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1년도 콘텐츠 업계 고용구조 종합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99
용량 4.5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년도 콘텐츠 업계 고용구조 종합 연구.pdf 4.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9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95 

[ 목 차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목적

 제2절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연구 내용

  나. 조사 대상 산업분류

  다. 프리랜서 정의

  라. 직무 구분의 보완

 제3절 연구 방법

  가. 사업체 조사

  나. 프리랜서 조사

  다. 공급 인력 자료 분석

  라. 인력 수급전망 방법론

 

제2장 인력수급 현황 및 전망

 제1절 공급 현황 및 전망

 제2절 콘텐츠사업체 종사자 현황

  가. 종사자수 시계열 분석

  나. 종사자 현황 세부 분석

  다. 부족/채용인원 현황

 제3절 콘텐츠산업 프리랜서 현황

  가. 콘텐츠산업 프리랜서 규모

  나. 프리랜서 활동 현황

  다. 프리랜서 고용구조

  라. 프리랜서의 구직활동

 

제3장 콘텐츠산업 고용구조 분석

 제1절 인력수급 분석 종합

  가. 인력수급 현황과 미스매칭 규모

 제2절 직무별 채용 우선순위 및 직무구성의 변화 비교

 제3절 코로나19의 일자리 영향과 디지털 전환  

  가. 코로나19가 콘텐츠산업 고용구조에 미친 영향

  나. 콘텐츠사업체의 디지털 전환

 

제4장 결론

 제1절 고용활성화를 위한 제언

  가. 디지털 전환 관련 인력구조 고도화

  나. 경험적 인력양성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개선 필요 사항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내용 및 범위 가. 연구 목적 및 내용 본 연구는 출판, 만화, 음악,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방송, 캐릭터의 8개 콘텐츠 산업의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이하 콘텐츠사업체) 및 프리랜서를 대상으로 설문과 심 층 조사, 전문가 자문, 선행연구 및 2차 자료 분석을 시행하여 콘텐츠산업의 고용구 조의 전체적인 양상과 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인력수급 현황 및 전망 분석 - 교육 통계 자료 분석을 통한 공급 현황 및 전망 분석 - 사업체, 프리랜서를 조사를 통한 인력 현황 및 전망 분석 콘텐츠산업 고용구조의 특성 파악 - 산업 인력 미스매칭 규모 및 특성 분석 - 산업 고용구조에 영향 미치는 주요 현안 분석 고용 활성화를 위한 제언 나. 조사 대상 산업분류 본 연구는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메이션, 방송, 캐릭터 8개 산업을 대 상으로 한다. 산업인력의 고용구조 분석 및 인력수급을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에 참 조가 되는 기초자료 제공의 목적을 고려하여, 콘텐츠 창작 및 유통에 특화된 핵심 역 량을 보유한 인력을 중심으로 고용현황을 파악하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따라서 본 - ii - 연구는 콘텐츠 제작·기획업과 유통·배급업에 종사자하는 인력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콘텐츠 제작·유통을 통한 가치 창출과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역량이 상대적 으로 크게 요구되지 않는 단순 임대 및 도소매업을 제외하였다. 다. 콘텐츠산업 프리랜서 정의 콘텐츠산업 프리랜서는 2019년 연구와 「2020년 창의인력 실태조사」(한국콘텐츠진 흥원)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임시근로자 + 일용근로자 +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로 동일하게 범위를 설정하였다. 라. 장르별 직무 정의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의 사전제작(pre-production)-제작(main production)-사후제 작(post production)과 연계되는 콘텐츠사업체/프리랜서의 직무를 포괄할 수 있도록, ① 경영관리, ② 콘텐츠 기획, ③ 콘텐츠 제작, ④ 콘텐츠 서비스/유통배급, ⑤ 마케 팅·홍보/사업, ⑥ 기술개발·지원, ⑦기타의 7가지 분류로 개편하였다. 제2절 연구 방법 가. 사업체 조사 조사 대상 :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 방송, 캐릭터 산업 사업체 중 단순 임대업과 도소매업을 제외한 사업체 유효 표본 수 : 2,000개사 조사 기간 : 2021년 8월~11월 조사 방법 :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팩스/이메일 조사 및 온라인 조사 나. 프리랜서 조사 조사 대상 :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 방송, 캐릭터 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프리랜서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5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DB하이텍 8인치 호황 장기화와 신규 사업 1도토리 국준아
245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해상 2022년 가장 유망한 손보주 1도토리 국준아
245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인터플렉스 삼성전자 S펜(울트라, 폴더 블폰) 확대 수혜 1도토리 국준아
245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이브 분기 최대 실적 달성 1도토리 국준아
2452 성장동력산업 2021 애니메이션 이용자 현황 연구 7도토리 강정훈
2451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캐릭터 이용자 현황 조사 7도토리 강정훈
2450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웹툰 사업체 현황 조사 연구 보고서 7도토리 강정훈
2449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웹툰 작가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7도토리 류지원
2448 성장동력산업 2021 e-Sports 정책연구 7도토리 류지원
2447 성장동력산업 이야기 IP 성공사례 케이스 스터디 7도토리 민준석
2446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방송 프로그램 외주 제작 거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민준석
2445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 정의 및 국내외 시장 분석 120도토리 노민우
244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이차전지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노민우
2443 성장동력산업 각 분야별 이차전지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노민우
2442 성장동력산업 2021 방송 제작 근무 여건 실태 조사 7도토리 이지훈
2441 성장동력산업 2021 대중문화 및 예술산업 실태조사 7도토리 이지훈
2440 성장동력산업 음악산업 실태 조사 및 분류체계 개발 연구 7도토리 이지훈
2439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게임 업계 종사자 근로 환경 실태 보고 7도토리 정한솔
2438 성장동력산업 2021 콘텐츠 이용 시 피해 실태조사 7도토리 정한솔
2437 성장동력산업 2021 게임 유저 대상 임상의학 코호트 연구 7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