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도네시아 디지털·콘텐츠산업 정책 및 규제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10
용량 1.17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인도네시아 디지털·콘텐츠산업 정책 및 규제 현황.pdf 1.1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03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도네시아 비즈니스센터 
페이지 수 : 14 

개요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최대 인구 보유국이자, 세계 최대의 도서(島嶼) 국가로 자원의 효과적인 배분에 어려움을 겪어왔으나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다양한 창조 산업이 성장하면서 사회 각 분야 혁신을 경험하고 있음. 대규모 내수 시장으로 인해 일찍부터 국내외 자본이 인터넷 산업에 주목하였으며, 그 결과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5개 유니콘 기업을 배출하면서 업체별 수직적 확장을 통해 인터넷 산업 생태계가 성장하고 있음. 조코 위도도(Joko Widodo) 정부는 디지털 및 콘텐츠 산업의 성장을 유도함으로써 자원 분배 효율화 및 고부가가치 산업 구조 이행을 적극 추진 중. 집권 1기인 2015년부터 방대한 콘텐츠 산업 기반과 미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여 총 16개 창조 산업 분야를 총괄하는 장관급 창조경제위원회(BEKRAF)1)를 설립하고 산업 생태계 육성과 지원에 나섬. 아직 초기 성장 단계인 콘텐츠 산업은 관광창조산업부(KEMENPAREKRAF)가 담당하며, 방송 및 인터넷 산업은 정보통신부(KEMKOMINFO)가 관리 감독하고 있음. 거대 도서 국가인 인도네시아에서는 TV가 전국에 동일한 콘텐츠를 안방까지 전달할 수 있는 유일한 매체여서, 시청자들의 신뢰도 및 의존도가 압도적으로 높음. 정부는 2002년 방송법에 근거해 설립된 방송위원회(KPI, Komisi Penyiaran Indonesia) 의 콘텐츠 내용 규제(P3SPS)에 따라 방송 및 라디오 콘텐츠를 다소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음. 정보통신부는 게임 등급제, 인터넷 콘텐츠 사업자 등록 법령 및 규제를 정비해 등급 부여 및 자율 등록을 추진하고 있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콘텐츠 산업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 하지만 인터넷 및 콘텐츠 사업에 대한 관리 감독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으며 P2P 대출, 블록체인 등 금융 서비스와 관련해서는 금융감독원(OJK, Otoritas Jasa Keuangan)이 비교적 빠르게 제도를 정비, 적용하고 있음. 인도네시아 콘텐츠 사업과 관련한 제도 변경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이 필요함. 1) 2015년 창조경제위원회(BEKRAF)로 출범하여 2019년 기존 관광산업부와 관광창조산업부(KEMENPAREKRAF, Kementerian Pariwisata dan Ekonomi Kreatif)로 통합. 인도네시아 콘텐츠 산업동향 (2021년 03호) 1 인도네시아 디지털 산업 관련 국가 개발 정책 1. 인도네시아 경제 개발 정책 개요 인도네시아 국가개발계획부(BAPPENAS, Kementerian PPN)는 장기국가개발계획(RPJPN) 2)을 바탕으로 5 개년 중기국가개발계획(RPJMN)3)을 발표하고 있음. 정부는 목표 달성을 위하여 매년 예산 계획과 세부 이행 프로그램을 담은 연간이행계획(RKP, Rencana Kerja Pemerintah)을 발표하면서 국가 예산(APBN, Anggaran Pendapatan dan Belanja Negara)을 수립하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680 성장동력산업 베트남과 해외 방송 프로그램 협력 제작 현황 3도토리 황세영
2679 생명공학/바이오 국내외 바이오 산업과 바이오 의약품 관련 핵심 소재부품장비시스템 시장분석 120도토리 이지훈
2678 생명공학/바이오 2022년 제약바이오 시장 전망 120도토리 이지훈
2677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패션 산업 동향 3도토리 노민우
2676 성장동력산업 2021년 미국 오디오 콘텐츠 시장 현황 1도토리 노민우
2675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인플루언서 마케팅 산업 현황 분석 3도토리 노민우
2674 성장동력산업 시스템 반도체 및 차세대 반도체 관련 연구개발 과제 120도토리 이지훈
2673 성장동력산업 시스템 반도체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이지훈
2672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이지훈
267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시스템 반도체 핵심 분야 시장 분석 120도토리 이지훈
2670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시장분석 120도토리 이지훈
266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반도체 및 시스템 반도체 산업 시장전망 120도토리 이지훈
266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반도체 및 시스템 반도체 산업 시장전망 120도토리 이지훈
2667 성장동력산업 전기자동차 정부지원 연구개발 과제 120도토리 이지훈
2666 성장동력산업 연료전지 및 수소자동차 연구개발 과제 120도토리 이지훈
2665 성장동력산업 연료전지 및 수소자동차 관련 특허동향 120도토리 이지훈
2664 성장동력산업 에너지 전환에 대응한 해외 자원개발 업체들의 전략과 주요국의 추진성과 및 과제 120도토리 이지훈
2663 성장동력산업 수소차 관련 핵심사업 및 부품⋅소재 시장분석 120도토리 이지훈
2662 성장동력산업 수소경제로의 대전환과 수소산업의 시장분석 120도토리 이지훈
2661 성장동력산업 수소 경제 핵심분야 분석 120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