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기술 발전 지도 2035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49 | |
---|---|---|---|---|---|---|
용량 | 29.16MB | 필요한 K-데이터 | 7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기술 발전 지도 2035.pdf | 29.1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10-08 |
---|---|
출처 :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페이지 수 : | 300 |
[ 목 차 ]
제1장 개요
1-1. 추진배경
1-2. 수립방향
제2장 ETRI가 만드는 2035 미래상의 방향성
2-1. ETRI의 역할
2-2. χ+AI, ETRI의 미래상
2-3. χ+AI 실현을 위한 신개념형상
제3장 χ+AI로 실현되는 신개념형상
3-1. 개인의 지능화
3-2. 사회의 지능화
3-3. 산업의 지능화
3-4. 공공의 지능화
제4장 χ+AI를 위한 주요역할별 기술발전지도 2035
4-1. 복합지능
4-2. 자율지능
4-3. 고성능 컴퓨팅
4-4. 변혁적 컴퓨팅
4-5. 초연결 입체통신
4-6. 초연결 지능화
4-7. 초실감 입체공간
4-8. 초실감 상호작용
4-9. 지능화 솔루션
4-10. 신뢰인프라
◈ 2020년 대한민국 현황 ◦ 대한민국 국민소득 세계 24위와 행복지수 세계 54위의 역설 - 대한민국은 선진국 수준의 경제성장을 달성했으나, 다양한 사회 부작용을 겪고 있음 - 2019년 세계 7번째로 30-50 클럽*에 가입하여 경제 외형상 선진국 대열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 고 있음 * 30-50 클럽이란 인구 5,000만 명 이상이면서 1인당 국민소득(GNI) 3만 달러 이상인 미국, 일본, 영국, 독일, 프 랑스, 이탈리아, 대한민국(가입 순)을 의미함 * ICT 보급률 세계 1위(세계경제포럼 WEF, 2019), 반도체 매출액 세계 1위(가트너, 2019), 스마트폰 점유율 세 계 1위(가트너, 2019) - 그러나, 기존 주력산업의 성장이 정체되어 경제성장 측면에서 적신호가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 니라, 삶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에서는 불명예를 차지 ** 행복지수 54위(UN 세계 행복보고서, 2019), 20대 실업률 1위(OECD, 2019), 자살률 1위(OECD, 2018), 소득 집중도 상승률 1위(OECD, 2016) 등 ◦ 2020년 코로나-19(COVID-19)의 전 지구적 대유행 - 사회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속하는 환경변화의 예측 불가능성 상승 - 환경변화의 예측 불가능성 상승은 대한민국을 비롯한 전 지구가 처한 문제 - 역사적으로 사회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킨 여러 가지 원인 중에는 전쟁·기근·전염병 등이 있음 - 2020년 코로나-19의 대유행은 경제위기를 초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화의 부작용으로 인 한 삶의 질 저하보다 더욱 근본적인 ‘삶’ 자체의 유지에 대한 위협이 되고 있음 - 갑작스런 전염병과 같은 예측 불가능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한 과학기술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 하는 계기로 작동 ◦ 2020년 대한민국은 경제성장과 삶의 질 향상 가운데 양자택일(兩者擇一)이 아닌 양자택이(兩 者擇二)의 전략이 필요한 시점 - 출연(연)의 R&R(역할과 책무) 재정립 방향에도 과학기술 출연(연)은 기존의 기술적 역할에 더 하여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고 있음 - 팬데믹(pandemic)의 충격이 가져온 경제위기와 사회구조 변화에 동시 대응하기 위해 과학기술 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짐 1-1 추진배경 지능정보사회로 가는 길: 기술발전지도 2035 16 ┃ 미래사회를 만들어가는 국가 지능화 종합연구기관 ◈ 과학기술 출연(연) R&R 재정립 노력 ◦ 과학기술 출연(연) 역할의 한계 - 과거 경제성장이 그 어떤 국가적 과제보다 우위에 있던 시절, 출연(연)에게 주어진 임무는 국가 경제성장을 위한 과학기술 혁신성과 창출 - 공공연구기관으로 국가 성장을 위한 혁신성과 창출의 핵심역할 담당 - 국가 R&D 전체 성과에서 출연(연)의 비중이 매우 높음 - 우리나라는 빠른 시간에 산업화를 이루고 고도의 경제성장에 성공하며 학계와 산업계의 연구개 발 경쟁력이 향상됨 - 반면 출연(연)은 연구성과 감소와 R&D 효율성 저하라는 비판에 직면하였고, 저출산·고령화 사 회, 저성장 경제 등 다양한 문제에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 2000년대 들어서 출연(연) 역할 변화의 시도가 시작되었지만, 여전히 출연(연)의 성과에 대한 비 판과 역할에 대한 논의가 반복되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