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22년 대선 이후, 한국 금융 시장은 어디로 가는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52
용량 2.2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22년 대선 이후, 한국 금융 시장은 어디로 가는가.pdf 2.2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2-28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45 

[ 목 차 ]

 

1. 한국 경제에게 대선은 무엇인가

 

2. 산업 정책의 답은 이미 정해져 있어

 

3. 상반된 재정정책, 속도가 관건

 

4. 부동산 공급확대는 만만치 않다

 

5. MSCI 선진국 편입 시 영향

 


 

한국 20대 대선이 1주일 앞으로 다가왔음. 선거 후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은 어떤 길을 걷게 될 것인가 를 일자리/성장 정책, 재정, 부동산, MSCI 선진국 편입 이슈 등 네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함.  한국 경제에서 대선은 변곡점 역할을 하지는 못함. 공약과 정책은 차이가 뚜렷했음. 정당과 후보 간 차 이에도 시대흐름을 벗어나지 못함. 각 후보들의 공약에도, 한국 경제 성장률은 추세적으로 하락함. 주 가는 대선 전 3개월 동안 부진하다, 6~12개월 이후 점차 개선되는 경향이 있었음.  궁극적으로 특정 후보와 공약보다 당시 시대정신 또는 메가트랜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 지금 시대 정신은 디지털화, 탈탄소, 사회 경제적 격차 확대, 인플레 등으로 볼 수 있음.  일자리와 성장 정책은 디지털/탈탄소 중심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음. 여당 후보가 공정과 규제를, 야당 후보가 기업 자율을 강조하는 차이가 있지만, 방향은 다르지 않음. 대기업보다 벤처기업들의 고용 시장 에서 미치는 영향력이 확대됨. 특히 벤처 자본조달과 고용 간 관련성이 높음. 벤처/스타트업 활성화가 성장 정책의 열쇠가 될 수밖에 없음. 중소기업/벤처 IPO 활성화 정책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  여당과 야당 후보간 가장 간극이 큰 것은 재정임. 여당은 기본소득을 비롯 확장적 재정정책을 우선시한 반면, 야당 후보는 보수적임. 한국 재정 상황은 유사한 신용등급의 국가들에 비해 여유가 있음. 그러나 민간과 정부부채가 함께 늘어나고 있어, 정부부채가 민간의 안전판이 되지 못하고 있음. 코로나19 직 전부터 성장 속도에 비해 국채 발행 규모가 확대되고 있음. 금리 변동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 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것은 부동산 정책임. 모든 후보들이 공급확대와 규제완화 공약을 남발함. 과 거 선거 이벤트 이후 지가와 재건축 가격이 올랐음. 이번에도 유사할 수 있음. 그러나 중대재해법 등 규 제와 자재가 상승, 공급확대까지의 시차를 감안할 때 공급 확대는 기대에 못 미칠 전망. 주택 가격은 약 세 우위가 예상되나, 지역간 차별화와 매매보다 전월세 강세 현상이 예상됨.  주식시장 입장에서 여당 후보가 언급한 MSCI 선진국 편입 이슈는 단기간 KOSPI 지수에 미치는 영향 제한적으로 판단. 실현되더라도 실제 적용까지 2년 이상 시간이 걸리고, 과거 선진국 지수 편입 사례의 주가 영향도 불분명. 선진국 편입에 따른 자금 유출입은 패시브 자금을 중심으로 자금 유출 우위 가능.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64 성장동력산업 2022년 거시경제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63 성장동력산업 2022년 13대 주력산업 전망 1도토리 오민아
2862 성장동력산업 韓 디스플레이 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정책 방안 1도토리 정한솔
2861 성장동력산업 원료의약품 공급망 이슈 및 대응 과제 1도토리 정한솔
2860 성장동력산업 산업과 기업체의 부실 징후 변화 및 시사점 1도토리 정한솔
2859 성장동력산업 한국의 GVC 참여구조와 COVID19 이후 수출회복 영향 분석 7도토리 최민기
2858 성장동력산업 뉴노멀(New Normal) 시대의 서비스산업 정책 과업 : COVID-19와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가속 7도토리 최민기
2857 성장동력산업 리사이클·친환경 섬유패션산업 발전 전략 7도토리 정한솔
2856 성장동력산업 COVID-19에 따른 제조업 고용 변화 분석 7도토리 정한솔
2855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분야 생산지수의 당기예측에 대한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4 성장동력산업 디자인산업 통계조사 동향 및 개선 방안 연구 7도토리 정한솔
2853 성장동력산업 산업구조 변화에 의한 일자리 특성 변화와 인력재배치 방향 7도토리 이지훈
2852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 21년 3분기 현황 및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51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제조업 경기실사지수(BSI)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50 성장동력산업 중국 진출 韓 기업체 경기 조사 - 2021년 3분기 현황과 4분기 전망 7도토리 이지훈
2849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형(K)-순환경제 이행계획 수립 3도토리 김민성
28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콘텐츠/OTT 업체, 줄을 서시오⇒수급전쟁, 드라마 콘텐츠 가치 금값 3도토리 김민성
2847 성장동력산업 7대 미래화장품 혁신기술 트렌드 1도토리 김민성
28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채널과 MD정비로 리오프닝 준비 3도토리 김민성
2845 성장동력산업 24조원 보건의료 분야 해외조달시장 진출 지원 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