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빅블러(Big Blur) 가속화의 파급효과: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상연 조회수 44
용량 1.17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빅블러(Big Blur) 가속화의 파급효과,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pdf 1.1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6-14 
출처 : 한국은행 
페이지 수 : 25 

[ 목 차 ]

 

Ⅰ. 검토 배경
Ⅱ. 미래차 산업의 성장
Ⅲ.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 현황
Ⅳ. 미래차 확산의 파급효과
Ⅴ. 정책적 시사점
 


 

기존 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간 융합을 바탕으로 이종 산업 간 경계가 사라지는 빅블러(Big Blur) 현상이 산업 전반에 걸쳐 확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빅블러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동 산업의 변화가 경제 전반에 미칠 파급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가속화될 빅블러 현상에 대응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지난 100여 년 동안 안정적인 성장을 보였던 자동차 산업은 기존 기술과 ICT 간 융합을 바탕으로 10년도 되지 않은 짧은 기간 동안 자동차의 친환경화, 지능화, 서비스화 등 새로운 균형점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공유차, 커넥티드카 등 미래차로 지칭되는 혁신적인 변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각 분야의 혁신이 융합하여 서로의 한계를 보완해주고 강점을 높여주면서 이동의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시장이 성숙단계에 진입하면서 성장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미래차 시장은 기업들의 경쟁적 투자와 기술개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이다.


미래차 시대에는 과거 공급자 중심의 획일화된 대량 생산체제에서 탈피하여 수요자 중심, 서비스 중심, 다양성 중심으로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한 파급효과는 단순히 자동차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산업구조 및 인프라의 재구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첫째, 교통체증, 교통사고, 환경오염 문제 등 기존 패러다임 하에서 감수해야 했던 불편함이 개선되면서 이동과 관련한 안전성, 효율성 및 친환경성이 향상될 것이다. 둘째, 자동차의 하위 부품시장이 미래차 중심으로 재편되고 자동차 산업의 가치사슬이 수평적 형태로 전환되는 등 자동차 생태계에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셋째, 철강·정유 등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연관 산업의 성장세는 하락하고, 미래차 관련 부품시장, 전기차 충전소 등 미래차 연관산업, 신물류산업 등 새로운 산업들이 주력산업으로 등장하면서 산업구조 재편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넷째, 도로·교통구조·도시구조 등 사회 인프라가 미래차에 적합하도록 재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 산업의 변화에서 알 수 있듯이, 빅블러 현상이 가속화됨에 따라 지난 10년보다 향후 10년의 변화가 훨씬 광범위하고 역동적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동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대응 여하에 따라 변화의 향방이 결정될 것이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기술 간, 산업 간 융합을 통한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하여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빅블러 생태계를 조성하고, 변화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 및 정책 마련에 경주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중장기적으로는 급변하는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국내외 경제환경·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를 강화함으로써 정책여건 변화를 조기에 감지하고 잠재적 리스크 요인에 대한 책적 대응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19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휴먼증강 미래 유망 기술·서비스 3도토리 이상연
218 성장동력산업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3~’27) 수립방향 마련 1도토리 조현상
217 성장동력산업 2021년 중국의 경제정책 운영 방향과 시사점: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중심으로 1도토리 이상연
216 성장동력산업 8월의 디지털 뉴딜 우수사례 선정 1도토리 조현상
215 성장동력산업 대덕특구 순환전기버스 올레브(OLEV) 첫 시동 1도토리 조현상
214 성장동력산업 CES 2021를 통해 본 포스트 COVID-19 시대의 혁신 트렌드 및 대응 방향 3도토리 이상연
213 성장동력산업 재생의료분야, 원천기술에서 치료제 개발까지 전주기 연구 지원 개시 1도토리 조현상
212 성장동력산업 세계 최초 무결점 그래핀 제작 1도토리 조현상
211 성장동력산업 변화와 혁신을 이끄는 인프라, 공유 개방형 플랫폼 -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 방안 - 1도토리 이상연
210 성장동력산업 Bridge to Future, 데이터로 만나는 미래유망기술 1도토리 이상연
209 성장동력산업 세계 최고 성능 나노박막 전극 개발 1도토리 조현상
208 성장동력산업 ’20년 지식재산 10대 이슈 및 ’21년 지식재산 전망 3도토리 이상연
207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로 인한 소비패턴 변화 1도토리 이상연
206 성장동력산업 라이브 미디어 커머스(Live media commerce)의 쟁점과 향후 과제 1도토리 이상연
205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비긴즈(BEGINS), 5대 이슈 및 전망 3도토리 이상연
204 성장동력산업 과기정통부, 2022년 정부 예산(안) 확정 1도토리 조현상
203 성장동력산업 국내 및 국외 유니콘 기업 분석과 국가별 유니콘 생태계 연구 7도토리 이상연
202 성장동력산업 과기정통부,‘산하기관 정보보호 개선방안’마련 1도토리 조현상
201 성장동력산업 연료전지 최신동향 3도토리 이상연
200 성장동력산업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역대 8월 수출액 중 1위 달성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