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년도 콘텐츠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87
용량 10.65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년도 콘텐츠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pdf 10.6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0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235 

[ 목 차 ]

 

Ⅰ. 연구목표

 제1절 연구목표 및 범위

 제2절 연차별 차별성

 

Ⅱ. 콘텐츠 중심의 산업연관표 작성 및 경제적 파급효과

 제1절 선행연구 검토

 제2절 콘텐츠 중심의 산업연관표 도출

 제3절 산업연관분석

 제4절 콘텐츠산업표를 활용한 경제구조분석

 제5절 콘텐츠 중심의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경제적 파급효과

 제6절 2019년 연구와 본 연구 비교분석

 

Ⅲ. 콘텐츠산업의 경제적 기여도 분석

 제1절 경제적 파급효과 범위 설정

 제2절 콘텐츠산업 연관 제조업 및 서비스업 조사분석

 제3절 콘텐츠산업 간접적 파급효과 측정

 

Ⅳ. 결론

 제1절 연구결과 요약

 제2절 한계점 및 향후 과제

 

Ⅴ. 부록

 1. 콘텐츠산업특수분류-표준산업분류(5digit)- 산업연관표(기본부문) 연계결과

 2. 콘텐츠산업에 투입되는 산업과 비중

 3. 콘텐츠산업이 투입되는 산업과 비중

 4. 콘텐츠 중심의 산업연관표

 5. 콘텐츠산업 경제적 파급범위 설정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6. 기업조사표

 7. 전문가 델파이 조사표 

 


 

I. 연구목표 본 연구는 콘텐츠산업의 다양한 연관분야 파급효과를 경제적 가치로 정확히 측 정하여, 국가경제 성장에 미치는 유․무형 기여도 분석을 목표로 함 콘텐츠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연관분석을 실시하고, 콘텐츠 전후방산업을 식별하 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콘텐츠산업이 국가경제의 위상을 파악하고, 콘텐츠산업이 타 산업에 미치는 영 향을 식별하여 융복합 콘텐츠 진흥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 을 목표로 함 이를 위해 산업분류, 산업통합, 파급효과분석, 기여율 산출, 간접 파급효과 경로 개발 등을 주요연구내용으로 설정함 ❚그림 1❚ 연구목표 ii 연차별 연구의 차별성을 적시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결과의 유지 및 개선을 유도함 구분 2019년 2021년 콘텐츠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범위 ∙ 콘텐츠산업의 확장, 연관 서비스 및 제조업으 로 콘텐츠산업의 단계를 설계 - 1단계: 콘텐츠산업 - 2단계: 콘텐츠산업확장 - 3단계: 콘텐츠연관서비스산업 - 4단계: 콘텐츠연관제조업산업 ∙ 1단계~4단계의 정의 및 범위에 대한 전문가 회의를 통한 타당성 확보 - 전문가 회의(2회) - 전문가 설문조사(2회) ※ 4단계 산업 중 자동차 산업 삭제 콘텐츠 연관산업의 현황 ∙ 1단계~4단계의 각 산업에 대한 활용통계를 정의 ∙ 산업 규모(매출액, 부가가치, 종사자) 등을 산출 ∙ 좌동 산업연관분석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의 유발계수를 활용하여 파급효과 산출 ∙ 콘텐츠 중심의 산업연관표를 새롭게 작성하 여 체계성을 확보 ∙ 콘텐츠 중심의 산업연관표 개발 및 검증을 위한 전문가 검토 진행 ∙ 유발효과 산출방법론 개선 (총산출액 → 최종수요 적용) 연관산업의 콘텐츠 기여도 ∙ 전문가 대상 기여도 조사 실시 ∙ 연관 서비스 및 제조 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실시 ∙ 전문가 대상 기여도 조사 확대 실시 (콘텐츠 분야 전문가, 경제․경영 전문가) 간접파급효과 ∙ 콘텐츠 분야별 융합에 따른 후광효과 * 제품 간 융합, 경영융합, 지역융합, 국가 융합 ∙ 콘텐츠 분야 중 게임산업을 중심으로 간접파 급효과 파급경로 개발 *자동차 산업에서 콘텐츠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2019년 연구에 제시되었으며,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자동차 산업을 콘텐츠 파급범위에서 삭제하는 것으로 논의함 ❚표 1❚ 연차별 주요 연구내용 및 개선과제 Ⅱ. 콘텐츠 중심의 산업연관표 작성 및 경제적 파급효과 1. 2019년 연구 주요개선 내용 본 연구는 기존연구(2019)의 방법론 개선을 위해 콘텐츠산업 특수분류-표준산 업분류-국민계정(산업연관표) 연계표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분류를 진행함 본 연구는 콘텐츠산업 특수분류-표준산업분류-국민계정(산업연관표) 연계표를 작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68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유기 화학 및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67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만화 및 웹툰 이용자 실태조사 7도토리 나혜선
2466 성장동력산업 2021 음악 이용자 실태 조사 7도토리 국준아
2465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및 관련 부품⋅시스템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6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무기화학 및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63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디스플레이 소재 및 기술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62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기초 화학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61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광LED 및 관련 소재⋅부품⋅장비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60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2차전지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59 성장동력산업 각 분야별 2차전지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58 생명공학/바이오 COVID-19 영향에 따른 국내외 산업별 시장 전망 120도토리 강정훈
245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생명 제도 변화에 가장 유리한 생명보험사 1도토리 국준아
245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DB하이텍 8인치 호황 장기화와 신규 사업 1도토리 국준아
245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해상 2022년 가장 유망한 손보주 1도토리 국준아
245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인터플렉스 삼성전자 S펜(울트라, 폴더 블폰) 확대 수혜 1도토리 국준아
245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이브 분기 최대 실적 달성 1도토리 국준아
2452 성장동력산업 2021 애니메이션 이용자 현황 연구 7도토리 강정훈
2451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캐릭터 이용자 현황 조사 7도토리 강정훈
2450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웹툰 사업체 현황 조사 연구 보고서 7도토리 강정훈
2449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웹툰 작가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7도토리 류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