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 필리핀 게임 산업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03
용량 2.45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 필리핀 게임 산업 현황.pdf 2.4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26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도네시아 비즈니스센터 
페이지 수 : 14 

중되어 있음. 캐주얼 게임의 영향으로 게임 인구가 많이 늘어났으며, 모바일 게임이 대표적인 여가 활동으로 자리 잡는 중. 도시의 경우 여성 스마트폰 보유자 중 72%가 게임을 이용하고 있음. 게임 시장은 인터넷 인프라의 발전과 함께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나, 필리핀 국내 개발 스튜디오의 발전은 많이 더딘 편. 또한 국산 게임은 광고 시청 기반의 캐주얼 게임과 스탠드 얼론 게임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음. 필리핀은 BPO 산업에서 국제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과 게임·어플리케이션 아웃 소싱을 통해 역량을 축적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호응을 얻는 스마트폰 게임들을 조금씩 배출하고 있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 콘텐츠 소비가 크게 늘어난 가운데 e스포츠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대기업들이 일찍이 e스포츠 선수단 창단, 정규 토너먼트 운영 등을 후원하면서 시장 확대에 힘을 싣고 있음. 또 다양한 장르의 중국 게임이 활발하게 진출해, 필리핀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7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음. 다른 인터넷 서비스 분야에서도 중국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들은 다양한 협업으로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만들어 시장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음. 2 필리핀 콘텐츠 산업동향 (2021년 04호) 1 필리핀 게임 산업 시장 현황 1. 필리핀 게임 시장 개요 Ÿ 필리핀의 게임 시장은 모바일 매출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음. 올해 게임 시장 규모는 5억 4,600만 달러(6,087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임. 1가구당 1PC 환경이 안되는 인터넷 사용 환경, 그리고 스마트폰 중심의 모바일 퍼스트1) 강화로 인해, 2012년을 전후하여 모바일 게임 시장의 매출이 PC 게임 매출을 추월함. 팬데믹으로 인해 온라인 활동이 많아지고 인터넷 인프라가 개선되면서 전체 게임 시장이 크게 성장했으며, 2024년까지 8억 200만 달러(8,942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모바일 게임 81 120 159 200 216 242 263 280 298 313 PC 게임 46 59 66 76 84 96 114 137 169 217 콘솔 게임 91 115 121 129 139 150 168 189 220 272 합계 219 294 346 405 439 488 546 606 687 802 [표 1] 필리핀 게임 시장 규모 및 전망 2015~2024∣출처: PwC Global entertainment & media outlook 2020~2024 Ÿ 필리핀의 스마트폰 시장에서 아이폰(iOS)의 점유율2)은 11.68%에 불과해, 구글 안드로이드 OS의 게임 매출 비중이 매우 높은 편. 인터넷 이용자 중 74%가 모바일 게임을 즐기고 있으며, 도시 거주자의 경우 남성 75%, 여성 72%가 모바일 게임을 하고 있어, 여성 게임 유저가 이미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Ÿ 현지 게임 개발 스튜디오는 아직 대규모 자본 투입이 어려워, 캐주얼 게임 및 스탠드 얼론(StnadAlone, 특정 게임 내에서 부차적인 콘텐츠로 즐길 수 있는 미니 게임이나 모드(타인이 만든 2차 창작 게임)가 하나의 독립된 게임으로 나오는 경우) 게임 개발에 머물러 있음. 이로 인해 PC 게임 및 모바일 게임 시장 매출의 대부분은 해외 게임이 차지하고 있음. 다만 필리핀의 BPO 산업3)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게임 개발 및 게임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필리핀의 스튜디오가 글로벌 게임 개발에 참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음. 또 영어에 능숙한 현지 인력이 많아, 해외 게임 개발사들이 필리핀 지사 및 게임 운영 대행사를 통해 영어권 시장을 겨냥한 고객 센터 운영과, 현지화 서비스를 활발히 하고 있음. Ÿ 이런 산업 기반을 바탕으로 한국 게임업계와의 협업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한국은 지난해 2월 한-아세안센터 주관으로 게임, 애니메이션, 웹툰 기업들로 꾸린 콘텐츠 산업 협력단을 필리핀에 파견, 비즈니스 포럼과 1:1 미팅 등을 개최한 바 있음. 필리핀 정부 또한 창조경제 로드맵(Creative Economy Roadmap) 4), 혁신산업법(Philippine Innovation Act), 혁신사업 분야 계획(i³S, Inclusive Innovation Industrial Strategy) 등을 통해 게임을 포함한 콘텐츠 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동남아시아 콘텐츠 선도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64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에스엠 체질 개선 완료 1도토리 국준아
2639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골프존 2022 년 실적도 나이스 샷! 전망 1도토리 국준아
2638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CJ 플랫폼 관련 성장성 가시화 1도토리 국준아
26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우크라이나 사태가 LNG선 장기 수요 자극 1도토리 국준아
2636 성장동력산업 영국 패션시장 동향 및 전망 보고서 3도토리 김민성
2635 성장동력산업 일본 음악시장의 최신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김민성
2634 성장동력산업 2021 인도네시아 음악 산업 트렌드 3도토리 박민혁
2633 성장동력산업 인도네시아 디지털·콘텐츠산업 정책 및 규제 현황 1도토리 박민혁
2632 성장동력산업 2021 인도네시아 게임산업 현황 1도토리 박민혁
263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자동차 소재/부품/시스템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30 성장동력산업 2021 인도네시아 ott 시장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629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자동차 소재/부품/시스템 등 전략품목 특허동향 120도토리 나혜선
262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자동차 반도체 및 센서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27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수소자동차 핵심 분야 시장 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26 성장동력산업 2021년 인도네시아 인터넷 산업 동향 1도토리 박민혁
2625 성장동력산업 전기자동차 정부지원 연구개발 과제 120도토리 나혜선
2624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표준 프레임워크 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23 성장동력산업 2021 인도네시아 출판·만화시장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622 성장동력산업 2021 인도네시아 방송콘텐츠 산업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621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정부지원 연구개발 과제 120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