조사 필요성 증 가로 본 사업을 추진 ❍ 산업연구원이 “베트남 진출기업 경영환경 실태조사”를 기획ㆍ추진하였고, 대한상공회의소 베트남하노이사무소가 공동주관 형태로 조사의 실무를 담당하였으며 베트남코참이 실질적 인 조사 업무를 담당 - 산업연구원이 실태조사를 기획하여 대한상공회의소와 베트남코참의 협조를 요청하였고, 설문조사 의 실시는 베트남코참의 회원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추진 - 대한상공회의소 베트남하노이사무소는 베트남코참의 행정간사기관으로 설문조사에 적극 참여 ❍ 실태조사는 설문조사 형식으로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실시 - 대한상공회의소 하노이사무소가 보유한 베트남 진출기업 4,519개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 여 217개 기업이 응답 - 한국에 본사를 둔 기업은 140개사로 65%, 베트남에 본사가 있는 기업은 57개로 26%를 차지 - 기업의 지분 형태로 살펴보면 100% 한국 기업이 독자지분인 경우가 183개로 약 84%를 차지 - 응답기업은 하노이권에 120개사, 호치민권에 94개사로 많았으며, 전체 응답기업의 98.6% - 업종별로는 농림어업 기업이 3개(1.4%), 제조업 기업은 124개(57.1%) 그리고 서비스업 기업 90개 (41.5%)가 응답 - 응답기업을 종업원 수를 기준으로 보면 300명 이상 규모의 기업이 51개로 약 23%를 차지하였고, 100~300명 규모 기업은 36개사로 17%, 30~100명 규모는 41개사로 19%, 10~30명 규모 기업도 41개사로 19%, 10명 미만의 기업은 48개사로 22%를 차지하는 등 고른 분포 - 매출액 기준으로는 2,000억 동1) 이상의 기업이 55개사로 25%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중 - 베트남 진출경로를 보면 한국에서의 직접투자 기업이 162개사로 응답기업의 75%를 차지하였으며, 중국에서 이전한 기업은 7개사(3%)에 불과하였고, 베트남 현지에서 창업한 기업이 48개로 22%를 차지 ❍ 처음으로 실시된 베트남 진출기업 경영환경 실태조사는 응답기업의 수가 217개에 불과하여 업종별 분석 등에서 대표성에 한계가 있으며, 향후 응답률 제고가 필요 2. 공급망과 판매망 ❍ 베트남 진출 제조기업에게 원부자재를 어디서 조달하여 생산하는지, 그리고 생산한 제품은 어디로 판매(납품)하는지를 설문 ❍ 원부자재의 조달처는 베트남 현지가 35.2%, 한국 34.7%, 중국 21.7%를 차지 ❍ 생산제품의 판매처는 베트남 내 한국 기업 32.5%, 한국 23.1%, 베트남 기업이 12.9% - 북미(11.3%)나 유럽(5.0%) 및 일본(3.3%)으로 납품하는 기업은 20% 미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Positive) LNG선 만으로는 부족한, 한 칼이 필요한 시점 3도토리 김민성
28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터넷 - 주요 게임주 신작 론칭일정 & P2E, 메타버스 대응 정리 3도토리 김민성
2837 성장동력산업 수입구조 변화가 한국의 주요 제조업경쟁력에 끼치는 영향 7도토리 민준석
2836 성장동력산업 섬유산업의 국내외 메가트렌드 변화 및 대응 방안 7도토리 국준아
2835 성장동력산업 한국 지역 정책의 변화와 시사점 7도토리 국준아
2834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전략과 정책 과제 7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진출 기업체 경영 환경 실태조사 보고서 7도토리 최민기
2832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핵심 기술 관련 지역 산업 클러스터 분석과 활용 방법 연구 7도토리 국준아
2831 성장동력산업 각국의 핀테크 산업동향 3도토리 국준아
2830 성장동력산업 각국의 유망 창업아이템 및 기술소개 3도토리 한상윤
2829 성장동력산업 빅데이터, AI의 현재와 중소벤처기업 활용 과제 7도토리 한상윤
2828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전환(DX)과 중소벤처기업 대응 과제 7도토리 김민성
2827 성장동력산업 각국의 청년창업지원 프로그램 3도토리 김민성
2826 성장동력산업 각국의 전기차 관련 정책동향 3도토리 민준석
2825 성장동력산업 「中企사업구조전환대응 동향조사」결과와 정책적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2824 성장동력산업 SRI International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민준석
2823 성장동력산업 빅테크 플랫폼 기업체의 기술 생태계 전략 및 시사점 3도토리 민준석
2822 성장동력산업 주요산업 소재⦁부품 국산화 분석 및 향후 과제 120도토리 황세영
2821 성장동력산업 소재・부품 관련 정부지원 기술개발 사업 120도토리 황세영
2820 성장동력산업 소재・부품 강국을 위한 국내 정책 분석 120도토리 황세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