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중국 인터넷저작권 산업 발전 현황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104
용량 1.9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중국 인터넷저작권 산업 발전 현황.pdf 1.9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24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27 

[ 목 차 ]

 

심층이슈: 중국 인터넷저작권 산업 발전 현황

1. <중국 인터넷저작권 산업 발전 보고서(2020)>개요

2. 중국 인터넷저작권 산업별 발전 현황

3. 중국 인터넷저작권 산업 발전 방향

 

장르별 차트

1. 드라마시청률 TOP10

2. 에능시청률 TOP10

3. 박스오피스 TOP10

4. 온라인⋅모바일 게임 TOP10

5. 음원 TOP10

 


 

보고서 핵심 내용 인터넷 저작권 산업은 과학 기술, 문화와 저작권이 융합된 산업 모델로서 새로운 시대의 콘텐츠와 문화 형성에 중점적인 역할을 함. 텐센트 연구원은 2016 년부터 매해 1)를 발표함. 올해 텐센트연구원은 2021 년 5 월 발표된 국가판권국 인터넷저작권산업 연구기지 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터넷 저작권 산업의 규모, 매출구조 및 세분화 분야의 특징 등 인터넷저작권 산업의 현주소 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 추세를 예측함. 2020 년 중국 인터넷저작권 산업 시장 규모는 1 조 1,847 억 3 천만 위안(한화 약 220 조 162 억 원)을 기록했으며 2019 년 대비 23.6%의 성장세를 보임. “제 13 차 5 개년 경제 개발 계획" 기간 동안 연간 복합 성장률은 25%를 기록함. 현재 온라인 게임 및 뉴스미디어는 중국 문화산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특히 숏폼, 라이브 방송, 인터넷 뉴스 미디어의 비중이 대폭 증가하 면서 '영상화'와 '다각화'된 특징을 보임. 2020 년은 COVID-19 로 문화산업이 전반적으로 위축되 었지만, 새로운 형태의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함. 문화산업이 동영상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콘텐츠의 질적 성장과 문화 교류 등을 통해 콘텐츠 해외 진출에서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 것으로 예측됨. 이러한 상황에서 저작권과 관련한 분쟁과 논란이 생기지 않도록 관련 법규를 제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 1. 2020년 중국 인터넷저작권산업의 새로운 구조 인터넷저작권의 중요성 증가 1) 中国网络版权产业发展报告(2020), 腾讯研究院, 2021.6.11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2021년 24호) |그림 1| 2015-2020년 중국 인터넷저작권산업 시장 규모 |그림 2| 2016-2020년 중국 인터넷저작권 유료 시장 규모 (출처: 텐센트연구원) 인터넷 문화산업의 분류별 시장 규모와 비중 문화산업 분류 시장 규모(위안화) 시장 규모(한화) 비중 인터넷 문학 268 억 1 천만 4 조 9,716 억 2.23% VR/AR 128 억 4 천만 2 조 3,810 억 1.08% 숏폼 1,506 억 27 조 9,272 억 12.71% 라이브 방송 856 억 3 천만 15 조 8,792 억 7.23% 인터넷 신문/미디어 4,648 억 86 조 1,925 억 39.23% 긴 동영상 1,081 억 9 천만 20 조 627 억 9.13% 온라인 만화(애니메이션) 238 억 7 천만 4 조 4,264 억 2.01% 온라인 게임 2,786 억 9 천만 51 조 6,802 억 23.52% 음악 333 억 6 조 1,751 억 2.81% (출처: 국가판권국 인터넷저작권산업연구기지) 2020 년 중국 인터넷저작권산업 규모는 과학 기술의 발전, 문화소비 촉진, 공장 및 산업의 정상화, 빈곤퇴치 등 정책적 역량 등 영향요인에 힘입어 1 조 1,847 억 위안을 달성했음. 온라인 콘텐츠 중에서는 짧은 동영상(숏폼)의 비중이 가장 크게 증가해 전체 문화 콘텐츠 중 12.71%를 차지함. 2019 년과 비교했을 때, 2.19%p 증가했음. 반면에 긴 동영상의 소비량은 하락해 그 비중이 9.13%로 조사되었고, 2019 년 대비 2.4% 하락한 수치를 보였음. VR 과 AR 등은 최근 주목받는 분야로 관련 기술이 계속 발전하고 소비 시장규모도 큰 폭의 증가세를 보임. 2020 년 인터넷저작권 유료 이용 매출은 5,659 억 2 천만 위안(한화 약 104 조 9,442 억 원)으로 인터넷저작권산업 총 매출액의 47.8%를 차지함. 저작권 운영매출은 109 억 1 천만 위안(한화 약 2 조 231 억 원), 광고 및 기타 매출은 6,079 억 위안(한화 약 112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568 성장동력산업 2021년 싱가포르 출판·만화·웹툰 산업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567 성장동력산업 2021년 인도네시아 키즈 콘텐츠 시장 동향 및 관련 업체 심층 인터뷰 1도토리 장민환
2566 성장동력산업 2021년 필리핀 BPO 산업 동향 1도토리 장민환
2565 성장동력산업 해외콘텐츠기업탐방 - 항저우왕이윙음악과기유한공사 1도토리 장민환
2564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사우디아라비아 및 아랍에미리트 게임 산업 현황 1도토리 한상윤
2563 성장동력산업 GCC(걸프 아랍국 협력 회의) 지역 키즈 콘텐츠 동향 1도토리 한상윤
2562 성장동력산업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의 소셜 미디어 현황 1도토리 한상윤
2561 성장동력산업 2021 인도네시아 K-콘텐츠 행사 1도토리 강정훈
2560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대중음악(V팝) 공연 시장 동향 3도토리 강정훈
2559 성장동력산업 해외콘텐츠기업탐방-상해빌리빌리과기유한공사 1도토리 장민환
2558 성장동력산업 해외콘텐츠기업탐방-콰이칸세계북경과기유한공사 1도토리 장민환
2557 성장동력산업 2021 중국 e스포츠 업계 현황 1도토리 장민환
255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이후, 중국의 영상 콘텐츠와 ppl 산업 동향 3도토리 한상윤
2555 성장동력산업 프랑스 만화 산업 실태 조사 3도토리 한상윤
2554 성장동력산업 유럽 방송 콘텐츠 포맷 산업 동향 3도토리 한상윤
2553 성장동력산업 해외 콘텐츠기업 탐방-프리맨틀(fremantle) 1도토리 한상윤
2552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와이지엔터테인먼트 겨울잠에서 깨어나기 시작 1도토리 나혜선
2551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CJ ENM tving 의 성장에 집중하는 시기 1도토리 나혜선
2550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이마트 사업구조 전환 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 1도토리 박민혁
25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 러/우 분쟁과 특수 가스 가격보다는 물량 확보 1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