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CES 2021를 통해 본 포스트 COVID-19 시대의 혁신 트렌드 및 대응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상연 조회수 42
용량 5.7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CES 2021를 통해 본 포스트 COVID-19 시대의 혁신 트렌드 및 대응 방향.pdf 5.7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1-29 
출처 : 정책산하기관 
페이지 수 :  

[ 목 차 ]

 

 Ⅰ. 서론

 Ⅱ. 코로나19 전후의 CES

 Ⅲ. CES 2021로 본 7대 트렌드

 Ⅳ. 시사점 및 정책 제언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비대면·비접촉 기술에 대한 니즈가 급증하여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필두로 한 기술 패러다임의 전환 촉발  코로나19 이전에는 활동범위 확장과 효율적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 인공지능 등의 기술개발 촉진  사용자들이 감염병으로 인하여 생존의 위협을 느끼면서, 생산 및 소비 활동을 지원 하는 기술보다 위생과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니즈가 급증  나아가 대인 접촉을 기피하기 위한 비대면·비접촉 기술의 도입으로 코로나19 이전과 달리 원격화와 가상화를 키워드로 하는 기술 패러다임의 전환 촉발  코로나19 전후의 기술혁신 동향과 패러다임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세계 최대의 가전 전시회 중 하나인 CES 2020과 CES 2021 비교  CES 2021는 코로나19의 여파로 참가 기업이 디지털 공간에 전시 공간을 구축하고 동 시에 기조 발제 세션도 지원하여 가상 전시회의 청사진을 제공  CES 2020의 주요 기술 키워드 중 5G, 모빌리티, 로봇기술, 헬스케어는 유지되었으나 CES 2021에서 디지털전환과 스마트시티 등이 신규 선정  CES 2021는 코로나19와 기술과 사회의 공존을 위한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아젠다가 두각을 보임 ① 코로나19가 기술혁신뿐만 아니라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는 결과를 초래하여, 패러다임의 전환을 촉진 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하는 전자제품 의료기기 개발 기업의 기술개발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제도의 미비로 인해 상용화 한계  코로나19로 비대면·비접촉 기술의 도입이 시급해지면서 관련 기술·서비스 개발 중심의 기업의 성장세의 가속화와 사회적 수용성의 증가로 패러다임의 전환이 발생 ② 코로나19로 인한 홈코노미와 가상공간의 확대  비대면·비접촉 기반의 일상생활 문화가 형성되고 5G 기술의 발달로 사회가 초연결화되면서 배달, 대여, 구독서비스 등의 형태로 집안에서 상품을 소비하는 문화 형성  5G와 AR/VR의 상용화로 스포츠·전시회·공연 관람 및 가상현실 동물원 등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여가와 문화생활 콘텐츠의 확대 ③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기술 윤리 함양  인공지능 기술 등이 고도화되지만, 기술을 이롭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사람이 윤리적으로 기술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함 | 요 약 | 3  (CES 2021로 본 7대 트렌드) 디지털 전환 기조가 유지되기도 하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이슈로 새롭게 부상한 트렌드가 공존 주요 트렌드 세부 트렌드 코로나19 전후 비교 원격경제의 부상 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비접촉 트렌드에 맞춰 늘어난 원격 일상생활을 위한 그리고 위생과 안전을 위한 기술 개발 가속화  홈코노미에 따른 산업생태계 변화  (신규) 위생, 안전, 원격화, 가상화 부상 물아일체의 시작  인공지능기술과 센서 기술의 발달로 사람과 제품, 제품과 제품 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형태로 변화  인간과 사물의 상호작용이 확대되면서 전통 산업에서 인공지능이 접목된 다양한 서비스가 확대될 전망  (유지)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와 인공지능 기술 응용 확대 공간의 제약이 없는 여가  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 엔터테인먼트 이용을 위한 인포테인먼트 기술의 진화로 화면·음향 기술이 중점적으로 고도화  인포테인먼트 플랫폼 개발 추진 및 새로운 산업 생태계 형성  (유지)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 이후의 콘텐츠 개발 추진  (신규) 비대면·비접촉 트렌드로 활용처 확대 사라진 경계  기술 분야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새로운 기술의 조합 발생  파트너십 구조의 변화 및 산업 간 융합 활상화  (유지)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산업 간 경계의 붕괴 가속화 사물의 지능화  제품이 지능을 가지는 AIoT화  디지털 전환의 과도기적 제품의 AIoT화 지원을 위한 모듈형 제품 출시  (유지) IoT 지원을 위한 기술개발 가속화 함께 살아가는 사회  탄소중립을 지향하는 친환경 기술 도입 제품의 확대 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ESG(Environment, Society, Governance) 기조 강화  (유지) 친환경분야 기술 개발 추진  (신규) 기술과 기업의 윤리와 역할 관련 이슈 플랫폼 대전의 시작  플랫폼 경쟁이 SW 개발 기업 간 경쟁에서 제조기업 간 경쟁으로 확대 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가공하여 인식하는 AI 플랫폼의 중요성 부각  효율성 향상을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 경쟁 심화  사용자 편의성 증진을 위한 플랫폼 개발 및 도입 추진  (유지) SW 기업 간 경쟁 심화  (신규) 제조기업 간 플랫폼 및 서비스 경쟁  (시사점 및 정책제언) 팬데믹 위기로 인하여 첨단기술의 확산과 지속가능한 발전이 화두가 되고 있으며, 국내 기업과 산업에서도 민첩한 대응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함  2020년과 2021년 주요 기술 키워드 간 변화는 거의 없으나, 사용자를 위한 혁신의 확산으로 주요 트렌드 변화  팬데믹 위기로 감염병·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이 강조  기술 패러다임과 글로벌 산업 생태계 변화에 따른 기술경쟁력 확보와 국내 기업과 산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노력 시급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51 생명공학/바이오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평가연구 7도토리 조현상
250 생명공학/바이오 2021년도 중국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7도토리 조현상
249 생명공학/바이오 메가 FTA 대응 및 미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농업정책 방향 : 포럼 자료집 7도토리 조현상
248 생명공학/바이오 식품수급표 2019 7도토리 조현상
247 생명공학/바이오 웹스크레이핑을 활용한 농식품 온라인 소매유통 사례조사와 가능성 진단 7도토리 조현상
246 생명공학/바이오 2020년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및 농어촌 지역개발 시행계획 점검・평가 보고서 7도토리 조현상
245 생명공학/바이오 수입곡물 가치사슬 분석과 과제 7도토리 조현상
244 생명공학/바이오 농수산물도매시장 주요 쟁점과 정책적 함의 7도토리 조현상
243 생명공학/바이오 파프리카 산업의 가치사슬 분석과 과제 7도토리 조현상
242 성장동력산업 통신재난 예방대응을 위한 방송통신발전 기본법 개정 1도토리 조현상
241 성장동력산업 정보보호공시, 정보보호산업법 일부 개정안 통과 1도토리 조현상
240 성장동력산업 정보통신 지능 및 윤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도토리 조현상
239 성장동력산업 국가지식정보 연계 및 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제정 1도토리 조현상
238 성장동력산업 지능정보화기본법 시행령 개정 국무회의 의결 1도토리 조현상
237 성장동력산업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역대 5월 수출액 중 2위 달성 1도토리 조현상
236 성장동력산업 연구개발특구법 시행령 개정 국무회의 의결 1도토리 조현상
235 성장동력산업 전파응용설비 규제완화로 반도체 산업 활성화 기대 1도토리 조현상
234 성장동력산업 6세대(6G) 전략회의 개최 1도토리 조현상
233 성장동력산업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 예산 배분조정 실시 1도토리 조현상
232 성장동력산업 바이러스 기초연구를 위한 국가 거점기관 출범한다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