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년 인도네시아 키즈 콘텐츠 시장 동향 및 관련 업체 심층 인터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103
용량 1.38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년 인도네시아 키즈 콘텐츠 시장 동향 및 관련 업체 심층 인터뷰.pdf 1.3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1-19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6 

1. 인도네시아 아동 인구 동향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이 지난해 10 년 주기의 인구 조사를 시행함. 지난해 9 월 기준 총 인구는 2 억 7,020 만 명으로 2010 년 이후 연평균 326 만 명 증가함. 인구 중 과반인 1 억 1,559 만 명(56.10%)이 거주하는 자바섬이 경제 및 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음. 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수도 이전 등을 검토 중이지만 당분간은 수도 자카르타를 비롯한 자바섬으로의 인구 쏠림 현상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로 2050 년까지 꾸준하게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 향후 30 년간 ‘인구 보너스’ 효과를 통해 거대한 내수 시장과 노동력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됨. 지난해 기준으로 14 세 이하 아동 인구는 7,100 만 명이었으며, 이는 인도(3 억 6,000 만 명), 중국 (2 억 5,000 만 명), 나이지리아(9,000 만 명), 파키스탄(7,700 만 명)에 이어 세계 5 번째 기록이자 동남아시아 최고 기록임. 전체 인구 중 아동이 차지하는 비중은 25.93%로 2004 년에 30% 아래로 내려온 후 조금씩 줄어들고 있지만, 아동 인구 수는 순증하고 있음. 인구 중 절반 이상인 53.81%가 밀레니얼 세대(1981~1996 년 출생, 24~39 세 사이)와 Z 세대 (1997 년~2021 년 출생, 8 세~23 세)로, 곧 이들이 부모 세대로 진입해 유·아동 인구가 꾸준히 증가 할 것으로 보임. 합계 출산율이 2.288 명으로 현 인구 유지 최소 요구치인 2.1 명을 상회하고 있어 인구 증가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됨. (단위: 백만 명, %) 연도 1960 1970 1980 1990 2000 2010 2020 전체 인구 87.75 114.79 147.44 181.41 211.51 241.83 273.52 아동 인구 (0~14 세) 35.04 49.63 60.59 66.12 64.91 69.71 70.94 아동 인구 비중 39.94% 43.23% 41.09% 36.45% 30.69% 28.82% 25.93% |표 1| 인도네시아 아동 인구 동향 (0~14세)∣출처: 세계은행, 2020 2. 인도네시아 유·아동 관련 시장 규모 동남아시아 주요 7 개 국가 중 인도네시아 아동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43%이며 필리핀, 베트남,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이 그 뒤를 잇고 있음. 인도네시아(약 2 억 7 천만 명)와 한국(5 천 2 백만 명)의 인구는 대략 5 배 차이가 나지만, 아동 인구 는 인도네시아(7,100 만 명)가 한국(650만 명)의 10 배 수준임. 3 인도네시아 콘텐츠 산업동향 (2021년 14호) (단위: 백만 명, %) 국가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전체 인구 273.52 109.58 97.33 54.40 69.79 32.36 16.71 아동 인구 (0~14 세) 70.94 32.92 22.57 13.86 11.55 7.58 5.17 아동 인구 비중 26% 30% 23% 25% 17% 23% 31% |표 2| 동남아시아 주요국 아동 인구 비교 (0~14세)∣출처: 세계은행, 2020 글로벌 데이터 조사 업체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올해 인도네시아 전자 상거래 중 장난감과 육아 용품(의류, 유아식, 젖병, 수유용품, 유모차, 카시트 등) 판매액은 16 억 6 천만 달러1)(1 조 9,500 억 원)로 고객 1 인당 평균 수익은 55.59 달러(6 만 5,000 원)가 될 것으로 보고 있음. 앞으로 연평균 10.09% 성장해 2025 년 시장의 잠재 구매자는 4,810 만 명이 될 것으로 전망. 미용/개인 용품 분야의 유·아동 관련 품목(베이비 로션, 베이비 오일, 베이비 파우더 등) 시장 규모는 7,740 만 달러(908 억 원)로 2025 년까지 연평균 5.63% 성장할 것으로 전망. 이유식 시장 규모는 올해 167 억 5,800 만 달러(19 조 6,738 억 원)이며 2026 년까지 연평균 7.99% 성장할 것으로 전망. 1 인당 평균 소비량은 9.5kg 이며 1 인당 평균 수익은 60.64 달러(7 만 원). 이유식 소비량은 2026 년까지 334 만 톤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14 세 이하 아동복 시장 규모는 올해 33 억 5,600 만 달러(3 조 9 천억 원)로 2026 년까지 연평균 8.53% 성장할 것으로 전망. 1 인당 기대 수익은 12.14 달러(1 만 4 천 원), 1 인당 평균 구매 수량은 2.83 개. 2026 년 연간 아동복 판매 총량이 8 억 7,310 만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 아동복 시장은 올해 4.5% 성장하였으며 내년에는 14.5% 성장할 것으로 전망. 2 인도네시아 키즈 콘텐츠 소비 현황 1. 아동과 온라인 미디어 콘텐츠 인도네시아 인터넷협회(APJII)에 따르면 지난해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6 세 이상의 인터넷 사용자가 크게 늘었으며 이는 초등학생부터 온라인 교육이 확대되기 시작한 것과 유관한 것으로 보임. 통계청(BPS)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인구 중 73.7%가 인터넷 사용자였으며 5~24 세 학생 인구의 인터넷 사용률은 59.33%로, 2016 년 33.98%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였음. 특히 초등학생의 경우 2018 년 16.64%에서 지난해 35.97%로 두 배 이상 증가함. 중학생 73.4%, 고등학생 91.01%, 대학생 95.3%로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인터넷 접속 비율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 설문조사 업체 작팟(Jakpat)이 올해 2 월 2~15 세 자녀를 둔 896 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620 성장동력산업 2021 인도네시아 암호화폐·블록체인 시장 동향 1도토리 김민성
2619 성장동력산업 해외콘텐츠기업탐방-상하이 러샹 과기유한공사 1도토리 김민성
2618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mcn 산업 발전 동향 3도토리 장민환
2617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나혜선
2616 성장동력산업 수소차 관련 핵심사업 및 부품⋅소재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15 성장동력산업 수소자동차의 핵심분야 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14 성장동력산업 수소자동차 연구개발 과제 120도토리 나혜선
2613 성장동력산업 수소경제로의 대전환과 수소산업의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1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전기차 시장 최근 현황 120도토리 나혜선
261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전기자동차 핵심품목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10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전기자동차 특허동향 120도토리 나혜선
2609 성장동력산업 2020년 일본 콘텐츠 트렌드 및 이슈 분석 1도토리 장민환
260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전기자동차 산업동향 및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07 성장동력산업 2021년, K-드라마 전성기 1도토리 장민환
2606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공연 예술 동향 및 발전 실태 3도토리 장민환
2605 성장동력산업 2020년 일본 콘텐츠 산업 정책 1도토리 장민환
2604 성장동력산업 말레이시아 디지털·콘텐츠 산업 정책 및 규제 현황 1도토리 민준석
2603 성장동력산업 말레이시아 방송 산업동향 1도토리 민준석
2602 성장동력산업 2021 말레이시아 게임 산업 현황 1도토리 민준석
2601 성장동력산업 2021년 말레이시아 스타트업 산업동향 1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