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 인도네시아 ott 시장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45
용량 1.2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 인도네시아 ott 시장 동향.pdf 1.2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03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도네시아 비즈니스센터 
페이지 수 : 19 

개요 인도네시아는 광대역 인터넷 및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이 낮은 편이나, 최근 모바일 인터넷 속도 개선과 데이터 이용료 하락에 힘입어 온라인 비디오 콘텐츠 이용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서비스 가입자가 1,000만 명에 이름. TV 보급률은 75%이며 도시의 경우 95%임. 반면 유료 TV 가입 가구 비율은 10%에 그침. 도서 지역이 많은 인도네시아 지리적 특성상 유선 인터넷과 케이블 보급에 한계가 있음. 지난해 코로나19 이후로 OTT 서비스 이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2024년까지 연 평균 18.81%씩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함. OTT 서비스 시장의 성장은 SVOD(Subscription On Demand, 가입형 스트리밍 비디오 주문 서비스) 업체가 견인하고 있으며 글로벌 플랫폼인 디즈니+ 핫스터 (Disney+ Hoster), 넷플릭스(Netflix), 위티비(WeTV), 아이치이(iQIYI), 뷰(Viu), 인도네시아 토종 서비스인 비디오(Vidio), 고플레이(GoPlay) 등이 경쟁 중. OTT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지자 셋톱박스(STB)가 필요한 IPTV도 모바일로 접속 가능한 OTT 서비스를 출시함. IPTV 기반이어서 실시간 TV 채널을 시청할 수 있는 특징이 있음. 플랫폼 간 경쟁이 격화하며 독점 콘텐츠 필요성이 커지자 자체 IP를 활용한 콘텐츠를 제작 하거나, 한국 드라마 제작사나 현지 제작사와 협업해 다양한 독점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음. 2 인도네시아 콘텐츠 산업동향 (2021년 05호) 1 인도네시아 OTT 시장 개요 1. 인프라 시장 규모 한국인터넷진흥원이 발간한 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인터넷 사용자 비율은 39.8%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함. 특히 광대역 인터넷 및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률은 각각 인구 100 명당 3.3 명과 1.5 명에 불과하나, 모바일 전화와 모바일 광대역 보급률은 높은 편. 도서 지역이 많은 인도네시아의 지리적 특성상 유선 인터넷 보급이 어렵지만, 지난 10 년간 생활 필수품처럼 스마트폰 보급이 확대되고, 저렴하고 다양한 모바일 데이터 요금제가 출시돼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인터넷 접속이 활발해지고 있음. 항목 인도네시아 한국 가입자 수 (100 명 당) 글로벌 순위 가입자 수 (100 명 당) 글로벌 순위 모바일 전화 119.8 명 64 위 129.7 명 44 위 모바일 광대역 87.2 명 52 위 113.6 명 21 위 광대역 인터넷 3.3 명 97 위 41.6 명 6 위 초고속 인터넷 1.5 명 63 위 31.9 명 1 위 인터넷 사용자 비율 39.8% (104 위) 95.5% (9 위) |표 1| 인도네시아 ICT 관련 주요 통계 (2019년 말 기준)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2019) 한국인터넷진흥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8 년 인도네시아 전역의 TV 보급률은 75%였으며, 도시는 95%로 도시 거주자 대부분이 TV 를 보유. 반면 유료 TV 가입률은 10% 내외에 불과해, 케이블/IPTV 가입자 340 만 명, 위성 TV 가입자 300 만 명, 지상파 유료 가입자 13 만 명에 그침. 2019 년 기준으로 29%의 소비자가 불법 TV 셋톱박스를 사용하여 비디오 콘텐츠를 시청 중인 것으로 조사됨. 불법 콘텐츠를 근절하지 않는 이상 유료 TV 시장 성장에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음. 반면, 온라인 비디오 서비스 가입 인구는 인터넷 속도 개선, 데이터 이용료 하락 등의 요인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2018 년 기준 서비스 가입자가 약 1,000 만 명으로 추산됨. 현지의 OTT 플랫폼과 디즈니+, 뷰 등 주요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은 수백만 명의 유료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19 성장동력산업 기술 발전 지도 2035 7도토리 이지훈
281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자동차 소재⋅부품⋅시스템 산업 및 시장분석과 비즈니스 전략 120도토리 황세영
2817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자동차 소재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황세영
2816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가동율 하락원인과 스마트공장 개념 120도토리 김민성
2815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공장의 국내외 시장 현황 및 기술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2814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공장에 대한 국내 정부 정책 120도토리 김민성
2813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공장 분야별 시장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2812 성장동력산업 스마트 제조 혁신전략 및 R&D 기술 로드맵 120도토리 김민성
2811 성장동력산업 독일 인더스트리 4.0 정책 발전 추이 120도토리 김민성
2810 성장동력산업 한국⋅중국⋅일본,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120도토리 김민성
2809 성장동력산업 스마트시티에 대한 국내 정부의 정책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280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스마트시티 전략품목 시장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2807 성장동력산업 대만 ITRI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황세영
2806 성장동력산업 지능형을 뛰어 넘어 자율형으로 진화하는 사물인터넷(IoT) 3도토리 황세영
2805 성장동력산업 5G 장비 기업체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7도토리 황세영
280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스마트시티 시장분석과 2030 건설산업의 미래 진단 120도토리 김민성
280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2802 성장동력산업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 평가와 정책적 제언 120도토리 김민성
280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스마트시티 시장동향 및 정책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2800 성장동력산업 주요 국가별 빅테이터 산업동향 및 정책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