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GCC(걸프 아랍국 협력 회의) 지역 키즈 콘텐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한상윤 조회수 88
용량 1.87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GCC(걸프 아랍국 협력 회의) 지역 키즈 콘텐츠 동향.pdf 1.8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02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3 

GCC 주요 지역 어린이 시장 개요 어린이 연령 구분 어린이 연령대 구분은 여러 기준이 있으나, 0~2 세 영아기, 3~5 세 유아기, 6~13 세 초등학교 학령기로 구분하는 게 일반적. 1) 한국의 아동복지법에서는 어린이의 범위를 18 세 미만인 자로 광범위하게 규정하고 있음. 2) 유니세프는 어린이의 연령을 0~6 세의 초기(Early Years), 7~11 세의 중간기(Middle Years), 12~14 세의 청소년 초기(Early Adolescent Years)로 구분하는데, 이는 양질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만든 기준임. 15세 이상의 청소년을 어린이의 범주에서 제외한 이유는 성인에 버금가는 생활 방식 및 사고를 갖췄기 때문. 3) GCC 지역의 높은 어린이 비율 GCC 지역을 대표하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에는 어린이 연령에 대한 법적 기준이하는 규정이 없으며, 18 세를 결혼 및 형사 처벌 감면 기준으로 삼고 있음.4) 어린이의 범주를 출생 이후부터 14 세까지로 규정할 경우, GCC 지역의 어린이 비율은 전체 인구 5,956 만 명의 23%임. 이는 한국의 어린이 비율 12%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5)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어린이의 연령 범위” 2) 법제처 국가법령정보 “아동복지법 제3조 1항” 3) 유니세프 “Child development” 4) International Centre for Missing & Exploited Children “National Child Protection Legislation”(2018) 5) Populationpyramid.net 중동 콘텐츠 산업동향 (2021년 03호) |그림 1| 2021 GCC 지역과 대한민국의 연령대별 인구 비율 비교∣출처: PopulationPyramid.net GCC 는 어린이와 34 세 미만 청년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56%인 반면, 한국은 35 세 이상이 64%를 차지해 대조적 분포를 보임. GCC 지역의 높은 어린이 비율은 관련 산업의 수요를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지표임. 한국에서는 14 세 이하 영유아와 초등학생 대상 산업을 엔젤 산업이라 부르고 있음.7) 반면 GCC 지역에서는 이를 지칭하는 별도의 이름은 없음. 전문가들은 GCC 지역의 어린이 관련 산업은 완구류, 게임, 비디오 콘텐츠 등을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코로나 19 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임. 8) 2 GCC 주요 지역 키즈 콘텐츠 동향 2.1. 비디오 콘텐츠 GCC 지역의 키즈 유튜브 –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중심으로 성장 어린이 비디오 콘텐츠 시장이 유튜브를 중심으로 성장 중. 비디오 콘텐츠를 이용하는 어린이 대부분이 보호자의 계정을 쓰고 있어, 실제 이용자 수를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 어린이 비디오 콘텐츠의 이용률과 및 시장 규모는 소셜 미디어 사용률 및 인기 콘텐츠 플랫폼, 연령별 분포 등을 통해 추산할 수 있음. 올해 사우디아라비아 인구의 79.25%(2,780 만 명), 아랍에미리트 인구의 98.19%(984 만 명)가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됨. 그 중 유튜브 사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남(사우디 아라비아 89.9%, 아랍에미리트 87.4%). 올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의 유튜브 채널 중 조회수 상위 10 개에 어린이 콘텐츠 채널 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음. 사우디아라비아의 상위 10 개 중 어린이 채널은 3 개. 가장 인기 있는 어린이 채널은 3~5 세 미취학 어린이를 대상으로 제작된9) 러시아 애니메이션 마샤 아이 메드비드(영문명: Masha and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620 성장동력산업 2021 인도네시아 암호화폐·블록체인 시장 동향 1도토리 김민성
2619 성장동력산업 해외콘텐츠기업탐방-상하이 러샹 과기유한공사 1도토리 김민성
2618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mcn 산업 발전 동향 3도토리 장민환
2617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관련 특허 동향 120도토리 나혜선
2616 성장동력산업 수소차 관련 핵심사업 및 부품⋅소재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15 성장동력산업 수소자동차의 핵심분야 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14 성장동력산업 수소자동차 연구개발 과제 120도토리 나혜선
2613 성장동력산업 수소경제로의 대전환과 수소산업의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1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전기차 시장 최근 현황 120도토리 나혜선
261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전기자동차 핵심품목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10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전기자동차 특허동향 120도토리 나혜선
2609 성장동력산업 2020년 일본 콘텐츠 트렌드 및 이슈 분석 1도토리 장민환
260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전기자동차 산업동향 및 시장분석 120도토리 나혜선
2607 성장동력산업 2021년, K-드라마 전성기 1도토리 장민환
2606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공연 예술 동향 및 발전 실태 3도토리 장민환
2605 성장동력산업 2020년 일본 콘텐츠 산업 정책 1도토리 장민환
2604 성장동력산업 말레이시아 디지털·콘텐츠 산업 정책 및 규제 현황 1도토리 민준석
2603 성장동력산업 말레이시아 방송 산업동향 1도토리 민준석
2602 성장동력산업 2021 말레이시아 게임 산업 현황 1도토리 민준석
2601 성장동력산업 2021년 말레이시아 스타트업 산업동향 1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