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 中 문화산업 장르별 규제정책 리스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황세영 조회수 82
용량 7.56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 中 문화산업 장르별 규제정책 리스트.pdf 7.5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03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166 

현행 중국의 법률체계는 사회주의 법계통에 속하고, 일반적으로 헌법분야, 경제법분야, 민상법분 야, 형법분야, 절차법분야로 분류하고 있으며, 법률은 중화인민공화국 헌법을 기초로 하는 각종 성문법들로 구성되어 있다. 즉 1.헌법, 2.법률(기본 법률과 기타 법률), 3.행정법규, 4.지방법규, 행 정규정, 자치구 규정 및 조례(단행조례), 경제특구의 규범성문건(規範性文件) 및 규장(規章), 5.특별 행정구의 법규, 6.국제조약ㆍ국제관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의 법률 체계 1. 헌법(憲法) 중국 최고의 법으로서 그 지위와 효력을 가진다. 중국헌법은 최고권력 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에서 제정ㆍ개정되며, 헌법의 개정은 엄격한 절차를 거친다. 헌법 개정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 위원회 또는 1/5 이상의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가 제안하고, 전국인민대표대회 전체 대표의 2/3 이상의 다수 결의로 통과된다. 또한 전국인민대표대회가 헌법의 준수를 감독하고 전국인민대표대 회 상무위원회(常務委員會)가 헌법을 해석ㆍ감독한다.(중국헌법 제64조 제1항) 2. 법률(法律) 법률의 지위와 효력은 헌법보다 낮고 행정법규, 지방법규 등 다른 법규보다 높다. 법률은 제정기 관에 따라 기본 법률과 기타 법률로 나뉜다. 기본 법률은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제정하고 개정한 형사ㆍ민사ㆍ국가기관 등 규범성 문건을 말한다.(중국입법법 제7조) 예컨대, , , , , 등이 여기에 속한다. 기타 법률은 전국인민대표대 2 2021년 중국 문화산업 장르별 규제정책 리스트 회 상무위원회가 제정·개정한 규범성 문건을 말하는데, 예컨대 , 등이 이 에 속한다. 전국인민대표대회 폐회기간에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제정한 법률에 대해 그 법률의 기본원칙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분을 보완ㆍ개정할 수 있다.(중국입법법 제7조) 또한 전국인민대표대회 및 그 상무위원회에서 공포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결의(決議), 결정(決定), 규정(規定), 방법(辦法) 등도 법률 유형에 속한다. 따라서 중국법을 해석할 때에 비록 법이라는 명 칭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전국인민대표대회 또는 그 상무위원회가 제정ㆍ개정한 결의(決議), 결정 (決定), 규정(規定), 방법(辦法) 등도 법률과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는 점을 주의하여야 한다. 다만 효력 측면에서는 기본적으로 과 동등하지만, 에 비해 체계성이나 규범성이 낮다 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구체적인 처벌 조항이 없고 구체적인 효력은 이를 기초하여 제정된 행정법규⦁규장에서 나타난다. 일례로 은 이 을 기초로 제정된 부문규장인 에 구체적인 조항들이 들어있다. 3. 행정법규(行政法规) 행정법규는 중국의 최고 행정기관인 국무원(國務院)이 헌법과 법률에 기반하여 '행정법규 제정 절 차조례'에 따라 제정한 법규성문건(法規性文件)을 말한다1). 공포 시 국무원 총리의 명의로 공포된 다. 행정법규의 법적 지위와 효력은 헌법과 법률 다음이고 부문규장이나 지방법규보다 상위이다. 국 무원에서 공포한 조례(條例), 규정(規定), 방법(辦法), 결정(決定)과 명령(命令) 등이 규범성 문건일 경우 모두 행정법규 부류에 속하며, 국무원에서 제정한 행정법규는 헌법과 법률에 위배되어서는 안 되고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는 국무원에서 제정한 헌법과 법률에 위배되는 행정법규, 결정, 명령 등을 폐지할 수 있다. 4. 지방성법규(地方性法規) 지방성법규는 지방권력기관에서 그 행정구역내의 구체적 상황과 요구에 따라 헌법, 법률, 행정법 규에 근거하여 제정한 법률을 말하며, 그 법적 효력은 당해 행정구역 내에서만 유효하다2). 중국 과 및 에 따라 민족자치구역의 자치기 관은 자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민족자치구역 인민대표대회는 그 지역 민족의 정치ㆍ경제와 문 화의 특징에 따라 자치구조례(自治區條例)와 단행조례(單行條例)를 제정할 수 있다3). 그리고 민족 자치구역의 자치구조례와 단행조례는 그 민족자치구역 내에서만 유효하다. 중국의 경제특구의 수권법규(授權法規)는 전국인민대표대회 및 상무위원회에서 그 권한을 위임하 여 소속 경제특구의 단행법규와 규장을 제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4). 그 법률적 효력은 해당 경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700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미래자동차 시장동향 및 정책분석 120도토리 조현상
2699 성장동력산업 방송분야 미국진출 비즈니스전략 보고서 (미국 진출을 위한 준비) 1도토리 황세영
» 성장동력산업 2021 中 문화산업 장르별 규제정책 리스트 7도토리 황세영
2697 성장동력산업 2021 中 이스포츠 산업 발전 보고서 7도토리 황세영
2696 성장동력산업 주요 국가별 디스플레이 시장 및 정책분석 120도토리 조현상
2695 성장동력산업 실무자가 알야아 할 OLED 소재에 관한 지식 & 국내외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부품·장비 분야 시장 분석 11도토리 조현상
269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디스플레이 특허 동향 120도토리 조현상
2693 성장동력산업 웨강아오 대만구 문화산업 전망 분석 7도토리 황세영
269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디스플레이 주요 기술분석 120도토리 조현상
269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디스플레이 장비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조현상
2690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2021년 디스플레이 시장분석과 2022년 시장전망 120도토리 조현상
2689 성장동력산업 2021 싱가포르 콘텐츠 산업 분석 연구 7도토리 황세영
268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스마트제조/스마트팩토리 분야별 특허통향 120도토리 이지훈
2687 성장동력산업 2021 필리핀 콘텐츠 산업 분석 연구 7도토리 황세영
2686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스마트제조스마트팩토리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이지훈
2685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스마트제조스마트팩토리 분야별 시장 분석 120도토리 이지훈
2684 성장동력산업 ‘국내 기업 스마트공장 제조데이터 활용 실태 및 분석 수요 조사’ 결과 보고서 120도토리 이지훈
2683 생명공학/바이오 국내외 바이오헬스 산업 및 시장분석 120도토리 이지훈
2682 생명공학/바이오 국내외 바이오 의약품 관련 핵심 소재/부품/장비 특허 동향 120도토리 이지훈
2681 생명공학/바이오 국내외 바이오 의약 관련 핵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