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09·10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83
용량 16.81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내외 게임산업 트렌드(2022년 09·10월).pdf 16.8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0-13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128 

1. 글로벌 이슈 포커스

게임판에 첫수 선보인 넷플릭스, 오프닝보다는 엔드게임에 쏠리는 눈

  1. 오프닝

  2. 넷플릭스의 게임사업 진출 배경

  3. 넷플릭스가 게임사업에서 마주할 문제들

  4. 넷플릭스 첫 게임의 분석

  5. 넷플릭스가 바라는 엔드게임

  6. 넷플릭스가 게임산업에 던진 화두

 

2. 글로벌 게임산업 동향

  [시장] 휴대용 게임기 시장 부흥 조짐, 인디게임업계 수혜 기대

  [기술] EA, 접근성 개선 특허 5가지 업계에 공유, 국내기업들의 활용 기대

  [사회문화] 게임의 선한 영향력 조명한 다큐멘터리 ‘게임즈 포 굿’

  [사회문화] 게임 내 ‘디지털 부동산’ 투자 열풍, 게임의 재미를 훼손하지는 말아야

  [기업] ‘사람 우선 문화’의 게임 개발로 2억 달러 투자 조달한 ‘프러버블리몬스터’ 

 

3. 글로벌 이머징마켓

  [지역] 티핑 포인트 넘어선 인도 게임시장, 수익화 진전 속도가 관건

  [전략] 발견 가능성 높이는 게임 현지화, 러시아어와 중국어의 우선순위 상승

 

4. 게임 캘린더

  [리뷰] 두 번째 온라인 게임쇼 치른 ‘게임스컴’과 ‘TGS’의 새로운 시도들

  [프리뷰] 아프리카 게임 시장의 현주소 보여줄 ‘아프리카 게임 위크’

 

5. 부록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산업 관련 보고서 목록(2017~2021)

  콘텐츠정책금융제도 안내

 


 

8월 말 넷플릭스는 폴란드에서 안드로이드용 모바일게임 서비스를 시 작한다고 발표했다. 사람들의 ‘시간’을 점유하기 위해 모든 엔터테인먼 트산업이 경쟁하고 있고, 게임이 엔터테인먼트의 중심으로 급부상하는 최근의 흐름 속에서 넷플릭스의 게임산업 진출은 어쩌면 당연한 것인 지도 모른다. 그러나 진출의 당위성과 별개로, 넷플릭스는 현재 게임산 업에 필요한 것들을 거의 갖추고 있지 못하며, 그들 앞에는 많은 난관이 기다리고 있다. 다행히 넷플릭스는 긴 호흡의 행보 속에서 성장해 온 기 업이며, 게임산업 역시 장기간에 걸친 추가적 발전을 특징으로 한다. 당 장의 모습보다는 5년, 10년 후 넷플릭스가 그릴 수 있는 게임과 비디오 산업의 미래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들의 행보는 글로벌게임 산업에도 좋은 힌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 오프닝1 1.1. 넷플릭스의 게임산업 진출 선언 7월 20일 넷플릭스의 CEO 리드 헤이스팅스는 주주들에게 보낸 실적 보고 서한에서 다음과 같이 게임산업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임을 천명하였다. “우리는 쌍방향성(예를 들면 2 와 ) 게임3 에 대한 우리의 이전 노력을 기반으로 하 여, 게임으로 더욱 확장해 가기 위한 초기단계에 있습니다. 우리는 게임 을 새로운 콘텐츠 카테고리로 보고 있으며, 이전에 오리지널 필름, 애니 메이션, 대본 없는 TV로 확장한 것과 유사합니다. 게임은 아무런 추가비 용 없이 회원들의 구독 서비스에 포함될 것입니다. 처음에 우리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게임에 우선 초점을 둘 것입니다. 우리는 모든 기존 콘텐 츠 카테고리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투자와 성장이 증가해 나가기를 기 대하고 있습니다만, 우리가 오리지널 프로그램 제작에 뛰어든 지도 거 의 10년이 되었기에, 우리는 지금이 바로 넷플릭스 회원들이 게임을 어 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아야 할 적기라고 생각합니 다.” 아울러 넷플릭스는 이런 계획을 실행할 책임자로 마이클 버듀를 게임 부문 부사장으로 이미 고용했음을 공식 확인하였다. 버듀는 일렉트로 닉 아츠(EA)에서 2009년부터 3년 간 게임개발총괄을 역임하며 와 게임 시리즈 등의 제작을 담당한 바 있으 며, 등을 운영하는 모바일 스튜디오를 담당하기도 했다. 이후 페이스북 재직 시절에는 오큘러스 가상현실(VR) 헤드셋을 이용한 게임 콘텐츠 개발을 추진한 경험도 있는 인물이다. 1.2. 폴란드에서 시작된 오프닝 공개적으로 게임산업 진출을 확인한 지 한 달여 만인 지난 8월 27일 넷플 릭스는 공식 트위터 계정을 통해 ‘기묘한 이야기’의 IP를 이용한 두 개의 안드로이드용 모바일 게임을 폴란드에서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폴란드 의 넷플릭스 회원은 추가 비용의 지불 없이 스마트폰과 태블릿에서 와 라는 게임을 다운받을 수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460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2차전지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59 성장동력산업 각 분야별 2차전지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강정훈
2458 생명공학/바이오 COVID-19 영향에 따른 국내외 산업별 시장 전망 120도토리 강정훈
2457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삼성생명 제도 변화에 가장 유리한 생명보험사 1도토리 국준아
245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DB하이텍 8인치 호황 장기화와 신규 사업 1도토리 국준아
2455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현대해상 2022년 가장 유망한 손보주 1도토리 국준아
2454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인터플렉스 삼성전자 S펜(울트라, 폴더 블폰) 확대 수혜 1도토리 국준아
2453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하이브 분기 최대 실적 달성 1도토리 국준아
2452 성장동력산업 2021 애니메이션 이용자 현황 연구 7도토리 강정훈
2451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캐릭터 이용자 현황 조사 7도토리 강정훈
2450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웹툰 사업체 현황 조사 연구 보고서 7도토리 강정훈
2449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웹툰 작가 실태 조사 연구 보고서 7도토리 류지원
2448 성장동력산업 2021 e-Sports 정책연구 7도토리 류지원
2447 성장동력산업 이야기 IP 성공사례 케이스 스터디 7도토리 민준석
2446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방송 프로그램 외주 제작 거래 동향 보고서 7도토리 민준석
2445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 정의 및 국내외 시장 분석 120도토리 노민우
2444 성장동력산업 국내외 이차전지 소재 분야 시장분석 120도토리 노민우
2443 성장동력산업 각 분야별 이차전지 산업 및 시장 분석 120도토리 노민우
2442 성장동력산업 2021 방송 제작 근무 여건 실태 조사 7도토리 이지훈
2441 성장동력산업 2021 대중문화 및 예술산업 실태조사 7도토리 이지훈