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에너지 전환에 대응한 해외 자원개발 업체들의 전략과 주요국의 추진성과 및 과제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이지훈 | 조회수 | 38 | |
---|---|---|---|---|---|---|
용량 | 3.95MB | 필요한 K-데이터 | 120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에너지 전환에 대응한 해외 자원개발 업체들의 전략과 주요국의 추진성과 및 과제.pdf | 3.95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02-26 |
---|---|
출처 : | 산업경제리서치 - 2021년 국내외 차세대 자동차 기술 및 시장분석과 비즈니스 전략 |
페이지 수 : | 127 |
에너지 전환에 대응한 해외 자원개발 업체들의 전략과 주요국의 추진성과 및 과제
1. 에너지 전환정책의 도입 배경
1) 에너지시스템의 개요
2) 에너지 전환의 정의
3) 에너지 전환정책의 정의와 내역
4) 주요국의 에너지 전환정책 내역
5) 에너지 전환정책 추진 및 도입 배경
(1) 국제협약 체결 및 청정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치적 공약
(2) 지역 경제공동체(EU)의 결정
2. 에너지전환에 대응한 국제 자원개발 기업의 전략 분석
1) 세계 석유개발 동향
(1) 셰일혁명과 석유공급 구조의 변화
(2) 석유의 발견과 매장량의 변화
2) 국제 석유개발 기업의 투자 동향
3) 에너지 전환 개념 및 정책
(1) 에너지 전환 개념
(2) 에너지 전환 정책
4) 에너지 전환과 석유수요
(1) IEA의 석유수요 전망
(2) 주요 메이저 기업의 석유수요 전망
(3) 석유수요 피크
(4) 미래 석유수요 결정 요인
3. 에너지 전환에 대응한 석유 생산자의 전략
1) 수요피크의 석유시장 영향
(1) 석유수요 피크의 시사점
(2) ‘풍부한 석유’ 시대의 지정학적 영향
2) 석유생산자의 원유생산 전략
(1) 호텔링의 법칙
(2) 석유수요 피크와 생산자 전략 변화
가. 가격 전쟁 전략
나. 생산량 합의 전략
다. 다각화 전략
라. 효율화 전략
3) 석유생산자의 다각화 전략
(1) 산유국의 미래 전략
가. 사우디아라비아
나. 카타르
다. 쿠웨이트
라. 아랍에미리트
마. 러시아
(2) 주요 석유 메이저의 다각화 전략
가. Shell
나. TOTAL
다. BP
라. ExxonMobil
마. Chevron
바. 주요 특징
4) 정책적 시사점
(1) 자원개발 정책방향 전환
(2)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역할 재정립
4. 주요 국가별 에너지 전환정책 분석
1) 영국
(1) 에너지 전환정책 추진 배경 및 제도적 기반 구축
(2) 청정 성장전략 추진 배경 및 구상
(3) 에너지 전환정책 목표
가. 脫석탄 목표
나. 에너지효율 개선 촉진
다.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목표
라. 셰일자원 개발 촉진
마. 원자력・가스의 역할 유지
(4) 청정성장 전략 목표
2) 독일
(1) 에너지 전환정책 구상
(2) 에너지 전환정책 추진과 변화 과정
(3) 독일의 원전 도입·이용과 脫원전 추진
가. 원전 도입 및 확대기(1960년대~1986년)
나. 탈원전 기조 형성 및 결정(1986~2010년)
다. 2010년 원전 수명 연장 결정
라. 원전의 전면 폐기 결정
(4) 석탄의존도 감축 및 脫석탄 추진
가. 화력발전소 폐쇄 추진
나. 독일 화력발전소 폐쇄결정에 대한 EU집행위원회 결정
(5) 독일의 에너지 전환정책 목표
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나. 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목표
다. 에너지수요 감축 목표
(6) 메르켈 4기 연립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
(7) 脫석탄 일정 확정
(8) 독일 에너지 전환정책의 당면과제
3) 프랑스
(1) 에너지 전환정책 추진 배경 및 과정
(2) 장기 에너지계획 수립 및 이행
(3) 에너지 전환정책 목표 및 정책 수단
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나. 화석에너지 의존도 및 에너지수요 감축 목표
다. 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목표
라. 프랑스 원전 전원 비중 조정 목표
(4) 에너지 및 기후변화 정책 당면과제
4) 일본
(1) 에너지 및 기후변화 정책 환경 인식
(2) 에너지정책 기조 및 방향
(3) 5차 에너지기본계획의 핵심 정책 방향
가. 재생에너지 역할 강화
나. 원전 이용의 지속성 유지
다. 발전 부문 석탄의존도 감축
라. 천연가스 역할 확대
마. 최종에너지 소비구조 개편
바. ‘수소사회’ 실현
(4) 에너지 및 기후변화 정책 목표
가. 에너지자급도 제고 및 에너지원별 분담률 조정 목표
나. 전원믹스 개편 목표
(5) 에너지 및 기후변화 정책의 당면 과제
5. 주요 국가별 에너지 전환정책 추진 성과
1) 전환정책 추진성과 개요
2) 에너지수요 감소추세 시현
3) 주요 에너지 전환정책 선도국의 에너지원단위 변화
4) 에너지 및 경제(GDP) 비동조화(Decoupling) 심화
5) 에너지 전환정책의 에너지믹스 및 전원믹스 변화 영향
(1) OECD
(2) 독일
(3) 영국
(4) 프랑스
(5) 일본
6) 최종에너지 소비의 전력화 심화
6. 시사점 및 정책 제언
1) 주요국 에너지 전환정책 추진 의미
(1) 에너지 전환정책 의미의 재점검
(2) 에너지전환 선도국가의 에너지시스템 발전 방향
(3) 에너지 전환정책의 사회적 합의의 중요성
(4) 전환정책 목표의 구체성 및 체계성
(5) 에너지 전환정책의 법제도 구축 필요성
(6) 전환정책 추진성과 점검 및 환류시스템의 중요성
(7) 에너지 전환정책 속도 조정 가능성
2) 정책제안
(1) 에너지시스템의 청정화 촉진 필요
(2) 에너지 전환정책 목표의 명료성 및 체계성 제고
(3) 에너지정보시스템 구축・운영 필요
(4) 전환정책 목표 조정 시스템 구축·운영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