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中 게임 산업 규제 및 장려 정책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18
용량 1.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中 게임 산업 규제 및 장려 정책 현황.pdf 1.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23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26 

[ 목 차 ]

 

심층 이슈 중국 게임 산업 규제 및 장려 정책 현황

1. 중국 게임 산업 규제 정책

2. 중국 게임 산업 장려 정책

3. 정책을 통한 시사점

 

장르별 차트

1. 드라마 시청률 TOP10

2. 예능 시청률 TOP10

3. 박스오피스 TOP10

4. 온라인⋅모바일 게임 TOP10

5. 음원 TOP10

 


 

1. 게임 산업의 시기별 저작권 침해 형태 2000 년대 이전에는 주로 게임기(일본 홍백기, 중국 소패왕)의 불법 복제가 이루어짐 이 시기에 중국 일부 지방에서는 회사별로 부품과 기기를 각각 판매하고, 한 회사에서 주문을 받으면 하룻밤 새 게임기를 불법 복제하는 방법으로 법망을 피해갔음. 단속을 하려 해도 각 회사의 창고마다 부품만 있는 상태라 처벌을 할 수 없었음. 당시에는 관련 법률이 명확하지 않아 도서 출판 관리 규정을 적용했으며, 게임을 출시할 때 출판사에서 자체 심사하는 방식을 따랐음. 또 오랜 기간 동안 게임 시장을 관리하고 규제하는 부처가 명확하지 않아 1996 년에는 신문출판사, 1998 년에는 전자공업부가 이 업무를 담당했음. 2000 년대 인터넷 시대로 접어든 후에는 주로 PC 방에서 소프트웨어, CD 등을 다운받는 방식으로 불법 복제가 이루어짐. 행정 처분과 배상액 등이 미미하여 불법 다운로드가 만연하던 시기임. 2002 년에는 정보산업부와 신문출판총서 공동으로, 2003 년에는 문화부, 2008 년에는 문화부와 국가신문출판총서가 분담하여 게임 산업을 관리하였으며, 2018 년부터 조직 개편을 해 중선부가 관리 규제하기 시작함. 온라인 게임 관리 감독 기관 및 규제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음. 온라인 게임 관리감독 기관 및 규제 내용 관리감독 기관 규제 내용 문화와여유부 문화시장종합집행감독국(원 문화부) 온라인 게임 사건 및 온라인 게임 생중계 등에 대한 시장 감독 국가신문출판서(원 광전총국 산하 국가신문출판총서) 국산 온라인 게임의 출판 전 라이선스, 해외 저작권 라이선스, 전자 출판물(인터넷 게임 포함) 라이선스 공업과 정보화부(원 전자공업부) 인터넷 통신 서비스 감독 국가인터넷정보사무실(중공중앙 네트웍 안전과 정보화위원회 사무실. 중공중앙직속기관) 온라인 게임 등 온라인 문화 분야의 업무 조정 및 계획을 지도하고, 온라인 게임 계정, 게임 어플리케이션 정보 서비스 등에 관한 규정을 마련함 * 출처 : www.zhihu.com 网络游戏法律问题(一)——出版运营的监管与资质要求 증국 콘텐츠 산업동향 (2021년 14호) 최근 발생한 소프트웨어 침해 인터넷과 모바일 기기의 발달로 물리적 매체의 불법 복제 대신 △사설 서버 문제(형사) △가상 게임 아이템 문제(민사·가상재산 관련 민사) △계약 사건(연구 개발 검사·운영 대금 등 중재가 많음) △지적재산권 침해 등의 유형이 나타나기 시작함. 게임 지적재산권 소송은 △상표 △저작권 △특허권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직접 베끼기 △외형만 바꾸는 행위 △디자인 베끼기가 주요 소송의 원인이 되고 있음. 아래에서는 2007~2019 년까지의 소송 원인별 건수와 배상액을 알아보고, 이 쟁점이 중국 정부의 정책과 법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기술함. * 출처 : Neezoo예측, 중신증권연구원 2. 법원 판결 배상액 지난 2019 년 중국음반디지털출판협회 게임공작위원회(中国音数协游戏工委)에서 발표한 ‘중국 게임 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2007 년부터 2019 년 12 월까지 판결이 난 소송 건수는 총 366 건임. 2019 년 소송 건수는 텐센트 10 건, 넷이즈 3 건, 빠비에스따이(巴别时代) 3 건 등이었으며, 텐센트가 확정 판결이 나온 소송의 22%를 차지함. 법원에서 판결한 배상 금액 분포는 다음과 같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568 성장동력산업 2021년 싱가포르 출판·만화·웹툰 산업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567 성장동력산업 2021년 인도네시아 키즈 콘텐츠 시장 동향 및 관련 업체 심층 인터뷰 1도토리 장민환
2566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필리핀 BPO 산업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565 성장동력산업 해외콘텐츠기업탐방 - 항저우왕이윙음악과기유한공사 1도토리 장민환
2564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 게임 산업 현황 1도토리 한상윤
2563 성장동력산업 GCC(걸프 아랍국 협력 회의) 지역 키즈 콘텐츠 동향 1도토리 한상윤
2562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의 소셜 미디어 현황 1도토리 한상윤
2561 성장동력산업 2021 인도네시아 K-콘텐츠 행사 1도토리 강정훈
2560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대중음악(V팝) 공연 시장 동향 3도토리 강정훈
2559 성장동력산업 해외콘텐츠기업탐방-상해빌리빌리과기유한공사 1도토리 장민환
2558 성장동력산업 해외콘텐츠기업탐방-콰이칸세계북경과기유한공사 1도토리 장민환
2557 성장동력산업 2021 중국 e스포츠 업계 현황 1도토리 장민환
255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이후, 중국의 영상 콘텐츠와 ppl 산업 동향 3도토리 한상윤
2555 성장동력산업 프랑스 만화 산업 실태 조사 3도토리 한상윤
2554 성장동력산업 유럽 방송 콘텐츠 포맷 산업 동향 3도토리 한상윤
2553 성장동력산업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프리맨틀(fremantle) 1도토리 한상윤
255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와이지엔터테인먼트 겨울잠에서 깨어나기 시작 1도토리 나혜선
255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CJ ENM tving 의 성장에 집중하는 시기 1도토리 나혜선
255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이마트 사업구조 전환 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 1도토리 박민혁
25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 러/우 분쟁과 특수 가스 가격보다는 물량 확보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