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수소경제로의 대전환과 수소산업의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6
용량 144KB 필요한 K-데이터 120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수소경제로의 대전환과 수소산업의 시장분석.pdf 14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3-24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115 

수소경제로의 대전환과 수소산업의 시장분석

1. 수소 에너지로의 대전환

1) 색깔별 수소의 생산 방식

2) 수소의 다양한 생산 방식 SMR 공정이 현재 최선의 대안

3) Green 수소 생산은 언제?

(1) Green 수소의 생산방식 수전해(Water Eectrolysis)란 무엇인가?

(2) Green 수소의 시장구조 및 국내와 업체 개발동향

(3) Green 수소의 경제성 분석

4) 수소의 유통, 물량과 거리에 따라 상이

5) 수소의 활용, 발전용 연료전지가 중심

(1) 각국의 수소생태계 육성 방향

(2) 한국의 수소경제, 법제화

(3) 수소연료전지=발전기

(4) 수소연료전지차, 상용차 중심의 발전 전망

(5) 수소연료전지차 Value Chain, 글로벌 독과점 기회

2. 수소경제로의 출발

1) 탄화수소경제애서 수소경제로

2) 더욱 강화되는 환경규제

3) 녹색 수소, 재생에너지와 강력한 시너지

4) 신재생에너지 P2G 연계사업

(1) 독일 사례

(2) 일본 사례

5) 국내 수소경제로드맵, 에너지3020 계획과 맥을 같이함

6) 향후 수소 가격 $3/kg 수준이 글로벌 목표

7) 미드스트림, 일본은 해외 생산과 연결된 대규모 시험 진행 중

8) 수소 운송 방식

(1) 기체운송 및 액체운송

(2) 중장기 수소 저장에 있어 액체 수소 중요성 높아질 것

9) 일본 수소 운송 프로젝트

(1) HySTAR 프로젝트: 갈탄에서 생산한 수소를 액화하여 수입

(2) SPERA 프로젝트: 액상 유기 화학물질인 MCH 구현

(3) 호주로부터 수소의 액상(암모니아) 방식 운송 프로젝트 진행

10) 재생에너지와 수소 기반 섹터커플링으로 에너지 효율 극대화 가능

(1) P2G를 넘어 P2X로 활용되는 수소

(2) 수소와 재생에너지 잉여전력 활용한 섹터 커플링 개념 도입으로 에너지 효율성 높아질 것

(3) 재생에너지의 빠른 성장 및 기술 발전, 수소경제 발전으로 이어질 것

11) 수소수요, 연료전지 활용처 중심 고성장 전망

(1) 수소 수요 고성장 전망. 연료전지 활용처인 운송용과 전력이 성장을 이끌 것

(2) 국내 시장 초기는 발전용 연료전지가 대부분. 2022년 이후 수송용 성장 전망

(3) 연료전지 시장 PEMFC가 비중 압도적, SOFCPAFC는 유사한 수준

(4) 향후 PEMFC SOFC 연료전지 수요 급증 전망, 기술 확보 경쟁 격화 전망

3. 국내외 철강업체들의 수소 관련 사업 분석

1) 국내 철강업체 사업 현황

2) 해외 철강업체들 사업 현황

4. 에너지저장의 미래, 그리고 스마트시티

1) 에너지저장 활용에 강점을 지닌 완성차 업체들의 사업 영역 확장

2) 국내에서도 연료전지는 스마트시티 핵심 인프라로 자리잡을 것

5. 자동차 관점의 수소 용용 분석

1) 수소의 용용분야, 자동차/운수 산업

2) 자동차 산업의 수소 활용 경쟁력 분석

3) 주요국 수소연료전지차 관련 정책

4) 수소 산업에서의 도요타 vs. 현대차 : FCEV에서 에너지 사업, 스마트시티까지

6.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분석

1) 수소 모빌리티 : 수소차 620만대 생산 및 수소충전소 1,200개소 구축

2) 에너지 분야 : 연료전지 발전용 15GW, 가정·건물용 2.1GW 보급

3) 수소 생산 : 그린수소 확대로 공급량 526만톤/, 가격 3,000/kg 달성

4) 저장운송 : 안정적이고 경제성 있는 수소유통체계 확립

5) 전주기 안전관리 체계 확립 및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7. 수소경제 표준화 로드맵분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819 성장동력산업 기술 발전 지도 2035 7도토리 이지훈
281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자동차 소재⋅부품⋅시스템 산업 및 시장분석과 비즈니스 전략 120도토리 황세영
2817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자동차 소재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황세영
2816 성장동력산업 제조업 가동율 하락원인과 스마트공장 개념 120도토리 김민성
2815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공장의 국내외 시장 현황 및 기술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2814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공장에 대한 국내 정부 정책 120도토리 김민성
2813 성장동력산업 스마트공장 분야별 시장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2812 성장동력산업 스마트 제조 혁신전략 및 R&D 기술 로드맵 120도토리 김민성
2811 성장동력산업 독일 인더스트리 4.0 정책 발전 추이 120도토리 김민성
2810 성장동력산업 한국⋅중국⋅일본, 스마트시티 해외진출 전략 120도토리 김민성
2809 성장동력산업 스마트시티에 대한 국내 정부의 정책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280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스마트시티 전략품목 시장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2807 성장동력산업 대만 ITRI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황세영
2806 성장동력산업 지능형을 뛰어 넘어 자율형으로 진화하는 사물인터넷(IoT) 3도토리 황세영
2805 성장동력산업 5G 장비 기업체의 효율성과 생산성 분석 7도토리 황세영
280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스마트시티 시장분석과 2030 건설산업의 미래 진단 120도토리 김민성
280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동향 120도토리 김민성
2802 성장동력산업 국내 스마트시티 사업 평가와 정책적 제언 120도토리 김민성
2801 성장동력산업 국가별 스마트시티 시장동향 및 정책분석 120도토리 김민성
2800 성장동력산업 주요 국가별 빅테이터 산업동향 및 정책 분석 120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